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가속기연구소가 수행한 가속기 핵심 장치의 국산화 개발 성과로 다목적방사광가속기 주요 장치의 국내 산업체 수주율이 80%를 넘어서면서, 국내 가속기 관련 산업의 활성화와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포항가속기연구소는 1995년 3세대 방사광가속기 운영을 시작으로 3세대 방사광가속기 성능향상 사업 및 4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며 한국을 대표하는 기초과학 연구시설로 도약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으로 확보한 기술·노하우의 전파를 통한 강소기업 육성 및 효율적 활용 확대를 위해 ‘가속기핵심기술개발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및 가속기 성능향상 역량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방사광가속기 핵심장치 국산화 기술개발사업’을 지원하는 등 중·장기적인 지원을 통해 가속기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기술자립에 기여해 왔다. 이와 같은 노력의 결실로 가속기 구축사업의 국산화율은 지속적인 상승 추세다. 3세대 방사광가속기 성능향상 사업의 국내 산업체 참여율은 50%이며, 4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에선 70%를 달성했다. 2021년부터 구축 중인 다목적방사광가속기 사업에서는 국내 산업체 참여율
AI 반도체 제품의 필수 요소인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할 계획 리벨리온이 글로벌 컴파일러 전문가를 영입하며 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한다. 컴파일러란, 개발자가 사용하는 프로그램 언어를 컴퓨터 등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AI 반도체 등 하드웨어의 최대 성능 달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리벨리온이 국내 대표 컴파일러 전문가 김홍석 박사를 소프트웨어 아키텍트 총괄(Chief Software Architect)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김홍석 박사는 지난달인 5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업무를 개시했다. 김홍석 박사는 다수의 글로벌 테크 기업을 거친 AI 소프트웨어 전문가다. 합류 전 구글의 글로벌 머신러닝 인프라를 총괄하는 ‘Core ML’ 팀의 엔지니어링 디렉터로서 모델 최적화와 AI 반도체용 컴파일러 개발 등의 업무를 이끌었고, 이와 함께 구글 코리아 R&D 부문 대표를 맡았다. 김 박사는 일리노이대학(UIUC)에서 컴파일러와 컴퓨터 구조를 연구했으며, 메타플랫폼과 마이크로소프트 등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경력을 쌓았다. 특히 AI 반도체 구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컴파일러 분야에서 높은 전문성을 가진 것으로
산드라 리베라 前 수석 부사장 및 데이터센터·AI 그룹 총괄 후임으로 선임 HPE, NCR, 심볼 테크놀로지, 모토로라 등 출신...컴퓨팅 및 데이터센터 비즈니스 경험 바탕 오는 2월 1일부로 데이터센터 및 AI 그룹 총괄 역할 수행 인텔은 내달 1일부터 저스틴 호타드(Justin Hotard)가 새로운 수석 부사장 겸 데이터센터·AI 그룹 총괄로서 업무를 수행한다고 알렸다. 호타드 신임 수석 부사장은 산드라 리베라 전 수석 부사장의 후임으로 이 자리에 올랐다. 앞으로 팻 겔싱어(Pat Gelsinger) CEO에게 업무를 보고할 예정이다. 아울러 인텔 제온 프로세서 제품군, 그래픽 처리 장치(GPU) 및 가속기, 엔터프라이즈 및 클라우드 등 부문 사업 전반을 총괄하며, 인텔의 'AI 에브리웨어(AI Everywhere)‘ 미션을 추진하는 데 중심축 역할을 하게 된다. 저스틴 호타드 신임 수석 부사장은 NCR·심볼 테크놀로지·모토로라를 거쳐 휴렛 팩커드 엔터프라이즈(HPE) 수석 부사장 겸 HPC·AI & 랩스 총괄을 역임했다. 팻 겔싱어 인텔 CEO는 호타드 신임 수석 부사장의 선임 배경으로, 데이터센터 및 AI 분야 성장과 혁신 분야에서의 인상적인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기업용 리눅스 글로벌 1위 기업 레드햇과 CXL(Compute Express Link·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 메모리 동작 검증에 성공했다. 삼성전자는 이를 토대로 CXL 상용화 시점을 앞당기고 차세대 메모리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레드햇의 최신 서버용 운영체제(OS)인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이하 RHEL 9.3)에 CXL 메모리를 최적화하고, 가상 머신(Red Hat KVM)과 컨테이너 환경(Red Hat Podman)에서 메모리 인식, 읽기, 쓰기 등의 동작 검증을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 CXL은 고성능 서버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CPU)와 함께 사용되는 가속기, D램, 저장장치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차세대 인터페이스다.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 등의 확대로 처리해야 할 데이터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CXL은 데이터 처리 지연과 속도 저하, 메모리 확장 제한 등 여러 난제를 해결할 수 있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에 CXL 메모리 동작이 검증되면서 데이터센터 고객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변경 없이 손쉽게 삼성 CXL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양사는 '
