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대표이사 고진)이 한국디지털문서플랫폼협회가 주관하는 ‘2025년 디지털문서플랫폼 혁신대상’에서 단체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롯데시티호텔에서 디지털 혁신 분야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 디지털문서플랫폼 혁신대상은 2021년 제정되어 매년 디지털문서 활용 확산에 기여한 단체와 개인을 발굴해 시상하는 행사다. 이번 수상을 통해 KTNET은 디지털 혁신의 선도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국가전자무역기반사업자로서 KTNET이 운영하는 디지털 무역·물류 플랫폼 uTradeHub는 무역업체, 은행, 보험사, 포워더, 선사, 보세장치장 등 약 13만 개 무역물류업체가 이용하고 있다. 이 플랫폼을 통해 매년 650종 이상의 수출입 문서가 디지털화되어 제공되며, 이를 통한 무역·물류업계의 연간 비용 절감 효과는 약 15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KTNET은 2024년 한 해 동안 9억 4천만 건의 디지털 문서를 처리하며, 2023년 대비 25% 증가한 기록을 세웠다. 특히 AI 기술을 적극 도입해 고객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키며, 해상적하 위험물 판정서비스 모델 개발, 생성형 챗봇 서비스 도입, 자
발급부터 제출까지 10분 이내로 단축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대표이사 고진)은 디지털 시험성적서의 유통 확산을 위해 1월 14일 COEX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7대 시험인증기관, 한전, 발전 5사 공기업, 에너지공단과 함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디지털 문서를 통한 시험성적서의 신뢰성과 유통 효율성을 높이고, 국가 전자무역기반시설을 활용한 안전한 문서 유통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산업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의 주관 하에 KTNET을 포함한 총 15개 기관의 대표가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디지털 시험성적서를 발급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인편 및 등기우편을 활용한 수작업 방식에서 벗어나, 전자적 방식으로 빠르고 안전하게 문서를 유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 시험성적서는 시험인증기관이 특정 제품이나 부품, 기자재 등에 대한 시험 결과를 발급하는 문서로, 주로 한전, 에너지공단, 발전 5사 등 주요 수요기관에 전달된다. 기존의 오프라인 방식은 전달 과정에서 위변조의 가능성이 존재하고, 6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번 디지털 시험성적서 시스템 도입으로 시험성적서의 발급부터 최종 수요기관에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대표이사 김병훈)은 국민은행(은행장 이재근) 및 하나은행(은행장 이승렬)과 손을 잡고 은행 수입금융 상품을 전자무역 결제유예송금 서비스로 본격 제공한다. 결제유예송금이란 수입업체가 은행 자금으로 수출자에게 수입대금을 선지급하고 만기일 전에 원금과 이자를 결제하는 서비스로 국민은행의 Payment Usance, 하나은행의 Usance 송금 등의 은행 수입 금융상품을 전자무역 프로세스로 구현한 서비스이다. 이를 통해 무역업체는 은행 방문이나 기업뱅킹과 동일하게 전자무역을 통해서도 수입대금을 지급할 수 있다. 특히, 무역업체는 KTNET의 결제유예송금 전자무역 프로세스를 통해 국내은행이 해외은행으로 송신하는 SWIFT(국제은행간통신협정) 전문의 송금신청 내용이나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국내은행에 해외 SWFIT 전문 내용을 따로 요청할 필요가 없다. KTNET 디지털무역물류사업본부장 김재천 상무는 “결제유예송금 서비스는 신청 전자문서의 은행 수신 여부 확인 및 은행의 승인결과서 회신 기능 등을 구현한 것이어서 무역업체의 업무 편의성을 크게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결제유예송금 서비스는 KTNET의 디지털무역 플랫폼인 유트레이드허브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은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과 업무 방식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KETI는 ICT융합 분야 기술 개발을 통해 기업 협력을 확대하는 국내 핵심 연구기관이다. KTNET은 국가 전자무역 기반 사업자로 전자무역·공인전자문서센터·전자수입인지·공동인증서 등 국내 전자문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ETI와 KTNET은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종이서류 없는 디지털 기업환경 조성과 탄소중립 방안 마련에 합의했다. 양 기관은 양해각서를 통해 ▲문서 처리 보관의 디지털 전환 ▲전자계약 활용 확산 ▲디지털 증명서 발급·유통 확산 ▲첨단 기술형 차세대 인증·보안 사업 등에 관해 협력함으로써 업무 방식의 디지털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신뢰스캔 시스템 도입으로 KETI 보유 종이 문서의 페이퍼리스(Paperless)를 구현하고, 전자계약시스템을 운영함으로써 그동안 대면·수기 형식 위주였던 계약 업무의 자동화를 추진한다. 또 업무 현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그동안 서면으로 발급하던 증명서 대신 디지털 증명서를 발급하여 유통 확산에 협력하고, 블록체인과 양자 암호화 등 첨단 기술 기반의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