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식별 업계에서 20년 이상의 입증된 경험을 바탕으로 Newland AIDC는 기업이 디지털 혁명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다양한 OEM 임베디드 바코드 스캐닝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모든 기업들의 효율적인 재고 관리는 모든 소매상의 성공에 있어서 중요하며 실시간 및 정확한 데이터 제공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 또는 솔루션에 의지하게 됩니다. Newland AIDC의 기업 모빌리티 솔루션 활용을 통해 기업들은 더 뛰어난 통찰력과 지혜로 웨어하우스의 운영을 현대화하며 치열한 경쟁 속에서 경쟁력을 유지를 할 수 있습니다. 공급망 상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통한 업무 효율성 향상의 기회를 찾아드립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헬로티=이동재 기자] ▲KOREA MAT 2021 태성시스템 부스. (출처 : 첨단) 태성시스템이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KOREA MAT 2021(국제물류산업대전)’에서 자사의 소팅(자동분류)시스템을 선보였다. 코로나19가 앞당긴 기술의 발전으로 국제 물류 환경이 빠르게 변하면서 물류 센터나 물류 창고 등은 빠르게 무인화·자동화 단계로 들어서고 있다. 태성시스템은 화물 고속 분류기 및 분류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중소기업으로 2016년에 설립됐다. 쿠팡, CJ대한통운, SSG 등이 주요 고객이다. 전시회장의 태성시스템 부스에선 Wheel sorter(휠소터) 시스템 ‘Pivotle’가 택배상자와 봉투를 이동시켜 분류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Pivotle는 일반 컨베이어와 휠소터를 조합한 구성으로, 비전 시스템이 바코드를 스캔해 화물을 인식하면, 컨베이어 위에 작은 휠들이 자동으로 각도를 변환하면서 올라오는 화물을 좌·우로 스위칭해 분류 작업을 수행한다. 작고 조밀한 휠 구성으로 소형 상품이나 비닐 포장 상품도 훼손하지 않고 처리할 수 있다. ▲태성시스템의 휠소터 시스템 'Pivotle'. (출처 : 첨단) Pivotle는 모듈형 하드웨
최근 엄격한 경제상황 속에서 로지스틱스에서는 물류 산업의 효율화에 대처하는 기업이 더욱더 증가하고 있다. 그 수단으로서 클라이언트 서버 방식에 따른 핸디터미널(이하 HT)을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등의 도입으로 IT화가 있다. 한편, 실제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설비투자비를 최대한 압축하면서 기존의 창고관리시스템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중 하나가 SaaS(Software as a Service)형 애플리케이션의 도입이다. SaaS란 네트워크(인터넷)을 통한 소프트웨어 기능 중 유저가 필요로 하는 것만을 준비해 끝내기 때문에 저렴한 투자가 기대된다. 제공되는 기능 중 필요한 기능만을 필요할 때 이용이 가능하고 요금체계에서도 이를테면, 이용하는 기능에 따른 요금만을 지불하는 과금제나 월정액 등이 있다. 이용 형태에는 필요한 기능을 유저가 다운로드해 자신의 단말 내에서 실행하는 리치 클라이언트와 인터넷을 통해 서버 상에서 동작해 수시로 온라인으로 이용하는 싱클라이언트가 있다. SaaS판 창고관리시스템은 후반부에 설명하도록 한다. 加納 幸博 IPR 본 기사는 일본공업출판이 발행하는 「자동인식」지와의 저작권 협약에 의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