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글로벌 공작기계 시장 동향 (2018년 9월) 주요 국가의 공작기계 시장이 ‘여름의 정체’ 시기를 벗어났다. 9월 공작기계 수주량 기준, 일본은 2개월 연속 감소세 늪에서 벗어났으며, 0.05%의 감소세를 보인 대만은 증가세 전환 준비를 마쳤다. 미국은 여전히 ‘큰 성장세’의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 9월 수주량은 전월대비 16.6% 증가한 6억892만 달러이다. 일본의 9월 수주량은 1,534억 엔으로 전월대비 9.3% 증가했다. 대만은 3억100만 달러로 전월대비 0.05% 감소했다. 1. 미국 미국의 공작기계 수주량이 2개월 연속 큰 성장세를 보였다. 9월 수주량은 전월대비 16.6% 증가한 6억892만 달러로, 8월(수주량 5억2,200만 달러)에 이어 5억 달러를 넘었다. 전년동월과 대비해서는 50.3%나 증가했다. 특히 1~9월 총 수주량은 40억8,95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7.3%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미국은 숙련공이 줄어들면서 자동화 기계설비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올해 전체의 성장세도 이 같은 이유다. 다만 9월은 8월의 급성장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감소세로
[첨단 헬로티] 글로벌 공작기계 시장 동향 (2018년 7월) 7월은 제조산업에서 고비 시즌이다. 올해 7월 공작기계 글로벌 시장 역시 소폭 감소세를 보였다. 하지만 전년과 비교하면 미국, 일본, 대만 모두 증가했다. 고비를 잘 넘겼다. 미국 7월 수주량은 3억9,900만 달러로 전월대비 3.0% 감소했다. 일본 7월 수주량은 전월대비 5.1% 감소했다. 7월 수주량 3억2,700만 달러를 기록한 대만은 전월대비 3.7% 감소세를 보였다. 1. 일본 2018년 7월 공작기계 수주량은 1,511억 엔으로 전월대비 5.1% 감소했다. 하지만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13.1% 증가한 수치다. 일본 공작기계 시장은 2개월 연속 1,500억 엔 달성을 이어갔다. 일본 공작기계 시장은 앞으로도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일본공작기계협회는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경기에 다양한 리스크가 존재하고 있어 계속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무역 이슈와 조달 문제가 시장 변화를 이끌 요인이다. 내수수주는 674.3억 엔으로 전월대비 7.1% 증가하였다.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22.1%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 업종이 전월
[첨단 헬로티] 2018년 6월 공작기계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의 수주 감소세가 눈에 띈다. 무역 전쟁, 공급망 지연 등으로 주춤했다. 미국 6월 수주량은 전월대비 13.8% 감소했다. 반면 일본은 3개월 만에 수주 증가세를 보였다. 일본 6월 수주량은 전월대비 6.7% 증가했다. 6월 수주량 3억4,000만 달러를 기록한 대만은 전월대비 2.6% 감소세를 보였다. 1. 일본 2018년 6월 공작기계 수주량은 1,593억 엔으로 전월대비 6.7% 증가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도 11.4% 증가한 수치다. 6월에는 1,500억 엔 달성에 성공했다. 이번 수주량에 영향을 미친 요소는 글로벌 경기다. 지난 해 말부터 글로벌 경기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는데 앞으로도 몇 개월 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다양한 리스크가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조달 부분에서 리스크 요소가 남아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내수수주는 629.8억 엔으로 전월대비 0.1% 증가하였다. 소폭이지만 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15.1%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 업종이 전월대비 3.6% 감소했다. 반면 자동차 업종은 2.7%, 전기·정밀기
[첨단 헬로티] 글로벌 공작기계 시장 동향 (2018년 5월) 2018년 5월은 미국과 대만의 수주 증가세가 눈에 띈다. 미국은 전월대비 22.4%, 대만은 20.8%로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일본만 전월대비 8.5%의 감소세를 보였다. 글로벌 경기는 여전히 호조세다. 물론 신흥국 경기 둔화, 관세를 둘러싼 불확실성 등의 불안정 요소도 공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1. 일본 2018년 5월 공작기계 수주량은 1,492억엔으로 전월대비 8.5% 감소했다. 4월에 이은 연속 감소세다. 하지만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14.9% 증가한 수치다. 7개월 연속 1,500억엔 달성은 지켜내지 못했다. 이번 수주량에 영향을 미친 요소는 글로벌 경기다. 지난 해 말부터 글로벌 경기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는데, 앞으로도 몇 개월 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다양한 리스크가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조달 부분에서 리스크 요소가 남아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내수수주는 629억엔으로 전월대비 8.2% 감소하였다. 2개월 연속 감소세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23.2%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 업종이 전월대비 2.2% 증가했다. 반면 자동차 업종은 10.8%,
[첨단 헬로티] 2018년 4월 주요 국가(일본, 대만, 미국)의 공작기계 수주는 전월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 3월 수주량이 많아 상대적으로 감소세를 보인 것. 실제 글로벌 경기는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다. 물론 신흥국 경기 둔화, 관세를 둘러싼 불확실성 등의 불안정 요소도 공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1. 일본 2018년 4월 공작기계 수주량은 1,630억엔으로 전월대비 10.8% 감소했다. 1월 이후 3개월 만에 나타난 감소세다. 하지만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22.0% 증가한 수치다. 6개월 연속 1,500억엔 달성은 지켜냈다. 2017년 말부터 시작된 글로벌 경기 호조세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는 하지만 신흥국 경기 둔화와 같은 글로벌 이슈가 4월 수주량 감소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내수수주는 685억엔으로 전월대비 9.3% 감소하였다. 3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35.8%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 업종이 전월대비 10.0%, 자동차 업종이 11.6%, 전기·정밀기계 업종이 5.8%, 항공기·선박 업종이 9.2% 감소했다. 수출수주는 945억엔으로 전월대비 11.9% 감소했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