SDT가 오는 11일부터 13일까지 3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제14회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5’에 참가해 국내 최초 양자암호화 기술을 적용한 보안카메라를 선보인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참가는 서울특별시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양자과학기술의 사업화 및 성장 지원을 위해 추진하는 ‘2025년도 양자기술 사업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해당 사업은 양자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목적으로 ▲연구개발의 필요성과 적합성 ▲기술의 창의성과 차별성 ▲사업화 목표의 타당성과 시장진출 가능성 등을 종합 평가해 지원 기업을 선정했다. SDT는 양자기술 분야의 우수한 기술력과 사업화 가능성을 인정받아 ‘2025 스마트테크 코리아 퀀텀서울관’에서 관련 기술 및 제품을 선보인다. SDT가 이번에 공개하는 QRNG(양자난수생성기) 기반 보안카메라는 국내 최초로 양자암호화 기술을 적용한 IP카메라다. 2022년 5월 KIST로부터 기술이전받은 QRNG 기술을 토대로 개발됐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청의 지원사업을 통해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 제품의 핵심은 도청이나 백도어 삽입을 기술적으로 원천 차단하는 것이다. 별도의 칩을 사용하지 않고도 CMOS
[첨단 헬로티] SK텔레콤이 글로벌 양자암호통신 기술의 기준을 세운다. SK텔레콤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ITU-T 회의에서 제안한 양자암호통신 관련 신기술 2건이 국제표준화 과제로 채택됐다고 7일 밝혔다. 국제표준화 과제로 채택된 기술은 ITU-T 내에 수십여 개 국가의 논의를 거친 뒤 글로벌 표준으로 진행된다. ITU-T는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을 뜻하며, 전기통신관련 세계 최고 국제기구인 ITU의 산하기관으로 통신 분야의 표준을 정한다. 이번 ITU-T 회의에서 채택된 신기술은 ▲ 통신망에서 양자키 분배 활용을 위한 시스템 ▲양자키 분배를 위한 기존 암호화 체계 활용 방법 등 2가지다. 두 기술 모두 통신망에 양자암호를 적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핵심 기술이다. 또한 SK텔레콤은 지난 9월 ITU-T에서 국제표준화 과제로 채택된 ▲ 통신망에서 양자키 분배를 위한 보안 프레임워크 ▲ 양자 난수발생기 보안구조 기술의 최종 표준에 반영될 내용을 발표해 승인 받았다. 이번에 국제표준화 과제 2건을 추가 채택 받음에 따라 SK텔레콤은 ITU-T에서만 총 4건의 양자암호기술 관련 국제표준화 과제를 수행하게 됐다. SK텔레콤 박진효 ICT기술센터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