포항가속기연구소(PAL)는 14일 경상북도, 포항시와 공동으로 2023 제5회 가속기 기반 이차전지 소재 기술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의 주제는 '이차전지 소재 기술'이며, 가속기 기반 이차전지 소재 기술로 탄소 중립 시대를 이끌어 나가기 위한 국제적인 교류와 협력의 장으로 마련됐다. 포항시와 경상북도는 2018년부터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하여 신소재 및 배터리 개발을 위한 신산업 창출을 위해 매년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7명의 국내‧외 이차전지 관련 전문가들이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한 이차전지 소재 기술에 대한 우수한 연구성과 소개 및 최신 정보 공유와 관련 산업 육성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 특히 도쿄공과대학의 신이치 코마바 교수는 'Na-ion 배터리와 K-ion 배터리 재료 과학'이라는 주제로, 특허청의 조수익 팀장은 '차세대 이차전지 특허 동향'이라는 주제로 가속기 기반 이차전지 소재 기술 및 관련 산업 동향에 대해 소개했다. 이외에도 미국 LBNL, BNL과 같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연구소의 석학과 국내 산업자원통상부를 비롯한 포스코홀딩스, 포스코퓨처엠과 같은 국내‧외 연구 및 산업 기관의 저명한 연사들이
[헬로티] 자일링스(Xilinx)는 초고밀도의 비디오 트랜스코딩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알베오 U30 카드와 알베오 U50 두 종의 실시간 컴퓨팅 비디오 어플라이언스(Video Appliance)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자일링스의 새로운 실시간 서버(Real-Time Server) 레퍼런스 아키텍처에 기반한 이 새로운 어플라이언스는 e스포츠,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소셜 네트워크 및 비디오 컨퍼런스, 실시간 원격학습, 원격의료 및 생방송 비디오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체를 대상으로 한 제품이다. 서버 어플라이언스를 통해 채널당 최저 비용으로 비트율과 비디오 품질을 최적화할 수 있어 소프트웨어 기반 및 고정형 아키텍처 접근방식에 비해 상당한 TCO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자일링스 알베오-U50와 자일링스 RT 서버 비디오 채널 밀도와 처리량 및 지연시간이 매우 중요한 엣지 및 온프레미스(On-Premise) 환경의 컴퓨팅 집약적인 작업부하를 위해 설계된 자일링스의 새로운 실시간 비디오 어플라이언스는 업계 최고의 채널 밀도와 최저 지연시간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하드웨어 아키텍처와 소프트웨어를 갖추고 있다. 이 어플라이언스는 자
[헬로티] ▷▶마크 패트릭(Mark Patrick),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 추론(Inference)은 학습 단계에 이어서 머신 러닝의 두 번째 단계이다. 학습 단계에서는 알고리즘이 새로운 모델을 생성하거나 또는 사전에 학습된 모델을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맞게 변형하고 모델이 파라미터들을 학습하도록 한다. 추론 단계에서는 학습된 파라미터에 기반해서 새로운 데이터에 대해서 예측이나 판단을 한다. 학습을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 컴퓨팅 성능, 전력을 필요로 한다. 이에 비해서 추론 단계는 프로세싱 성능을 덜 필요로 하고 전력도 덜 소모한다. 그런데 중앙의 클라우드에서 처리하는 전통적인 방식은 IoT 디바이스를 위해서는 과도하게 자원 집중적일 수 있다. 엣지 상에 상주하는 각각의 IoT 노드로 많은 데이터들을 수집하므로 엣지에서 클라우드로(또는 그 반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들고 시간이 걸린다. 모든 프로세싱을 처리하기 위해서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엣지 컴퓨팅"을 사용해서 대부분의 처리를 직접 하고 꼭 필요한 데이터만 클라우드로(또는 그 반대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엣
