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법 시행…국가안보 기술 방첩기관 간 공유 및 해외 기술유출 차단 특허정보 빅데이터화…중복 연구 방지·세계 기술 동향 파악 등 효율화 특허청(청장 김완기)은 7일부터 ‘산업재산 정보의 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하 산업재산정보법)이 시행된다고 밝혔다. 이 법은 국가안보 관련 기술유출 방지 및 효율적인 산업재산 전략 수립을 위해 전 세계 5.8억 건의 특허정보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명시하고 있다. 산업재산정보법은 △국가안보·기술유출 방지 목적의 산업재산 정보 제공 △기술·산업 지원 목적의 산업재산 정보 분석·활용 △특허정보 인프라 구축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기존에는 출원 후 18개월이 지난 공개 특허 데이터만 활용할 수 있어 최신 기술 분석과 타 기관 정보 제공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이번 법 제정으로 기술 안보와 관련된 긴급 사안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이를 통해 출원 중인 특허정보를 분석·활용할 수 있게 되어, 국가행정기관에 제공되는 분석결과로 기술 보호를 위한 기관 간 협력체계도 구축될 전망이다. 또한 연구개발(R&D) 및 산업지원을 위해 특허정보를 빅데이터화하고, 이를 통해 중복 연구를 방
[헬로티] LG이노텍은 AI 기술을 활용한 특허정보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6일 밝혔다. ▲LG이노텍 마곡 본사/R&D캠퍼스 LG이노텍이 구축한 'AI 특허정보 시스템'은 기존에 사람이 하던 특허정보 분석보다 900배가량 빨리 업무를 처리해 특허정보 5만 건을 4시간 만에 분석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LG이노텍은 LG AI연구원과 함께 개발한 'AI 문장 인식' 모델을 특허정보 시스템에 적용했다. 이를 통해 특허 문서의 텍스트와 문맥을 실시간으로 자동 분석해 특허 응용 분야와 해결과제 등 핵심 정보를 빠르게 추출할 수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회사는 새로 구축한 시스템을 제품·기술 개발과 연구개발 중장기 전략 수립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향후 마케팅과 상품기획, 인사 등으로 활용 분야를 넓힐 계획이다. 강민석 최고기술책임자(CTO) 부사장은 "특허정보는 미래 산업과 시장의 흐름을 보여주는 선행지표로, 향후 특허 빅데이터를 잘 활용하는 기업이 기술 주도권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디지털 전환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전략적 연구·개발로 차별화 기술과 제품을 지속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첨단 헬로티] 특허기술 용어사전 등 특허 데이터 개방 확대 특허청은 국내 특허정보 서비스 기업들의 인공지능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특허분야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포함한 국내·외 특허 데이터를 특허정보활용서비스(KIPRISPlus)를 통해 개방한다고 밝혔다. 특허정보활용서비스(KIPRISPlus)는 특허청이 보유중인 국내·외 특허·상표 등의 테이터를 민간에 보급하기 위한 서비스다. 우선, 민간기업이 인공지능을 적용한 신규 서비스를 개발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특허기술 용어사전, 특허도면 태그정보, 특허 유망성 평가정보 등 학습용 데이터 3종(199만건)을 1월 31일에 무료 개방했다. 특허기술 용어사전은 전기전자 분야 특허공보에서 추출한 기술용어에 정보통신용어 등 부가정보를 융합하여 구축한 데이터로, 인공지능 개발을 위한 학습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특허도면 태그정보는 특허공보의 도면번호와 설명을 연계하여 구축한 데이터로, 이를 활용하면 도면만으로도 해당 발명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유망성 평가정보는 출원정보, 인용정보, 분쟁정보 등 59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키워드 입력을 통한 특허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