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25일 “제조업 중심의 수·위탁거래 관계를 넘어 유통 플랫폼과 금융 분야까지 상생협력의 범위를 넓히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발언은 중소벤처기업부와 동반성장위원회가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동반성장으로 그리는 미래, 함께 성장하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개최한 ‘2025 동반성장 주간 기념식’에서 격려사를 통해 나왔다. 한 장관은 “지난 20여 년 동안 정부는 현장과 꾸준히 소통하며 상생협력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노력해 왔고, 민간기업도 적극적으로 호응해 큰 역할을 했다”며 “앞으로는 협력사를 넘어 비협력사, 창업기업, 소상공인 등 다양한 경제 주체로 협력 범위를 확대해 상생 생태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달곤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도 “상생의 외연을 더욱 확장해 기업 경쟁력뿐 아니라 산업 생태계 전체 역량을 함께 키워야 한다”며 “이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기념식에서는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유공 포상식이 함께 열렸다. 은탑산업훈장은 엄재훈 삼성전자 부사장이 수상했다. 그는 삼성전자 상생협력센터장을 맡아 상생협력 정책을 총괄하며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와 양극화 해소 기여 공로를 인정받았다. 동탑산업훈장은 김종백
중소벤처기업부는 24일 제5차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은 국내 제조업의 경쟁력 저하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중소 제조기업 중심의 AI 전환을 가속화하고, 스마트제조 생태계의 구조적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종합 계획이다. 대기업은 자체적인 AI 인프라를 구축할 여력이 있으나, 중소 제조기업은 비용 부담과 인력난으로 AI 도입이 더디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중기부는 제조기업과 기술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해, 국내 제조업의 근간인 중소기업이 AI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번 전략을 수립했다. 중소 제조기업 AI 대전환 추진 중기부는 먼저 중소 제조기업의 수준별 맞춤형 AI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스마트공장 기반의 디지털 인프라 위에 버티컬 AI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전문가 컨설팅을 강화해 제조 AI 활용의 전 주기를 지원한다. 아울러 환경성과 안전성 평가 요소를 도입해 친환경·친노동적인 제조 환경을 확산하고, 경영자와 근로자의 산업안전 인식 제고 교육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대기업이 보유한 거대언어모델(LLM)을 활용해 중소 협력사의 AI 도입을 지원하는 상생형 AI 공
국장급 전보: ▲ 중소기업정책관 박종찬 ▲ 벤처정책관 이은청 ▲ 소상공인정책관 조경원 ▲ 소상공인코로나19회복지원단장 이현조 ▲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원영준 ▲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조종래 과장급 전보: ▲ 기업환경정책과장 신재경 ▲ 국제통상협력과장 오지영 ▲ 기술보호과장 정재훈 ▲ 특구지원과장 노진상 ▲ 소상공인성장촉진과장 이상천 ▲ 전통시장과장 안원호 ▲ 소비촉진기획총괄반장 김윤우 ▲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 지역정책과장 성녹영 ▲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지역정책과장 강호정 ▲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지역정책과장 서정언 ▲ 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윤영섭 ▲ 강원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윤종욱 ▲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정선욱 ▲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안태용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헬로티 김진희 기자 | 국장급 전보 ▲ 중소기업정책관 김희천 ▲ 글로벌성장정책관 오기웅 ▲ 창업진흥정책관 노용석 ▲ 중소기업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장 박종찬 ▲ 규제자유특구기획단장 김대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