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비전 분야의 글로벌 리더 Basler(바슬러)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기반 전처리 기술을 통해 산업용 비전 시스템의 고질적인 문제인 데이터 처리 병목 현상을 해결하며 고속 비전 검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현대 제조 환경은 고해상도 카메라의 보편화로 매초 수 기가바이트에 달하는 방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기존의 CPU 및 GPU 중심 아키텍처는 이러한 대용량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에 한계를 보이며 이는 생산성 저하와 시스템 비용 급증의 원인이 되어왔다. Basler는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FPGA 기반 전처리 솔루션을 개발했다. 이 솔루션의 핵심은 이미지 데이터를 호스트 시스템(PC)으로 전송하기 전에 데이터 획득 단계인 프레임 그래버에서 직접 전처리하는 것이다. FPGA는 하드웨어 수준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병렬로 처리하기 때문에 CPU나 GPU에서 발생하는 처리 지연 및 병목 현상을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정밀한 검사 타이밍을 맞출 수 있으며 호스트 시스템의 부하를 크게 줄여 전체 시스템
각 업체와 새로운 협력체계 구성...“글로벌 파트너십 통해 고도화된 머신비전 솔루션 공급” 프레임 그레버, 영상 처리 소프트웨어, CIS 라인 스캔 카메라 등 머신비전 역량 강화 도모 비투에스가 유레시스(EURESYS)·비넥스(VIENEX) 등과 기존 파트너십을 강화해 머신비전 하드웨어 역량을 극대화한다. 비투에스는 양 업체와의 파트너십 강화 전략을 통해 다각적인 기술력 확보를 도모할 방침이다. 이는 카메라, 프레임 그레버, 영상 처리 소프트웨어, 이미지 센싱, 조명 등 전방위적인 머신비전 하드웨어 기술을 내재화해 올인원 품질검사 시스템을 완성한다는 로드맵이다. 유레시스는 프레임 그레버 및 영상 처리 소프트웨어 기술 업체다. 프레임 그래버 제품군은 ‘CoaXPress’, ‘Camera Link’, ‘GigE Vision’ 등 각종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이어 머신비전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Open eVision’ 기반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는 여러 분야에서 도입 사례를 확장하고 있다. 아울러 비넥스는 CIS(Contact Image Sensor) 기반 라인 스캔 카메라 기술력을 내세운다. 특히 세계 최초로 50mm의 장초점 거리(Long Working Dis
4차 산업혁명 이후 자동화 기술은 전 산업 분야를 재편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머신비전’이 있다. 특히 제조업과 물류, 반도체, 바이오 등 고정밀 환경에서는 사람이 직접 수행하기 어려운 작업을 대신할 수 있는 기술로 머신비전이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이제 머신비전은 단순한 영상 인식 기술이 아닌 인공지능과 고성능 광학 장비, 로봇 제어 기술이 융합된 ‘지능형 시각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다. 머신비전은 산업용 로봇에게 ‘눈’을 제공하고 동시에 ‘판단력’을 강화하는 핵심 기술이다. 로봇이 작업 대상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상 여부를 감지하며 자율적으로 판단해 움직일 수 있는 기반은 모두 머신비전을 통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머신비전 기술의 발전은 제품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한편 사람의 개입 없이 생산 라인의 효율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렇다면 현재 머신비전의 기술 진화는 어디까지 왔고, 앞으로 어떤 키워드들이 산업 현장을 이끌어갈 것인가? 주목해야 할 핵심 트렌드를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해본다. 키워드 1. AI 통합으로 진화하는 시각 시스템 머신비전이 기존의 단순 영상 분석에서 벗어나 새로운 도약을 맞이하게 된 배경에는 인공지능
산업 현장에서의 다양한 위험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실시간 대응 지원 세이지가 오는 22일부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국제물류산업대전(KOREA MET)’에 참가해 AI 기반 지능형 CCTV 솔루션 ‘세이지 세이프티(SAIGE SAFETY)’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는 물류운송, 설비, IT, 보관 등 물류 전반을 아우르는 국내 최대 규모의 물류 전문 전시회로, 세이지는 실시간 위험 감지와 예방이 가능한 산업안전 모니터링 솔루션을 통해 물류 산업의 스마트화를 제시할 계획이다. 세이지 세이프티는 기존 CCTV 시스템을 AI로 고도화해 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실시간 대응하도록 설계된 솔루션이다. 