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KT스카이라이프와 kt HCN 등 그룹사와의 미디어 플랫폼 기술 협력을 강화하며 시너지 확대에 나섰다고 16일 밝혔다. KT는 ‘기술 중립성’에 기반해 IPTV, 위성방송, 케이블TV의 전송방식 간 경계를 허물고, 위성방송사업자인 KT스카이라이프와 케이블TV 사업자 kt HCN에 IP(인터넷 프로토콜) 전송방식 기반의 고도화된 셋톱박스를 공급한다고 설명했다. 기술 중립성이랑 방송법상 위성방송, 케이블TV, IPTV 사업자가 상호 간 다른 사업자의 전송방식을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뜻한다. KT스카이라이프와 kt HCN은 전날 KT 인터넷망을 활용해 IP 전송방식을 적용한 프리미엄 방송서비스 ‘아이핏 TV’(ipit TV)와 ‘아이핏 TV_H’를 각각 출시했다. 아이핏 TV는 KT의 IPTV 서비스 '지니 TV'에서 제공 중인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콘텐츠, AI(인공지능) 추천·검색, 모바일 이어보기,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I/UX) 등 고품질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KT는 또 셋톱박스의 크기와 무게를 줄이고 대기 전력 소모를 크게 낮췄으며, 부팅과 채널 전환 속도도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KT IPTV사업본부장 최
[첨단 헬로티] SK브로드밴드가 업계 최초 8개까지 조건검색어를 복합하여 콘텐츠 음성검색이 가능한 스마트 인공지능(AI) IPTV 서비스를 시작한다. SK브로드밴드는 25일 서울 중구 퇴계로 본사 20층 대강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의수화가 석창우 화백의 ‘수묵 크로키’ 퍼포먼스와 함께 B tv 셋톱박스와 SK텔레콤의 AI 플랫폼 NUGU를 결합한 일체형 AI 셋톱박스 ‘B tv x NUGU’(‘비티비 누구’로 발음)의 상용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SK브로드밴드는 2016년 12월, 국내 IPTV 업체 중 처음으로 음성검색 서비스를 시작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음성검색 기능을 집중적으로 고도화해 업계 최초로 8중 복합 조건(인물, 국가, 장르, 연도, 화질, 가격, 최신, 관객)으로 콘텐츠 음성검색이 가능한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설명했다. 윤석암 SK브로드밴드 미디어부문장은 “인공지능 기반의 유료방송 서비스 중 콘텐츠 검색 결과에서 재검색, 재정렬까지 실행하는 고도화된 검색은 오직 ‘B tv x NUGU’에서만 가능하다”
[첨단 헬로티] TV 앞에 앉아서 채널을 변경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TV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태블릿으로 또 다른 프로그램을 스트리밍함과 동시에 4개의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것은 조금 과하긴 하지만, 이 모든 것은 그림 1과 같은 셋톱박스(STB) 덕분에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그림 1. 셋톱박스 셋톱박스는 케이블/위성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를 비디오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 비디오를 TV, 하드 드라이브, 무선 기기 등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은 복잡하지만, 부하 스위치와 eFuse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분배를 손쉽게 할 수 있다. 왜 각각의 부하들을 켜고 끄는가? 그림 2: 셋톱박스에서의 부하 스위치 및 eFuse 사용 셋톱박스 개발자들은 시스템 전력 효율 향상을 위해 대기 전력 요건을 충족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 사항은 셋톱박스를 사용하지 않을 때 소모 전력을 제한하므로 최소한의 전력을 소모하도록 각각의 서브시스템을 꺼야 한다. 또한 일부 국가에서는 에너지 스타(Energy Star)와 같은 특정 전력 규격을 충족해야 한다. 그림 2는 대기 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어할 수 있는 일반적인 셋톱박스 서브시스템들을 보여준다. 이
