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인공지능(AI)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급변하는 데이터센터 산업에서 지속 가능성과 효율성을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2024년 한 해 동안 AI 활용이 크게 확대되며 전례 없는 성장과 혁신을 이끌어낸 가운데, 데이터센터는 AI 워크로드 증가에 대응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AI 기술 발전으로 인해 데이터센터의 전력 관리 및 냉각 솔루션의 중요성이 한층 강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친환경 데이터센터 운영에 대한 요구가 급증함에 따라 효율적인 전력 관리와 첨단 냉각 기술은 에너지 절약과 비용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며, 이는 데이터센터 운영을 더욱 지속 가능하고 생산적으로 만드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특히 2025년에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을 데이터센터에 통합, 재생 가능 에너지가 풍부한 시기에 에너지를 최적화해 충전하고, 고수요 상황이나 전력 공급 변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아울러 데이터센터와 유틸리티 간의 협력도 강화될 전망이다. AI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센터는 유틸리티와 전력 소비
에퀴닉스(Equinix)가 ESG 분야 목표 달성을 위한 성과를 담은 2023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4일 발표했다. 에퀴닉스는 지속가능성을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진행 상황을 투명하게 보고하며, 윤리와 정직함을 준수하면서 이해관계자와의 적극적인 협력에 기반해 혁신적인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크리스토퍼 웰리스 에퀴닉스 지속가능성 부사장은 “디지털 세상은 이를 뒷받침하는 기존의 전력망보다 더욱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며 우리는 지속가능성 목표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사회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디지털 인프라 제공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세계적인 디지털 인프라 기업인 에퀴닉스는 운영 전반에서 지속가능성을 고려하고 있다”며 “디지털 인프라가 AI와 같이 빠르게 진화하는 기술에 대한 기대치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장혜덕 에퀴닉스 한국 대표는 “생성형 AI 도입으로 데이터의 양이 급증하고 데이터센터 수요가 증가하며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에 드는 막대한 전력 문제에 직면했다”며 “에퀴닉스는 친환경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국 정부와 기업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보장하기 위한 친환경 데이터센터의 새로운 표준을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두바이 버밍엄 대학교에 친환경 데이터센터를 구축했다. 버밍엄 대학교의 영국 캠퍼스와 연결된 해당 데이터 센터는 두 캠퍼스 간의 신속한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고, 최대 에너지의 15%를 절약할 수 있다. 버밍엄 두바이 대학의 캠퍼스는 혁신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춘 스마트 캠퍼스다. 학생과 교수진은 차세대 무선 연결 기술인 WiFi6를 활용해 본 캠퍼스와 해외에 위치한 영국 캠퍼스와 학습 및 연구를 수행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솔루션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에 적용돼 연결된 부하에 대한 전원 관리뿐만 아니라, 전력 사용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Rack PDU를 지원한다.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는 갑작스러운 전력 손실 시 배터리 백업 전원을 제공하며, Easy Rack 마운트는 데이터 센터의 설계와 유지 관리를 단순화한다. 또한,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에코스트럭처IT(EcoStruxure IT) 소프트웨어는 데이터센터의 운영을 개선하기 위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소프트웨어는 현장 또는 원격으로 서버, 냉각 및 전기 장비 전반에서 에너지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한다. 소프트웨어에 내장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