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한국하니웰이 Voice solution 전담 인원을 배치하면서 본격적으로 국내에서 voice picking 기술을 통한 시장 공략에 나선다. 글로벌 voice 전문업체인 보콜렉트를 인수한 후 국내에서는 협력사와 함께 몇몇 프로젝트를 통해 voice picking 기술이 선보인 바는 있다. 한국하니웰에 따르면, voice picking 기술을 도입한 대부분 업체에서 12개월 이내의 ROI를 달성하였으며, 창고 내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고정식 설비에 비해 유연하고 신규 작업자의 트레이닝 시간이 60% 이상 단축됐다. 한국하니웰은 현재 보이스 피킹 시스템 도입 논의가 가장 활발한 산업 영역인 이커머스와 식품 시장을 집중 공략할 계획이다. 한국하니웰 정연욱 차장과 진행한 인터뷰를 정리했다. 질문. 하니웰이 voice 전문업체인 보콜렉트를 인수한 지는 꽤 흐른 것으로 알고 있다. 여전히 voice picking 기술에 대해 단순히 음성인식 기술정도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정확하게 어떤 기술인가? 답변. 물류창고나 유통센터에서 피킹 작업자의 생산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음성 프로세스라고 보면 된다. 작업자는 음성 인식&합성
[첨단 헬로티] "보이스 솔루션은 물류현장에서 생산성, 정확성, 용이성, 안정성, 가시성, 유연성의 효과를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이다" 한국하니웰이 오는 28일 '보이스를 활용한 물류경쟁력 강화' 웨비나를 통해 이같은 특장점을 갖고 있는 보콜렉트 음성기반 솔루션을 소개한다. 한국하니웰에 따르면, 물류현장의 피킹시 에러발생의 요인은 상품누락, 다른 상품 피킹, 수량 오류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문제를 보콜렉트의 음성기반 솔루션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보콜렉트의 음성 기술은 데이터 시스템 통합을 위한 헤드셋을 포함한 통합 토탈 솔루션으로, 까다로운 산업환경에 최적화된 음성인식 기술 플랫폼을 제공한다. 창고 관리자는 중앙 관리 콘솔로부터 예정보다 앞서 있는 작업자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창고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작업을 함으로써 효율성을 더할 수 있다. 근로자는 작업을 하는데 있어 종이나 스크린을 읽기 위해 멈출 필요가 없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음성기술의 직관적인 특성으로 근로자는 자율적으로 일할 수 있다. 특히, 현재 물류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DPS 및 DAS, PDA 보다 보콜렉트의 음성기반 솔루션이 갖는 장점이 크다는 분석
하반기 ‘오토큐브’로, 내년 ‘커넥티드 리테일 솔루션’으로 시장 공략 꾀할 것 하니웰의 S&PS 사업부는 리테일과 제조, 물류센터를 타겟으로 영업을 집중할 계획이다. 이들 분야에 최적화돼 있는 제품과 솔루션을 잇따라 출시하면서 차별화를 꾀해 나갈 계획이다. 올 하반기에는 ‘오토큐브’를 주목하고 있으며, 내년부터 커넥티드 리테일 솔루션을 통해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한국하니웰 S&PS 사업부 박지훈 팀장을 만나 앞으로의 사업전략과 신제품 출시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 한국하니웰 S&PS 사업부 박지훈 팀장 Q. 올해 상반기 실적을 중심으로 어떤 평가를 내릴 수 있나? A. 단발성 보다는 프로젝트성 물량을 수주하게 되면서 올해 초 목표했던 매출은 100% 달성했다. 특히, 제품별로는 E2R(East to Rest) PDA 제품이 발군의 약진을 보였다. 국산PDA가 장악하던 시장에 대항마로써 역할을 하면서 하니웰 PDA 커버리지를 확대하고 있다. 이커머스 업체들이 통합플랫폼을 구축하면서 물류센터에도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OS가 윈도우에서 안드로이드 기반 장비를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