화재나 연기 감지는 물론, 작업자의 안전모 미착용, 쓰러짐, 위험 설비 접근 등 산업 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를 영상 기반으로 포착해 즉각 알림을 제공한다.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과 함께, 이상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관리자에게 통계로 제공함으로써 산업 현장의 전반적인 안전 관리 효율을 높여준다. 특히 기존 CCTV 인프라와도 쉽게 연동되도록 설계돼, 별도의 고비용 인프라 투자가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알고리즘, 고해상도 센서의 진화, 다양한 초고성능의 카메라. 지난 3월, 글로벌 머신비전 시장에는 이러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신제품들이 잇따라 공개되며 산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반도체, 전자, 배터리, 물류, 식음료 등 주요 제조업에서 생산 자동화와 품질 정밀 진단의 니즈가 급속히 고도화되면서, 머신비전 솔루션은 이제 단순한 시각 센서를 넘어 ‘지능형 판단자’로 진화하고 있다. 머신비전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동시에 보여준 3월 글로벌 출시 제품 중, 산업계가 반드시 주목해야 할 TOP 10을 선정했다. 1. 루시드 비전 랩스, 3D ToF 카메라 'Helios2 Narrow' 루시드 비전 랩스(LUCID Vision Labs)는 새로운 3D ToF 카메라 제품군인 Helios2 Narrow를 출시했다. 이 새로운 흑백 카메라는 소니 IMX556 DepthSense CMOS 글로벌 셔터 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0.3MPixel, 640 x 480 해상도, 10µx 10µ 픽셀 크기, 30fps의 프레임 속도를 구현한다. 작동 거리 범위는 0.3~8.3m이며 FOV는 31°x 24°이다. GigE Vision 2.0 및 GenICam
인공지능 시대가 도래하면서 방대한 영상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해 의미 있는 정보를 도출하는 머신비전(Machine Vision, 이미지 인식)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머신비전 기술은 자율주행 자동차, 의료 영상 분석, 휴머노이드 로봇 등 첨단 산업 분야에 활용되며, 더 빠르고 정확한 머신비전 기술이 핵심 경쟁력으로 분류된다. 이런 흐름 속에서 경희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강성준 교수 연구팀이 인간의 시냅스(Synapse)를 모사한 광 뉴로모픽(Neuromorphic) 소자를 개발해 머신비전 기술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문적 우수성을 인정받아 나노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 ‘ACS Nano(IF=15.8)’의 4월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시냅스는 뇌 속에서 신경세포를 연결하며 정보를 전달하고 기억하는 핵심 구조다. 연구팀은 인간의 뇌 구조와 동작 방식을 모사한 광 뉴로모픽 소자를 개발했다. 이 소자는 빛(광신호)을 수집함과 동시에 저장·분석할 수 있어 기존 이미지 처리 기법보다 훨씬 빠르고 정확한 인식 성능을 보였다. 광센서, 메모리 등 복잡한 구성요소를 포함한 기존의 인공지능 기반 이미지 처리 장치와 달리 산화물 반도체를 활용해
CIS(Contact Image Sensor) 기술력·서비스 역량 강화 기대 바이렉스가 중국 소재 머신비전 솔루션 업체 인스넥스(INSNEX) 공식 대리점으로 낙점됐다. 인스넥스는 지난 2017년에 설립된 업체로, 3D 비전 및 AI 검사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머신비전 솔루션 기술을 보유했다. 이를 필두로 배터리·반도체 등 품질검사 공정에서 활약하고 있다. 바이렉스는 이번 대리점 계약을 통해 국내 시장에 인스넥스 고성능 CIS(Contact Image Sensor) 카메라 솔루션을 본격 공급하게 됐다. 아울러 맞춤형 기술·솔루션 지원 정책을 강화할 방침이다.바이렉스는 이달 12일 열린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동시 개최 행사 ‘2025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에서 인스넥스 솔루션을 첫 공개했다. 이 자리에서 해상도 범위 900~3600dpi의 인라인 검사용 CIS 카메라, 2차원 이미지에 높이 정보를 추가한 2.5D 광도스테레오(Photometric) CIS 솔루션, 200킬로헤르츠(kHz) 주파수와 해상도 3600dpi의 7um급 초고해상도 CIS 카메
마크포지드는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적층 제조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특히 항공, 자동차, 방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고강성 경량 소재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생산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3월 중순,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 현장에서 만난 마크포지드 CEO 샤이 테렘(Shai Terem)은 한국 시장의 중요성과 자사의 핵심 기술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한국이 첨단 기술을 빠르게 받아들이는 시장이라며 마크포지드의 혁신적인 솔루션이 한국 제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Q: 마크포지드가 한국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은 무엇인가? A: 마크포지드는 한국 시장에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중심으로 적층 제조 기술을 확산시키고 있다. 