[첨단 헬로티] 바이코(Vicor)가 48V에서 직접 구동되는 고성능 GPU, CPU 및 ASIC(XPU) 프로세서를 위한 ChiP-세트(ChiP-set)를 출시했다. 드라이버 MCD4609, 그리고 페어링 제품인 MCM4609 전류 멀티플라이어 모듈은 최대 650A의 연속 전류 및 1,200A의 피크전류를 제공한다. 이 전류 멀티플라이어는 작은 풋프린트와 낮은 프로파일(45.7mm x 8.6mm x 3.2mm) 덕분에 프로세서와 가깝게 배치할 수 있어 전력분배 네트워크(PDN: Power Distribution Network)의 손실을 줄이고, 전력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GPU와 OAM(OCP Accelerator Module) AI(Artificial Intelligent) 카드를 구동하는 4609 ChiP-세트는 현재 양산 중이며, 바이코의 하이드라 II(Hydra II) 평가 보드를 통해 새로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4609 ChiP-세트는 바이코의 LPD(Lateral Power Delivery) 솔루션의 PoP(Power-on-Package) 포트폴리오에 추가된다. 바이코는 LPD 솔루션의 한계 이상으로 전류 용량을 높이기 위해 혁
[첨단 헬로티] 에이디테크놀로지가 시스템 반도체 RTL(Register Transfer Level) 설계 전문 업체 이글램의 지분 100%를 인수해 자회사로 편입했다고 4일 밝혔다. 회사는 이를 통해 개발 인력을 100여 명 수준까지 늘리며 강화된 기업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 회사 측은 “올해부터 국내 파운드리를 이용하는 대규모 시스템 반도체 개발을 진행하기 위한 전문 인력의 보강이 필요한 상황에서 RTL 개발 능력이 입증된 이글램의 지분을 100% 인수해 자회사로 편입시켰다”며 “앞으로도 대규모 개발을 위해 능력 있는 설계 업체를 추가로 인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신 공정인 7nm/5nm 핀펫(FinFet)으로 개발 검토되고 있는 △인공지능(AI) △기계학습(ML) △가속기 등의 최신 시스템 반도체들은 고성능 병렬 컴퓨팅 아키텍처의 설계와 대규모 회로 집적 설계, 전력 및 성능의 효율적 관리 등이 필요하다. 설계 전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빠르고 안정적인 칩 개발을 위해서 대규모의 전문 RTL 설계 인력이 요구되고 있다. 에이디테크놀로지는 최근 공시를 통해 TSMC와의
[첨단 헬로티] 국내 하나 뿐인 선형 대용량 양성자가속기가 2013년 가동을 시작한 이래 2만 시간, 7년 무사고 운전 달성의 이정표를 세웠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 경주 양성자과학연구단(단장 이준식)은 지난 12월 100MeV, 20mA 선형 양성자가속기가 누적 가동 2만 시간, 7년 무사고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국내 유일 경주 양성자가속기가 가동 2만 시간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사진 : 한국원자력연구원>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 번째로 제작된 대용량 양성자가속기 양성자가속기는 미래원천기술 개발과 첨단 산업기술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 2002년 정부 주도로 사업이 시작된 이후, 2012년 12월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 번째로 대용량 양성자가속기로 연구원 독자기술로 완성됐다. 양성자가속기는 수소원자에서 전자를 떼어낸 양성자를 빠르게 가속시키고, 가속된 양성자를 다른 물질에 충돌시켜 성질을 바꾸는 장치이다. 경주 양성자가속기는 양성자를 가속시키는 에너지가 100MeV(1억 전자볼트, 1.5볼트 건전지 6,700만개 에너지)에 달해, 양성자가 1초당 13만㎞의 속도로 다른 물질의 원자에 부딪히게 할 수 있다. 다른 물질의
[첨단 헬로티] 자일링스 측은 서비스 제공업체들은 최근 AI 및 즉각적인 응답시간에 기반한 실시간 서비스 출시를 가속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FPGA 기반 가속 솔루션에 매우 적합한 분야로, 지난해 자일링스(Xilinx)가 알베오(Alveo) 데이터 센터 가속기 카드를 출시한 배경도 이러한 요인 때문이다. 알베오 가속기 카드는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On-Premise) 데이터 센터 전반의 업계 표준 서버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됐다. 사용자는 재구성이 가능한 단일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AI 추론 및 비디오 트랜스코딩과 같은 주요 데이터 센터 애플리케이션을 짧은 지연시간과 혁신적인 성능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XDF 유럽 2019에서는 3개의 회사가 자일링스 데이터 센터 그룹 수석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인 살릴 라제(Salil Raje)와 함께 자일링스 제품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솔루션을 발표했다. ▲XDF 유럽 2019 발표 현장 슈퍼마이크로(Supermicro)의 첨단 제품 총괄 매니저인 에릭 진델라(Eric Sindelar)는 두 종의 새로운 알베오 기반 시스템인 Supermicro DP Ultra와 Supermicro UP 1U
