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부터 그래픽 카드, 클러스터까지 스마트 컴퓨팅 생산 라인 구축해 미국의 제재 대상인 중국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스타트업 무어 스레드가 새로운 그래픽 카드를 출시하면서 중국 최초로 인공지능(AI) 훈련을 위한 GPU 기반 컴퓨팅 센터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2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무어 스레드의 장젠중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9일 성명을 통해 "새로운 GPU는 중국의 늘어나는 대규모언어모델(LLM)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콰어(KUAE·誇娥) 인텔리전트 컴퓨팅 센터에서 만날 수 있다"고 밝혔다. 장 CEO는 "무어 스레드는 GPU의 다기능 컴퓨팅 이점을 활용해 반도체부터 그래픽 카드, 클러스터까지 스마트 컴퓨팅 생산 라인을 구축했다"고 말했다. 무어 스레드는 KUAE 컴퓨팅 센터를 세우는 데 30일밖에 걸리지 않았으며, 해당 센터는 엔비디아 '쿠다'에 견줄 수 있다고 밝혔다. 베이징에 개소한 KUAE 센터는 56일 내 1300억 개 파라미터 모델을 훈련할 수 있다고 무어 스레드는 덧붙였다. 엔비디아는 2006년 병렬 컴퓨팅 플랫폼인 쿠다를 세웠다. 앞서 미국은 지난 10월 첨단 컴퓨팅 칩을 개발해온 무어 스레드와 비렌 기
류더인 회장, 자국 내 반도체 장비 기업이 들어오도록 세금 혜택 촉구 TSMC의 류더인(마크 리우) 회장은 자국이 첨단 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인 장비를 더 많이 생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30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류 회장은 이날 대만반도체산업협회가 주최한 컨퍼런스에서 "대만은 완전한 국내 반도체 공급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 제재가 중국으로 필수적인 기술이 흘러 들어가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면서 대만이 세계적으로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기계를 공급하는 데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만반도체협회의 회장이기도 한 류더인 회장은 일본과 미국 등의 국가는 TSMC가 그들의 영토에 첨단 생산 기지를 구축하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 그런 상황에서 류 회장은 "대만은 고유의 공급망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대만 반도체 업계는 외국 장비 업체가 대만 내에 시설을 구축하도록 정부가 더 많은 세금 혜택을 줘야 한다고 촉구한다고 전했다. 류 회장은 또한 대만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기초 과학과 첨단 연구에 더 많이 투자해야 하며, 경쟁력 유지에 필요한 장비와 자재 생산을 위해 중요한 기술에 대한 국내 역량을 구축해야 한다
[헬로티] 미 "화웨이 통신장비 위협"…중 매체 "미국 압력에 대비해야" 세계 스마트폰 판매 1위까지 올랐던 중국 화웨이가 미국 제재의 직격탄을 맞고 6위로 곤두박질쳤다. ▲화웨이는 애플, 삼성은 물론 샤오미, 오포, 비보에도 밀려나 6위 업체로 전락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29일인 오늘 CNBC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화웨이의 지난해 4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이 3천300만 대로 전년 동기보다 41%나 감소했으며 시장 점유율은 8%에 그친 것으로 추산했다. 화웨이는 애플, 삼성에 크게 뒤진 것은 물론 중국 라이벌 샤오미, 오포, 비보에도 밀려나 6위 업체로 전락했다. 시장조사업체 캐널리스도 화웨이의 작년 4분기 스마트폰 판매량이 3천200만 대로 1년 전보다 거의 43% 줄었다고 발표했다. 화웨이가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 5위 안에서 밀려난 것은 6년만에 처음이라고 캐널리스는 밝혔다. 캐널리스의 애널리스트 앰버 류는 보고서에서 미국 제재의 결과 화웨이가 대부분 시장에서 갑자기 밀려났다고 말했다. 시장조사업체들에 따르면, 화웨이는 2020년 전체 스마트폰 판매량으로는 세계 3위다. 화웨이의 퇴조는 사상 최고의 성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