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보그룹코리아(볼보건설기계코리아)가 지난 23일 창원공장에 아시아 최초로 설립된 볼보그룹 배터리팩 생산 시설 완공 오픈식을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 볼보그룹코리아 창원공장 배터리팩 생산 시설은 지난해 2월 볼보그룹 본사로부터 약 100억 원(780만 달러)의 초기 투자를 받아 구축된 시설로, 1년여 간의 공사 기간을 거쳐 볼보그룹코리아 창원공장의 콤포넌트 생산 시설 내 약 760평(2500 m²) 규모로 완공됐다. 이는 국내 건설기계 제조사 중 최대 규모의 배터리팩 생산 라인이다. 볼보그룹코리아 창원공장은 이번 배터리팩 생산 시설 완공으로 전세계 볼보 굴착기의 55%를 생산하는 핵심 생산기지에 이어 그룹 내 전동화 로드맵 이행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거점으로 거듭났다. 볼보건설기계그룹은 2030년까지 매출의 35%를 전동화 장비를 통해 달성한다는 탄소감축 목표를 가지고 있다. 볼보그룹코리아는 2022년 4월 전기 굴착기 양산 라인을 마련한 데 이어 이번 배터리팩 생산 시설 완공을 통해 자체적으로 전기 연료 솔루션을 생산하게 됨으로써 배터리 수입에 따른 물류 비용과 시간을 줄이고, 탄소 배출 절감에 기여할 예정이다. 또한 볼보그룹코리아는 오는 8월 자체 생산한
볼보트럭 포함 1,820억 규모 태양광 연계 에너지통합관리 솔루션·PPA 협약 국내 총 4개 사업장에서 향후 20년 간 매년 57GWh 재생에너지 확보 기대 볼보건설기계가 LS일렉트릭의 태양광 연계 에너지통합관리 솔루션을 전격 도입하며 RE100 추진을 위한 협력을 본격화한다. LS일렉트릭과 볼보건설기계는 지난 6일 볼보그룹코리아 창원공장에서 구동휘 LS일렉트릭 대표이사와 앤드류 나이트 볼보그룹코리아 대표이사, 박강석 볼보트럭코리아 대표이사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태양광 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에너지통합관리 솔루션(FEMS) 설비 및 직접전력구매계약(PPA)’ 추진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총 사업비 1,820억 원을 들여 볼보그룹코리아 창원공장과 볼보트럭코리아의 김해, 동탄, 인천 등 3개 공장에 단계적으로 태양광 발전 연계 FEMS를 구축하는 동시에 공장 외부에 별도의 발전시설을 확보, PPA를 추진하는 방식으로, 내년부터 20년 간 재생에너지를 확보하게 된다. FEMS는 스마트 팩토리 에너지 통합운영관리시스템으로, 공장 내 에너지 손실을 줄여 효율을 높이고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와 연계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첨단 헬로티] 볼보그룹, 전세계 코로나19 추가확산 방지 위해 국제적십자사에 3억여원 기부 건설 중장비, 트럭, 버스, 선박 및 산업용 엔진 분야 제조기업인 볼보그룹은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국제적십자사에 약 3억여원을 기부하고 볼보그룹코리아는 국내 고객과 협력사, 임직원을 위한 마스크와 손소독제 등의 개인위생용품을 지급하며 적극적인 예방활동에 동참한다고 밝혔다. ▲사진 : 볼보건설기계코리아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하고 코로나19가 미국, 아프리카, 유럽 등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볼보그룹 본사가 기부에 나서며 글로벌 차원의 동참이 이어지고 있다. 볼보그룹코리아는 국내 볼보건설기계 고객과 협력사, 임직원 등에게 1억 5천만원 상당의 마스크와 손소독제 등을 긴급 지원하며 함께 위기극복에 나섰다. 특별재난 지역으로 선포된 대구‧경북 지역 마스크와 손소독제를 우선 지원하고 수급 상황에 따라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볼보그룹코리아는 이번 코로나19 발생 초기부터 선제적인 감염병 대응 매뉴얼을 마련했다. 경남 창원에 위치한 생산공장과 연구개발센터 등 전국에 위치한 사업장에서 근무 중인 약 200
[첨단 헬로티] 볼보트럭의 전기 연결형 자율주행 차량인 'Vera'는 물류 센터에서 스웨덴의 고텐버그에 있는 항구 터미널로 물류를 운송하는 통합 솔루션의 일부를 구성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임무는 볼보 트럭과 페리, DFDS 물류 회사 간 협력의 결과다. 이 협력의 목적은 Vera를 실제 활용 분야에 도입해 DFDS의 물류 센터에서 항구 터미널까지의 연속 물류 흐름을 위한 연결 시스템을 사용해 글로벌 유통을 실현하는 데 있다. 지난 2018년, 볼보 트럭은 물류 센터, 공장 및 항구에서의 반복적인 업무를 위해 고안된 최초의 전기 연결형 자율주행 솔루션을 선보였다. Vera는 대형 화물의 고정밀 단거리 운송에 적합한 솔루션이라고 할 수 있다. 볼보 트럭의 Autonomous Solutions 담당 부사장인 미카엘 칼슨은 "이제 우리는 이상적인 환경에서 Vera를 도입하고, 다른 유사 작업에도 잠재력을 개발할 기회를 얻게 됐다"고 말했다. 목표는 컨트롤 타워에서 모니터링하는 여러 대의 Vera 차량으로 구성된 연결형 시스템을 실행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더 높은 효율성, 유연성 및 지속가능성에 대한 요구에 부합하는 원활하고 끊임없는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데
[첨단 헬로티] LG화학이 15일, 볼보자동차그룹과 ‘차세대 전기차 프로젝트’에 적용될 리튬이온 배터리 장기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볼보자동차그룹은 지난 2017년, 2년 후인 2019년부터 신차는 전기자동차만 출시하고, 2025년까지 전체 판매량의 50%를 순수 전기차로 채우겠다고 발표했다. <사진 : LG화학> 따라서 볼보자동차그룹의 차세대 초대형 프로젝트에는 어느 업체의 배터리가 적용될지는 배터리 업계의 큰 관심사였다. 그리고 오늘, 볼보자동차그룹의 초대형 프로젝트와 함께할 배터리 업체로 LG화학이 선정됐다. 구체적인 공급 규모는 계약상 밝혀지지 않았다. 볼보자동차그룹은 “LG화학은 전세계 자동차업계에 리튬이온 배터리를 장기간에 걸쳐 성공적으로 공급해온 선도업체로서 기술 리더십, 책임있는 공급망 관리,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볼보의 엄격한 구매 가이드라인을 충족시키는 기업”이라고 밝혔다. LG화학은 국내를 비롯해 순수 전기차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 중국, 유럽 3개 지역에 전기차 배터리 생산거점을 구축한 유일한 업체다. 또, 지난 10년간 LG화학의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는 210만 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