[첨단 헬로티] 안흥식 자일링스 코리아 사장 미국 반도체 기업 자일링스(Xilinx)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다. 엔드포인트에서 에지, 클라우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술에 걸쳐 신속한 혁신을 구현하는 매우 유연한 적응형 프로세싱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안흥식 자일링스 코리아 사장을 만나 2018년 성과와 2019년의 계획, 그리고 반도체 시장에 대한 전망을 들어봤다. ▲안흥식 자일링스 코리아 사장 Q. 2018년 글로벌·국내 시장에서 자일링스의 성과 어떠했나? 자일링스는 11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고, FY2018(2017.4~2018.3) 분기에 매출 최고치를 달성했다. FY2019(2018.4~2019.3)에도 자일링스는 또 다른 기록적인 해를 기대하고 있다. 이 같은 성과는 항공우주 및 국방, 오디오 비디오 방송, 오토모티브, 소비자, 산업 과학 의료, 데이터 센터, 유무선 통신, 테스트 측정 및 에뮬레이션 등 8개 카테고리의 수직(Vertical) 시장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모든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지난 3년 동안 자일링스는 한국 시장에서 비약적인
[첨단 헬로티] AMD는 7nm(나노) 공정 기반 데이터센터용 GPU인 라데온 인스팅트(Radeon Instinct) MI60 및 MI50 가속 카드를 공개했다. AMD 측은 GPU에서 7나노는 세계 최초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제품들은 모두 차세대 딥러닝, 고성능 컴퓨팅(HPC), 클라우드 컴퓨팅, 렌더링 응용 프로그램 구동을 위한 탁월한 컴퓨트 성능을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연구자, 과학자, 개발자들이 대규모 시뮬레이션, 기상 예측, 컴퓨터 생명 공학, 질병 예방 등의 난제 해결에 도움을 줄 것이다. AMD 라데온 테크놀로지 그룹 엔지니어링 부문 수석 부사장인 데이비드 왕(David Wang)은 “오늘날의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하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처리함에 있어, 기존 GPU 아키텍처는 한계가 있다”며, “AMD가 새롭게 선보인 라데온 인스팅트 가속 카드는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과 유연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견고한 ROCm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지원한다. 업계를 선도하는 ROCm 오픈 소프트웨어 생태계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 내 가장 복합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가 지난 10월 17일 열린 ‘삼성 테크 데이(Samsung Tech Day) 2018’에서 CPU의 개입 없이 데이터 상에서 고성능 가속 컴퓨팅을 수행할 수 있는 자일링스 FPGA 기반 SSD 솔루션 SmartSSD를 공개했다. 고성능 컴퓨팅 및 인공지능을 비롯해 차세대 데이터센터의 새롭게 부상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혁신을 실현하기 위한 자일링스 FPGA 기반 삼성전자의 SmartSSD는 데이터 스토리지 자체를 지능화함으로써 속도와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예를 들어, 고양이 이미지를 찾는다고 가정해 보자. 일반적으로 시스템은 서버의 CPU를 통해 데이터를 스토리지 장치로 전송한 다음, 이를 다시 CPU에 전달하고, 마지막으로 사용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만약 스토리지 장치에서 직접 ‘고양이’를 검색할 수 있다면, 성능과 전력 효율은 크게 향상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SmartSSD의 장점이다. ▲자일링스 FPGA 기반의 삼성 SmartSSD솔루션 현재 자일링스 FPGA 기반 가속 솔루션은 음성인식, 비디오 트랜스코딩, 유전자학과 같은 컴퓨팅 애플리케이션을 겨냥하
[첨단 헬로티] 인텔이 컴퓨팅 속도를 높여주는 신개념 하드디스크 가속기 ‘옵테인 메모리’를 4월 3일 기자 간담회를 통해 국내에 첫 소개했다. 옵테인 메모리를 대용량 스토리지 장치와 결합하면 저렴한 가격으로 메모리 용량을 늘리면서, 더 빠른 응답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인텔 측의 설명이다. 최원혁 인텔코리아 상무는 “CPU는 20년전과 비교하면 처리 속도가 수천 배 혹은 수만 배가 향상되는 등 기술이 많이 발전했다. 그동안 하드디스크 또한 기술 발전이 있었지만, 다른 부품과 비교하면 기술 향상 속도가 미흡한 수준이었다. 쉽게 말해, 일반 부품이 비행기 속도로 발전했다면, 하드디스크는 고속버스 수준으로 발전하며 기술 격차가 많이 벌여졌다. 이런 이유로 전체적인 성능에서 버틀랙이 걸리는 것이 하드디스크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는 최근 SSD로 많이 넘어갔지만, 여전히 고용량이 필요한 플랫폼에서는 가격 문제 때문에 SSD로 넘어가기 힘들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드디스크를 가속화 시키는 솔루션 옵테인 메모리를 출시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최원혁 인텔 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