아울러 제조 공정의 워크플로우를 최적화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재 항공우주, 방산, 자동차, 드론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마크포지드의 3D 프린팅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데 특히 연구기관과 대학에서도 이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실험 및 연구 개발(R&D)에 활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마크포
메크마인드로보틱스(이하 메크마인드)는 AI 기반 3D 비전 솔루션을 통해 글로벌 자동화 시장을 혁신하는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로봇 가이던스와 검사 시스템을 통합하는 기술을 통해, 기존의 단순 자동화 시스템을 뛰어넘어 완전한 지능형 자동화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다. 한국 시장에 대한 전략도 적극적이다. 메크마인드 본사는 한국을 중요한 시장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최근 서울 지사 확장과 교육 센터 설립을 진행하기도 했다. 지난 12일부터 14일, 서울에서 열린 AW 2025 전시회 현장에 대형 부스를 마련한 것도 이러한 행보의 일환이었다. AW 2025 현장에서 메크마인드의 정명진 선임매니저를 직접 만나 메크마인드가 자동화 시장에서 어떤 차별점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향후 비전을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봤다. Q. 메크마인드가 이번 AW 2025에서 중점적으로 소개한 솔루션은 무엇인가요? 메크마인드는 이번 전시회에서 두 가지 주요 제품을 선보였습니다. 첫 번째는 나노 울트라(Nano Ultra-GL)입니다. 이는 컴팩트한 크기와 높은 정밀도를 갖춘 3D 비전 솔루션으로 소형 제조 공정에서도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인텔리빅스가 3월 19일부터 21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세계보안엑스포 2025(SECON 2025)’에 참가해 차세대 생성형 비전 AI 기술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서 인텔리빅스는 ‘AI로 가장 안전한 세상을 만듭니다(The Safest World with AI)’를 슬로건으로 내세우고, 영상 보안부터 출입 보안까지 다양한 보안 기술을 공개할 예정이다. 특히, 국내 최초로 공개되는 생성형 AI 관제 시스템 ‘Gen AMS’가 이번 전시의 핵심이다. Gen AMS는 비전 AI와 생성형 AI를 결합한 차세대 AI 영상 관제 솔루션으로, 공공·산업·건설·교통·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시간 이벤트 감지 및 모니터링, 즉각적인 경고 및 자동 관제일지 작성 기능을 제공한다. 기존의 VMS(Video Management System) 기반 감시 시스템은 복잡한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는 데 한계가 있었던 반면, Gen AMS는 새로운 객체와 복합 상황을 유연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고도화된 AI 기술을 적용했다. 화재, 연기, 쓰러짐 등 주요 이벤트 발생 시 오탐을 최소화하는 기능이 핵심이며, 이를 통해 산업 안전, 방범, 재난 감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세이지가 19일부터 21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세계보안엑스포 2025(SECON 2025)’에 참가해 AI 기반 보안 모니터링 솔루션 ‘세이지 세이프티(SAIGE SAFETY)’를 선보인다. SECON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통합 보안 전시회로, 15개국에서 410여 개의 보안 기업이 참가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소개하는 행사다. 세이지는 이번 전시에서 세이지 세이프티의 실시간 보안 감지 기능을 시연하며, 방문객에게 AI 기반 보안 기술의 성능을 직접 체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기업 및 기관 관계자는 세이지 부스를 방문해 AI 감지 성능과 보안 관제 기능을 확인하고, 맞춤형 보안 솔루션 구축 방안에 대한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세이지 세이프티는 AI 기반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해 산업시설, 건설 현장, 공공기관, 방위산업, 리테일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솔루션이다. 