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공작기계 시장동향 발표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는 3일 '공작기계업계 2023년 5월 시장동향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5월 공작기계 시장은 내수 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해외 수요로 인해 수주가 2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증가했으며, 수출은 미국과 중국이 2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월 공작기계 수주 규모는 2641억 원으로, 내수 956억 원(전년동월대비 -8.9%), 수출 1686억 원(전년동월대비 +25.5%)으로 집계됐다. 1~5월 수주는 전년동기대비 1.3% 증가한 1조3752억 원이다. 5월 공작기계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5.9% 감소한 2165억 원이며, 1~5월 생산은 1조998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2% 감소했다. 수출은 2억33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9.6% 증가했다. 전월대비로는 23.7% 감소한 수치다. 1~5월 수출은 12억33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7.6% 증가했다. 수입은 99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4% 감소, 전월대비 34.8% 증가했다. 1~5월 수입은 3억65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5.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헬로티 서재창 기자 | 2021년 상반기에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 구조가 기초부터 뒤흔들렸다. 코로나19, 반도체 슈퍼사이클,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 선도기업의 공격적인 투자와 국가 지원 정책 등의 굵직한 이슈가 지금도 유효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요인으로 반도체 시장 점유율과 반도체 수요 및 공급망이 지속해서 변화하고 있다. [아무튼 반도체]에서는 반도체 분야별 시장 동향과 하반기 전망을 간략히 알아본다. 그에 따른 주요 플레이어의 반도체 기술 개발과 시장 전략, 국가별 정책 등을 확인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메모리 반도체인 D램과 낸드플래시다. 꾸준한 성장가도 예고하는 D램 시장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의 반도체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반도체 수요는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코로나19 백신 보급으로 인한 경기 회복과 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세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D램 시장은 2020년 653억 달러에서 2022년 1044억 달러로 연평균 23%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낸드플래시 시장 역시 2020년 560억 달러에서 2022년 816억 달러로 연평균 2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D램 시장에서의 여전한 강자는 삼성전자다. 트랜드
헬로티 전자기술 기자 | 차량용 반도체의 가치가 날개를 달았다. 차량용 반도체는 자동차의 엔진·변속기 등 동력전달체계인 파워트레인, 계기판 등을 포함한 자동차 전자장치, 인포테인먼트 구현을 목적으로 하는 비메모리 반도체다. 오늘날 자동차 업계는 코로나19로 발생을 기점으로 자동차 수요 예측에 실패하면서 전에 없던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에 허덕이고 있다. 여기에 기존 내연차 생산과 함께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수요 급증도 상황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됐다. 이처럼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임에 따라,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차량용 반도체 기업 동향이 주목되고 있다. 주요 기업으로는 NXP(네덜란드), 인피니언(독일), 르네사스(일본), 텍사스인스트루먼트(미국, 이하 TI),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스위스, 이하 ST) 등이다. 이 기업들은 세계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50% 이상을 점유하며,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2019년 옴니아가 조사한 차량용 반도체 시장 업체 점유율을 살펴보면, NXP가 전체 시장 가운데 21%를, 인피니언이 19%, 르네사스 15%, TI 14%, ST 13% 순으로 차지했다. 차량용 반도체 매출 비
[헬로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이 둔화되는 추세다. 이에 세계 전자회로기판 시장은 지난 2018년 620억 불에서 2019년도에 2.4% 줄어든 605억 불이 예상된다. 국내 기판 시장 역시 상반기에 전년 동기 대비 –2%인 4조7천100억 원의 실적을 나타냈으며, 당초 마이너스 성장 예측대로의 흐름을 나타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세계 전자회로기판 시장 규모 세계 전자회로기판 시장은 지난 2018년 620억 불에서 2019년도에 2.4% 줄어든 605억 불이 예상된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 둔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2020년과 장기전망에 있어 5G 관련과 전장용 및 IoT 시장에서는 성장이 있겠으나, 스마트폰 시장 전망이 밝지 않음에 따라 완만한 하락이 예상되고 있다. 2016년부터 연평균 성장률(CAGR)은 0.6%로 미세하게나마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환율에 따른 실적 보정) 2019년 TOP 4인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대만에서의 전자회로기판 생산 규모는 489억 불로 세계 시장의 82.3%를 차지하고 있다. 대만은 2008년부터, 일본은 2013년부터 해외 생산이 자국 내 생산을 초과했으며, 한국은
[헬로티=서재창 기자] 반도체 시장이 코로나19라는 유래 없는 악재에도 불구하고 반등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내내 이어졌던 메모리반도체 가격 조정기가 비대면 수요 확대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자율주행차 등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면서, 업계 내에서는 내년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한국, 반도체 시설 투자 증가세로 2021년에는 삼성전자와 반도체 장비업계가 해외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장비 투자가 대만과 중국에서 전년 대비 감소하는데 비해 국에서는 늘어날 전망이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이하 SEMI)는 지난 12월 SEMICON 재팬 행사에서 이와 같은 전망치를 담은 반도체 장비 분석을 발표했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반도체 장비 투자 현황과 전망은 2019년 595억 달러, 2020년 690억 달러, 2021년 718억 달러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20년 +16.0%, 2021년 +4.1%이다. 2020년에 반도체 장비 투자를 견인한 지역은 중국과 한국이다. 중국은 2019년 134억 달러, 2020년 181억 달러로, 전년 대비 35.1% 증가했다. 한국은 2019년 99억 달러,
[첨단 헬로티] 2019년 상반기 자동차 생산(1.2%), 수출(2.5%) 증가 2019년 상반기(1~6월) 국내 자동차 산업의 생산은 1.2% 증가, 수출은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월 한달 간 국내 자동차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2.3% 증가해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으며, 생산에서는 상반기 일부 업체의 부분파업 등에도 불구하고 현대·기아·쌍용의 SUV 신차 출시 효과로 전년동기 대비 1.2% 증가한 2,028,332대를 제작했다. ▲2019년 상반기(1~6월) 국내 자동차 산업의 생산은 1.2% 증가, 수출은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12월 출시된 현대 팰리세이드는 금년 상반기 44,799대가 생산됐고, 기아 쏘울은 전년동기 대비 22.4% 증가한 83,886대, 쌍용 코란도는 50.1% 증가한 9,012대가 생산됐다. 2019년 6월은 일부 업체의 유럽지역 수출중단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 대비 소폭 감소(△1.0%)한 332,847대 생산, 반기별 생산량은 2017년 하반기를 저점으로 점차 증가했다. 수출은 2019년 상반기 전기차 등 친환경차(30.1%)와 신형 SUV(9.7%) 위주로 호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