[헬로티] LG유플러스(부회장 권영수)는 선명한 음성을 지원하고 유튜브 영상까지 고화질 4K UHD로 즐길 수 있는 올인원(All-in-One) 셋톱박스 ‘U+ tv 사운드바(soundbar)’를 출시한다고 6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2014년 IPTV 일체형 홈시어터 U+ tv woofer(우퍼)를 선보인 데 이어, 변화하는 가정 내 환경과 최신 디자인 트렌드를 반영해 슬림하고 심플한 디자인의 사운드바 타입 셋톱박스를 출시하게 됐다. 예술 콘텐츠로 구성된 ‘아트&클래식’과 세계 5대 제작사의 명품 다큐멘터리 등 U+ tv만의 수준급 콘텐츠를 이제 풍부한 사운드와 화질로 최고의 환경에서 즐길 수 있다고 회사측은 강조했다. LG유플러스에 따르면 U+ tv 사운드바는 선명하고 또렷한 사운드로 방송, 음악 콘텐츠 재생에 강점이 있다. 고음에 특화된 스피커 유닛인 ‘트위터(Tweeter)’를 탑재해, 웅장한 저음 출력에 강한 U+ tv 우퍼에 비해 선명한 음색을 제공한다. 기존 셋톱박스에서는 고객이 장르별로 최적화된 음향 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해야 했지만 U+ tv 사운드바는 자동음장조정(AS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이 경기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방통위에서 열린 제33차 전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News1 신웅수 기자 MBC가 재송신료(CPS) 문제로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에 실시간 방송공급을 중단하겠다고 밝히자 방송통신위원회가 처음으로 방송유지‧재개명령권 발동에 나섰다. 방통위는 29일 과천청사에서 최성준 위원장 주재로 전체회의를 열고 'MBC에 대한 방송의 유지·재개 명령에 관한 건'을 의결했다. 방통위는 "MBC가 스카이라이프에 오는 10월 4일부터 지상파방송 채널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통보해 시청자의 이익이 현저히 저해될 우려가 있다"며 "채널공급 중단이 임박하거나 중단된 경우, 방송을 유지하거나 재개할 것을 명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명령의 시기와 내용은 위원장에게 위임하기로 했다. 방송유지‧재개명령권은 '블랙아웃' 사태를 막기 위해 지난해 도입된 것으로 방통위가 명령권 행사를 통해 CPS 분쟁을 겪고 있는 방송사업자에 공식적으로 개입에 나선 첫 사례다. MBC는 지난 7월 스카이라이프에 과거 정산누락에 대한 소명을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하며 재송신 계약 문제를 제기했다. MBC는 단자수
LG유플러스가 서라운드 입체 음향과 초고화질 4K UHD 영상은 물론, 집안의 IoT 기기까지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는 ‘U+ tvG woofer’의 신 모델을 선보인다. 이 제품은 4개의 스피커와 2개의 우퍼를 탑재해 영화관이나 콘서트 현장에서 들을 수 있는 서라운드 입체 음향과 UHD 영상까지 한 번에 즐길 수 있다. 또 글로벌 트렌드로 떠오르는 ‘IoT 음성제어 기능’까지 새롭게 추가돼 IPTV 서비스 수준을 한 단계 더 끌어올렸다. 우퍼 신 모델에는 홈 CCTV 맘카 가입자를 포함, 20만 가구가 이용하며 국내 홈 IoT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IoT@home’ 서비스를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돼 음성제어를 기반으로 한 홈 IoT 시대를 한발 앞당길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위해 LG유플러스는 기존 IPTV 셋탑박스에 IoT 허브를 탑재하고 ‘안방 불꺼’, ‘거실등 켜’, ‘플러그 꺼’, ‘가스락 잠거’ 등의 음성명령으로 집안의 IoT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했다.
IoT 스마트기기 전문기업 노크(대표 김정호)는 스마트 사이니지 셋톱박스 신제품 클라우드캐스트(CloudCast)를 국내 시장에 본격 출시했다. 일명 캐스트박스로 불리는 클라우드캐스트(CloudCast)는 디스플레이를 마음대로 컨트롤할 수 있는 신개념 스마트 사이니지(smart signage)의 셋톱박스다. 스마트 사이니지는 영상이나 사진을 플레이시키는 기존 디지털 사이니지와 미디어가 결합한 스마트 광고 플랫폼이다. 노크의 클라우드캐스트는 사이니지를 원격으로 조종하고 콘텐츠를 구현시키는 일종의 콘솔이자, 플랫폼이라고 볼 수 있다. 클라우드캐스트의 최대 강점은 크기가 작고 설치가 간단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있다는 데 있다. 클라우드캐스트를 디스플레이의 HDMI 단자에 연결한 후 인터넷을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 클라우드캐스트를 꽂은 후 클라우드콘솔(www.cloud-cast.com)에 본인 계정으로 접속하면 나의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인식되는 방식이다. 또한, 기존에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안드로이드 셋톱박스와의 차별점도 주목할 만하다. 고성능 쿼드코어 칩셋, 각종 연결 단자를 탑재했음에도 두께가 얇고 가볍다. 사용자 관점에서 직관적인 UX를 제공한다는 점도 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