기존 CCTV 감시 시스템이 영상 저장과 수동 감시에 의존하는 것과 달리, 이 솔루션은 AI가 실시간으로 영상을 분석해 이상 행동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즉각적인 경보 시스템을 통해 보안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지난 13일,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는 ‘디지털 퀄리티’를 주제로 AI 자율제조혁신 포럼 2일차 컨퍼런스가 진행됐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특히 바슬러와 코그넥스가 최신 머신비전 기술과 AI를 접목한 다양한 전략을 발표해 주목받았다. 바슬러는 머신비전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의 전환 과정과 FPGA 기반 전처리 기술을 소개했으며, 코그넥스는 팩토리 오토메이션을 위한 AI 기반 머신비전 기술의 발전과 AI 적용 사례를 각각 설명했다. 바슬러, 머신비전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진화 바슬러의 비욘 루데(Bjorn Rudde) 비전 시스템 컨설턴트는 이번 발표에서 바슬러가 기존 컴포넌트 공급에서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전환하고 있으며, 오토메이션, 반도체, 디스플레이, 의료, 바이오 로보틱스 등 다양한 산업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바슬러는 1997년부터 머신비전 컴포넌트 사업을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와 통합 솔루션을 함께 제공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전환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여러 기업을 인수하며 솔루션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렌즈, 카메라, 조명, 프레임 그래버 및 소프트웨어까지 포함된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특히 비욘 루데 컨설턴트는
바이드뮬러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파워 매니지먼트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바이드뮬러코리아는 AC 라인부터 DC 라인까지의 효율적인 전력 모니터링 파워 매니지먼트를 선보였다. 이 솔루션을 구성하는 파워 서플라이는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과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차세대 전원 공급 장치다. 이 제품은 설비의 전원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높이고,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스마트 팩토리 환경에 대응한다. 이를 통해 제조 현장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바이드뮬러는 독일의 전장품 제조사로, 자동화 시장에서 혁신적인 결선 기술과 전원 공급 솔루션을 제공하며 세계적으로 신뢰받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손쉽고 효율적인 전장 설계를 지원
에스에이치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COGNEX의 머신비전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에스에이치텍은 바코드 리더기, 2D, 3D 머신 비전 및 딥러닝 검사 전문 SI(system integrator)로 공장 자동화 분야에서 지난 20년간 다양한 경험과 기술을 축적해 왔다. 최근 딥러닝을 활용한 제조라인에서의 외관 검사 분야에 더욱 많은 경험과 기술 개발을 진행해 오고 있다. 신규 사업분야로 소형 산업용 로봇을 추가해 로봇과 머신 비전을 활용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시스템을 개발했다. 특히 비전사업부는 20여 년간 축적된 다양한 머신비전 솔루션을 통해 제품 평가 및 결함을 발견하고 로봇·기타 장비와의 맞춤 시스템으로 4차 산업혁명 세계의 공장 자동화를 선도하고 있다. 에스에이치텍은 이번 전시회에서 제조 자동화에 사용되는 비전
엠씨테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총판을 맡고 있는 MOONS'의 제품을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엠씨테크는 세계적인 스텝모터 제조회사 MOONS'의 한국 총판을 맡아 국내 산업 특성에 맞는 제품을 중점적으로 판매하는 기업이다. MOONS'는 세계 3위의 스텝모터 생산기업으로 스텝서보, AC&DC서보, BLDC, Linear Motion, SMPS 등의 다양한 솔루션과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모션 시장에서의 영역을 점차 확대해 가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엠씨테크는 스탭 모터, 스탭 서보, 서보모터, 감속기 등을 소개했다. 이 가운데 8축 스테이지는 모든 모션 구현이 가능하며 그 특징으로는 ▲AC Servo + Closed Loop Step + Open Loop Step 적용 ▲All In One System ▲MOONS'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