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발표와 산업 무역 박람회 모두 포함하는 대형 컨퍼런스로 올해 50주년 맞아 리콘랩스는 8일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열린 최대 규모 컴퓨터 그래픽스 컨퍼런스 ‘시그래프(SIGGRAPH) 2023’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시그래프는 학술 발표와 산업 무역 박람회를 모두 포함하는 대형 컨퍼런스로 북미에서 진행되며, 올해 50주년을 맞았다. 시그래프 2023에는 스탠포드, MIT 등 유수 대학에서 논문을 기고하고, 엔비디아, 어도비, 유니티, 디즈니, 픽사, 에픽게임즈, 구글, 오픈AI, 메타와 같은 기업의 리더들이 강연, 토록, 논문 저자 등으로 참여한다. 리콘랩스는 시그래프 부스 전시에서 ‘3D와 함께하는 새로운 라운드의 시작(A WHOLE NEW ROUND IS COMING WITH 3D)’라는 주제로 3D 생성 AI 기술 기반의 3D 크리에이션 솔루션, 3D프레소를 선보인다. 부스에서는 메타버스와 게임, 영상 VFX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3D 에셋의 제작을 직접 경험해볼 수 있다. 또한, 8일(한국기준)에는 반성훈 리콘랩스 대표가 3D 스캐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 경험에 대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3D프레소는 지난 5월 첫 공개 후 디지털 콘텐츠
픽사의 유니버설 씬 디스크립션(이하 USD) 기술의 표준화, 개발, 발전, 성장 지원 엔비디아가 픽사, 어도비, 애플, 오토데스크와 함께 리눅스 재단의 JDF(Joint Development Foundation)가 주관하는 오픈USD 얼라이언스(AOUSD)에 참여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픽사의 유니버설 씬 디스크립션(이하 USD) 기술의 표준화, 개발, 발전, 성장을 지원한다. 얼라이언스는 오픈USD 기술을 강화해 3D 생태계를 표준화한다. 3D 툴과 데이터의 상호운용성을 향상시켜 개발자와 콘텐츠 제작자가 대규모 3D 프로젝트를 묘사, 구성, 시뮬레이션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3D 지원 제품과 서비스를 구축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개발한 오픈USD는 도구, 데이터, 워크플로우 전반에 걸쳐 강력한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는 고성능 3D 장면 묘사 기술이다. 오픈USD는 개선된 성능과 유연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산업과 애플리케이션의 요구를 충족하는 콘텐츠 플랫폼이다. 특히 예술적 표현을 효과적으로 담아내고 영화 콘텐츠 제작을 간소화하는 기능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얼라이언스로 오픈USD의 기능을 상세히 담은 사용 설명서가 제작될
헬로티 함수미 기자 | LG유플러스는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이하 ‘디즈니코리아’)와 자사의 IPTV, 모바일 제휴를 위한 계약을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로써 디즈니, 픽사, 마블, 스타워즈, 내셔널지오그래픽, 스타 등 세계적 인기 콘텐츠를 LG유플러스의 IPTV와 모바일을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양사는 최근 협상을 마무리 짓고, 오는 11월 국내 서비스를 개시하는 글로벌 OTT ‘디즈니+’를 LG유플러스 IPTV·모바일, LG헬로비전 케이블TV 서비스와 연동한다. 이를 통해 U+tv와 헬로tv, U+5G 및 LTE 이용자들은 손쉽게 디즈니+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U+tv는 IPTV 서비스 중 유일하게 디즈니+를 제공해 한층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디즈니+는 디즈니, 픽사, 마블, 스타워즈, 내셔널지오그래픽, 스타 등 디즈니의 6개 핵심 브랜드들의 영화 및 TV 프로그램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다. 오랜 기간 사랑받은 디즈니의 영화, TV 프로그램부터 월트디즈니 스튜디오의 최신작, 스타(Star) 브랜드를 통해 제공되는 ABC, 20세기 텔레비전, 20세기 스튜디오, 서치라이트 픽처스가 제작한 작품들까지 폭넓은 콘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