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산재 없는 안전한 일터 만들기에 필츠가 함께하겠다.” 산재 사망사고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중 제조업이 건설업 다음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추락과 끼임사고, 절단 등이 주요 원인이었다. 필츠코리아 한지명 차장은 작업 현장에 가보면 위험 개소들이 너무나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며 아주 간단한 안전장치나 보호장치만 있으면 막을 수 있는데 그걸 하지 않아서 사고 등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지금껏 필츠가 세이프티 비즈니스에 힘써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안전 대책이 미흡한 분야를 중심으로 안전 인식을 확산하는 등 안전한 일터 만들기에 앞장설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산업안전 관련 최근 이슈와 필츠코리아의 영업 전략을 한지명 차장에게 들었다. ▲ 필츠코리아 한지명 차장 Q. 산업안전 관련 최근 이슈를 짚어준다면. A. 산업재해로 인한 사업주와 경영책임자에게 책임과 처벌을 강화한 증대재해처벌법이 지난 1월 26일 제정됐으며, 1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22년 1월 27일 시행된다. 이로 인해 우리 사회의 산업안전과 재해에 대한 입장과 태도가 근본적으로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인식 변화에는 많은 시간이
[헬로티] 요꼬가와전기가 협업 정보 서버(Collaborative Information Server, 이하 CI 서버)를 개발했다. 이는 OpreX 제어 및 안전 시스템 제품군 중 하나이며, 2021년 1월에 시장에 출시할 예정이다. 이 솔루션은 플랜트의 시설 및 시스템의 모든 종류의 데이터 처리를 통합하여 기업 전체의 생산 활동을 최적화하고 모든 위치에서 원격으로 작업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데 필요한 환경을 제공한다. 더불어 해외 등 장거리 출장을 대체함으로 인해 COVID-19 감염 위험을 줄이는데도 도움이 된다. 개발 배경 공급망이 전 세계로 확장되고, 고객의 요구사항이 더욱 다양해지면서 오늘날 많은 기업은 원자재 공급 및 복잡해진 운영에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오랜 경험의 숙련된 작업자들은 은퇴 등의 이유로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이러한 빈자리를 채울 새로운 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은 수익성을 유지하려면 운영 효율성을 추구하고 시장 변화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결정을 내려야 한다. 또한, 운영을 간소화하고 직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직원이 실제로 현장에 있을 필요 없이 함께 작업할 수 있는 원격 솔루션에 대한 요구가
[헬로티] ISO 12100에서는 ‘위험성 평가’를 위험성 분석 및 위험성 판정으로 이루어진 제반 과정으로 정의한다. 위험성 평가 기법은 다양하며 가장 널리 쓰이는 기법은 HRN(Hazard Rating Number)이다. 국내의 경우도 ‘사업장 위험성 평가에 관한 지침(고용노동부 고시 제2016-17호)’에서 위험성 평가에 관해 다루고 있으며, 위험성은 위해 발생 확률과 위해 심각성의 정도로 정의하며 그 곱으로 표현된다. 고객사를 방문하고 위험성 평가를 위한 회의가 진행되면서 특정 개인의 판단이 회사의 안전기준처럼 적용되고 있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어느 위험원에 대해 안전관리자가 바뀔 때마다 위험성이 달리 추정되고 그에 따라 달리 관리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위험성 평가를 다루기에 앞서 국제표준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여기서 말하는 ‘위험성 평가’는 표준에서 정의하는 ‘위험성 평가’로 특정된다. 세계적으로도 WTO의 TBT (Technical Barriers to Trade) 협정을 통해 공통된 표준, 시험방법 채택으로 무역기술 장벽을 걷어내려는 노력은 계속됐
Tricon CX는 폼팩터를 50% 줄인 콤팩트한 설계로 기존 제품보다 무게가 67% 가벼워지고 전력 소비량도 줄어들면서 속도와 성능은 향상됐다. 이 제품은 내부 리스크 외에 사이버 공격 같은 외부 위협을 차단함으로써 운영 무결성을 높여 석유·가스, 전력, 정제, 화학, 제약, 바이오테크 등에 사용이 적합하다. 이솔이 기자
Tricon CX는 폼팩터를 50% 줄인 컴팩트한 설계로 기존 제품보다 무게가 67% 가벼워지고 전력 소비량도 줄어들면서 속도와 성능은 향상됐다. 이 제품은 내부 리스크 외에 사이버 공격 같은 외부 위협을 차단함으로써 운영 무결성을 높여 석유·가스, 전력, 정제, 화학, 제약, 바이오테크 등에 사용이 적합하다. 이솔이 기자
‘Tricon CX’는 폼팩터를 50% 줄인 콤팩트한 설계로 기존 제품보다 무게가 67% 가벼워지고 전력 소비량도 줄어들면서 속도와 성능은 향상됐다. 이 제품은 내부 리스크 외에 사이버 공격 같은 외부 위협을 차단함으로써 운영 무결성을 높여 석유·가스, 전력, 정제, 화학, 제약, 바이오테크 등에 사용이 적합하다. 또한 운영 중단 없이도 온라인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ISA Secure의 인증도 획득했다. 임근난 기자 (fa@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