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이하 경북도)가 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부 기술개발 공모 선정 지원사업을 한다고 15일 밝혔다. 경북도는 중소벤처기업부 등 정부 기술개발 연구과제 공모에 신청 예정인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과제 발굴, 사업계획서 작성, 발표 평가 등을 지원한다. 도는 민간기업 기술개발 역량 강화와 정부 공모과제 선정을 위해 2020년부터 이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대학, 연구기관, 민간 컨설팅 업체 등 연구개발 전문가 167명으로 인력풀을 구성해 기업에 필요한 전문가를 매칭해주고 있다. 올해는 기존에 해오던 과제발굴, 발표평가, 기획, 차년도 대비 등 컨설팅 지원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도 마련했다. 최근 3년간 해당 사업으로 정부 기술개발 공모에 69곳의 75개 과제가 선정돼 정부지원금 332억 원을 따냈다. 이영석 경북도 경제산업국장은 "중소기업 기술혁신을 범국가적으로 지원하는 제도에 발맞춰 우수한 지역 기업들이 공모사업에 더 많이 선정될 수 있도록 돕겠다"고 전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민간 주도 R&D 대폭 확대…초격차 분야 스타트업 집중 지원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기술개발(R&D)에 1조8,247억원을 지원하는 내용의 '2023년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 사업 통합공고'를 26일 낸다. 중기부는 ▲ 민간 주도 R&D 활성화 ▲ 협력·연계형 R&D 강화 ▲ 전략 분야 육성 ▲ 연구환경 개선 등을 내년 R&D 사업의 4대 추진전략으로 정해 민간 주도 R&D를 대폭 확대하고 초격차 분야 스타트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민간 주도 R&D 활성화를 위해 민간 전문기관이 검증한 기업에 대한 R&D 출연 규모를 확대하는 등 2,681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협력·연계형 R&D 지원 강화를 위해서는 산·학·연 간 기술, 인력, 인프라 공유 촉진 사업 등을 신설해 1천197억원을 지원한다. 특히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자동차, 로봇, 항공우주, 차세대원전, 양자기술 등 초격차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을 보유한 신산업 유망 스타트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또 창업 때부터 세계 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하는 글로벌 스타트업을 위한 전용 R&D 지원 사업을 신설하는 등 전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은 지난 16일 한국교통안전공단(TS)과 TS 본원에서 ’한국교통안전공단 수요기반 중소기업 기술개발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 이슈 발굴 및 개선, ▲중소기업 기술사업화를 위한 판로지원 강화, ▲개발기술 실증을 위한 시험시공(Test-bed) 활용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의 발전과 기술경쟁력의 강화를 위한 공동이슈를 발굴하고 협력이 필요한 영역을 서로 보완 및 강화추진 하는 등 이번 협약으로 인해 첨단 미래교통, 중소기업의 새로운 분야의 판로를 개척함에 따라 동반성장이 기대되는 바이다. 내년 상반기에는 공공기관의 혁신조달구매 및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구매조건부 R&D 사업공고를 통해, 신제품개발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R&D 연계 지원을 실시할 예정이다. 구매조건부 R&D사업은 수요처가 협력의사를 밝히고 개발을 제안한 과제에 대해 자금을 지원하는 맞춤형 기술개발로 중소기업에게는 기술경쟁력 확보와 안정적인 판로수익을 얻는다는 것에 큰 장점이 있다. 이번 양 기관의
[헬로티] 중소벤처기업부는 제15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중소기업 기술개발(R&D) 성과제고 방안(관계부처 합동)’을 발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이번 대책은 3차례의 중소기업 기술개발(R&D) 전략의 후속대책으로, 그간 중소기업 기술개발 정책을 점검하고 성과제고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코로나19 위기 이후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2050 탄소중립 선언 등 기업의 경영환경 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른 정책적 보완사항도 담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의 추진 전략은 ▲전통 제조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 ▲기술개발 협력 생태계 강화 ▲기술개발 제도 인프라 혁신을 통한 중소기업 기술개발 성과제고 등 3가지다. 전통 제조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 첫째로 해당 분야 기술개발 전략투자를 확대한다. 기존 첨단기술과 함께 중위기술에 대한 기술 로드맵을 수립하고 로드맵과 연계한 전략투자를 35% 확대해 (예산 3018억 원) 전통 제조 중소기업에 투자할 계획이라 밝혔다. 둘째, 중소기업에 대한 대학·연구기관의 기술지원을 강화한다.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지원을 강화할 수 있도록 출연연·중소기업 협력형 기술개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제품이 대기업․공공기관 간의 구매 연계가 더욱 강화된다.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이 기술개발한 제품에 대해 대기업, 공공기관 등 수요처의 구매율을 제고할 수 있도록 '구매 조건부 신제품 기술개발사업' 개선방안을 마련, 시행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대기업, 공공기관 등 수요처의 구매 간 연계를 강화하여 수요처의 구매율을 제고하기 위해 먼저, 주요 판매 장애 요인인 시장 위축 등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수요처의 기술개발 과정 참여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수요처의 과제와 구매 책임성 제고를 위해 수요처 자부담 부과 확대 및 구매 계획서 제출 의무화도 추진되며, 수요처의 사업 참여 인센티브도 구매 실적 중심으로 개선된다. 한편, 구매조건부 신제품 기술개발사업은 2002년 도입 이후 2014년까지 2,410개 과제를 지원했으며, 2012년까지 성공과제 1,130개 중 833개 과제(73.7%)에서 구매가 발생하는 등 기술개발 제품의 안정적 판로 확보라는 순기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청 관계자는 "이 개선 방안을 통해 기술 환경변화나 수요처의 귀책으로 인한 구매 미이행은 크게 감소될 것으로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