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오는 6월 말까지 ‘머신비전 테크 이노베이션 분야’어워드 공모 한국정보과학진흥협회(이하 KISE, 이사장 박승진)는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이하 KMVIA, 회장 김일목)은 Si-Tech Innovation Award 2024(창의과학신기술경진대회)의 ‘머신비전 테크 이노베이션 분야’어워드를 공모한다고 12일 밝혔다. KMVIA에 따르면, 올해 머신비전 테크 이노베이션 분야는 국내 머신비전 산업 발전에 기여한 단체(연구소 등)를 대상으로 시상할 계획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4차산업혁명 시대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위한 기술과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분야에 연관된 ① Smart Factory Sector(▹Smart Factory Machine Vision Hardware Creative Division, ▹Smart Factory Machine Vision Software/Solution Creative Division)와 스마트 공장 이외에 적용되는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비전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의 ② AI Machine Vision sector(▹Non-Factory AI Vision Hardware Creative Division
[2016, 산업창의 융합포럼 컨퍼런스 리뷰: 첨단 차남주 대표 발표] 제조 현장의 서비스화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그리고 그 서비스는 고객의 개인별 맞춤화된 통합된 가치로 구현된다. 이를 위해서는 고객의 생각과 원하는 상품, 사용에 대한 해동 패턴을 알고 있어야 하는데, 바로 AI 기반 지능형 빅데이터 마켓 플랫폼을 통해서이다. AI 기반 지능형 빅데이터 마켓 플랫폼에 대해 관해 ㈜첨단 차남주 대표가 지난해말 열린 ‘2016 산업창의 융합포럼 컨퍼런스’에서 발표한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첨단 차남주 대표 빅데이터는 발생이 될 것 같다. 이미 아마존에서 볼 수 있듯이 구매와 서비스에 따른 빅데이터가 발생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IoT가 센서나 여러 제조 설비와 결합되면서 빅데이터가 발생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빅데이터와 빅데이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적으로 처리해야 할 것이다. 빅데이터가 발생하게 되면 생각을 해야 하고 그것에 따라 판단과 조치를 취해야 하는데 사람들은 그것을 할 수 없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지능형 빅데이터 마켓 플랫폼이다. 우리가 인더스트리 4.0, 스마트공장에 관해 얘기를 많이 하지만 대부분
산업용 로봇을 빼놓고는 4차 산업혁명을 얘기할 수 없다. 산업용 로봇은 인간을 대신하거나 협업하는 형태로 더욱 지능화되면서 미래 제조 환경의 핵심 분야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로봇 플랫폼과 인공지능 플랫폼 결합의 시도가 이루어지면서 인공지능 로봇이 가져올 새로운 제조 환경이 목전에 두고 있다. 이를 확인할 수 있었던 현장이 바로 지난 11월15일 ㈜첨단이 주최한 ‘산업로봇 기술 동향 및 적용사례 세미나’였다. 이번 세미나에는 이를 듣기 위해 관련 업계 종사자 및 연구기관에서 130여 명이 참석했다. 먼저,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백봉현 실장은 ‘글로벌 로봇산업 동향 및 전망’ 발표에서 “2015년 세계 제조용 로봇 시장은 전년 대비 9.7% 성장한 179억 달러”였으며 “2016년에도 2015년 대비 14.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내 제조업 경쟁력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반면, 경쟁국은 로봇을 활용한 제조업 부흥 정책을 강화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어진 주제 발표에서는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중요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