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솔루션 전문기업 트리나솔라가 한국 유틸리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트리나솔라는 오늘 11일 미디어브리핑을 열고 기자들을 만나 이같이 밝혔다. 앤드류 길훌리(Andrew Gilhooly) 트리나솔라 아태지역 유틸리티, 커머셜 및 인더스트리얼 솔루션 부문장은 “한국은 G20 국가 중 풍력, 태양광 발전량이 낮은 국가 중 하나이고, 특히 석탄, 석유, LNG, 원자력 발전이 전체 에너지 믹스의 77%를 차지하고 있다”며, “한국은 주요 에너지 수입국으로 석탄, 석유 등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은 2020년부터 2021년부터까지 1% 가량 밖에 늘어나지 않아, 겨우 9%에 미친다“며, “풍력과 태양광 비율이 0.8%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앤드류 부문장은 “그러나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증가하고 있지 않은 것은 아니”라며, “한국 지역은 재생에너지 용량 부문에서 아태(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5위를 차지하고 있고, 2022년도 말 21기가와트(GW)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앤드류 부문장은 한국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시장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 태양광 에너지가 많이 늘어나지 못했던 이유 중 하
350MW 규모 발전소 대상 추가 수익 제공 엔라이튼의 전력중개 정산금이 전력거래소 기준 현재까지 누적 2억 원을 돌파했다. 지난 10월 ‘전력거래소 전력중개 발전량 예측제도’ 시행 이후 엔라이튼과 함께한 전력거래소 자원은 350MW에 달한다. 엔라이튼은 올해 1월 전력중개 발전량 예측제도에 참여한 발전사업자를 대상으로 첫 수익을 정산한 이후 3개월 만에 누적 2억 원의 정산금을 기록했다. 전력중개 발전량 예측제도는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출력 변동성을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만큼 전력중개 사업자 대상 정산금이 부여되는 오차율(8%) 이내의 정교한 발전량 예측 기술력이 강조된다. 최근 전력중개 정산금 지급이 시작됨에 따라 예측력은 물론, 정산금 크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집합 자원 구성 기준과 발전소 관리 운영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엔라이튼은 전력거래소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 실증사업에 공식 합격한 이후 빅데이터 기반 정교한 예측력은 기본, 정산금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왔다. 실제로 전국에 흩어진 집합 자원의 가상발전소(VPP) 구성 기준과 발전소 운영 및 관제가 정산금에 영향을 미칠 것을 파악해 집합 자원 구성의 최적화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2021년 재생에너지 보급량을 조사한 결과, 4.8GW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 보급목표인 4.6GW를 초과 달성한 것이다. 발전원별 연간 보급량은 태양광 4.4GW, 풍력 0.1GW, 기타(바이오 등) 0.3GW로 집계됐다. 누적 재생에너지 설비는 2021년말 기준 약 29GW(태양광 21GW, 풍력 1.7GW) 수준이다. ‘재생에너지 3020 계획’ 이후 최근 4년간 신규 보급 용량은 18.2GW에 달하며, 2017년말 12.2GW와 비교해 1.5배 증가한 수준이다. 특히, 태양광의 경우 4년간 신규 보급용량이 15.6GW로 2017년말 누적 용량 6.4GW 대비 2.4배 이상을 신규 확충했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의 발전량 비중(사업용 기준) 역시 2017년말 3.2%에서 6.5% 수준(2021년 10월 기준)으로 2배 이상 증가한 모습이다.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입지규제 강화 등에 따라 산지 태양광의 보급은 2020년 보다 조금 감소한 모양새다. (2020년 1.2GW → 2021년 0.8GW) 다만, 지난해 REC가중치 상향 등에 따라 2020년 보다 착공이 크게 증가하면서 중장기적으로 보급이 본격화될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