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투스가 '컴투스 글로벌 콘텐츠문학상 2022'의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컴투스 본사에서 진행된 이번 시상식은 영예의 대상작 '갈라파고스 게임'을 공동 집필한 백은석, 유혜린 씨를 비롯해 각 부문별 수상자들과 컴투스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컴투스는 우수한 창작 스토리로 글로벌 콘텐츠문학상을 빛낸 수상자들에게 대상 2000만원을 포함한 총 4000만원의 상금과 상패, 상장을 수여했다. 컴투스는 미래 게임 및 콘텐츠 시장을 이끌어갈 창작 인재를 발굴하고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매년 컴투스 글로벌 콘텐츠문학상을 개최하고 있다. 올해 공모전은 '새로운 세상과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원천 스토리'와 '워드 플레이'의 2개 부문으로 나눠 진행됐으며, 총 650여편의 응모작 중 대상 1편을 포함한 11편의 수상작을 선정했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수상작가들과 컴투스 관계자들은 함께 작품에 대해 이야기 나누며, 역대 수상작품집을 살펴보고 컴투스의 대표 게임들을 시연하는 등 다채로운 시간을 보냈다. 한편, 컴투스는 올해의 수상작을 모두 담은 '컴투스 글로벌 콘텐츠문학상 2022 수상작품집' 발간을 준비하고 있다. 작품집에는 유명 일러스트작가가 그린 각
전광판 광고로 알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가 모바일 융합 시대에서 ICT 융합 시대로 가는 와중에 재조명받기 시작하면서 스마트 사이니지로 진화 중이라는 글을 본지 10월호에 기고하였다. 이어서 이번에는 실제 국내 진행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필자는 최근 ICT 업계의 재주목은 포스트 스마트폰에서 출발했다고 생각한다. ICT 업계에서는 웨어러블과 IoT, 상황인식 기술, 위치정보기술, 오감기술 등을 디지털 사이니지를 스마트 사이니지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기술들로 나열한다. 한편, 미디어 업계에서는 PC, TV, 스마트폰에 이은 제4스크린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를 보고 있다. 즉, 기존의 옥외 전광판이 업그레이드되는 개념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를 보고 있는 것이다. 지난 10월호에서 필자는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스마트 사이니지로의 발전 방향에만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편의상 ‘스마트’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번 호에서는 우리나라 행정기관에서 쓰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라는 용어로 통일해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디지털 사이니지가 지금 다시 주목받게 된 배경과 활용 현황을 설명하고, ICT 융합 산업으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