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퍼스키가 2024 IDA 플러그인 콘테스트에서 IDA Pro 플러그인 ‘hrtng’으로 우승했다. 이 대회는 헥스레이가 주최하는 대회로, 소프트웨어 리버스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영향력 있는 솔루션을 선정한다. IDA는 사이버 보안 전문가·멀웨어 분석가·리버스 엔지니어가 사용하는 필수 도구로, 복잡한 소프트웨어의 내부 작동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활용된다. IDA Pro는 기계 실행 코드를 어셈블리 언어 소스 코드로 변환하여 디버깅 및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지원하는 업계 표준 툴이다. 올해 IDA 플러그인 콘테스트에는 전 세계 개발자가 20개의 플러그인을 출품하여 기술력을 겨뤘다. 카스퍼스키 글로벌 연구 및 분석 팀(GReAT)에서 개발한 hrtng는 리버스 엔지니어링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가속화하는 포괄적인 기능을 갖춰 우승자로 선정됐다. hrtng 플러그인은 보안 연구자가 IDA Pro 워크플로우를 최적화해 복잡한 코드 구조를 분석하고 난독화를 해제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크게 줄이도록 돕는다. 또한, 정교한 사이버 위협 탐지 및 예방을 지원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hrtng는 코드 해독, 난독 해제 및 패치를 위한 고급 도구를 제공
'서비스 인지도 높아질 것' vs '오픈AI에 종속될 것' 갑론을박 이어져 인공지능(AI) 챗봇 챗GPT가 최저가 항공권을 예매해 주고, 2년 전 정보가 아닌 최신 소식도 술술 읊는다. 챗GPT 출시 약 넉 달만인 지난달 말 외부 정보와 서비스를 불러와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 기능이 추가되면서 AI 기업을 비롯한 정보기술(IT) 서비스 플랫폼 시장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플러그인 기능이 각 사 서비스의 세계적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는 기대와 함께, 챗GPT 의존도가 더 높아져 기술·데이터 종속 문제가 빚어진다는 우려가 동시에 나온다. 챗GPT 플러그인은 챗GPT 안에 외부 서비스를 모아 기능을 높이는 일종의 추가 확장 소프트웨어를 지칭한다. 마치 콘센트에 꽂고 뺄 수 있는 플러그처럼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플러그인이라고 부른다. 챗GPT가 2021년 9월 이전 상황 관련 정보만 답할 수 있는 것과 달리, 최신 정보 검색이 가능한 자체 '웹 브라우저' 플러그인을 적용한 챗GPT는 실시간 검색을 통해 훨씬 방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개발사 오픈AI 설명에 따르면, 최신의 정보는 물론, 개인적이거나 구체적인 정보에도 접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