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트라이트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문승일 교수_차기 에너지 시장 이끌어갈 유력한 후보, ‘ESS’와 ‘전기차 충방전 장치’
[첨단 헬로티] 현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라 떠오르는 산업이 있다. 바로 에너지저장장치(ESS)다. 정부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30%로 늘리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서는 ESS가 필요하다. 저녁 시간 순부하량이 급증하는 ‘덕커브 현상’ 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이 필요한 탓이다. 이에 지난해, ‘4차 산업혁명과 에너지 저장장치 : ESS 및 전기차 충방전’을 주제로 강연한 서울대학교 문승일 교수의 강의 내용을 다시금 짚어봤다. ▲ 서울대학교 문승일 교수 <사진 : 김동원 기자> 차세대 산업 생태계구축 위해 100~200GWh 규모의 ESS 구축 필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문승일 교수는 ESS에 대해 생산된 잉여 에너지를 원래 성질 그래도 변화시켜 저장하고,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시스템이라고 정의한다. 그는 “주파수 조정, 피크 감소, 신재생에너지 출력 안정화, 덕커브 현상 해소 등에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앞으로는 에너지저장장치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ESS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재생에너지가 확대되면서 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