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로봇사용자협회와 업무협약 체결...지속 가능한 로봇 트렌드 정조준 “중고 로봇 업계의 성장, 지속가능성 확보로 시장 전환점 될 것” 브릴스가 한국로봇사용자협회(KORUA)와 로봇 리퍼비시(Refurbish) 관련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로봇 리퍼비시는 중고 로봇 기체를 개선하거나 재제조하는 과정을 뜻한다. 양 기관은 이달 23일 개막한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현장에서 이 같은 공동의 뜻을 밝혔다. 앞으로 중고 로봇 재제조 및 품질 인증 체계를 확립하고, 관련 기술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브릴스는 중고 로봇의 재제조 및 리퍼비시 과정을 지원한다. KORUA는 로봇 품질검사 데이터 제공 및 재자원화 기술 고도화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자원 재활용 및 효율성으로 인한 중고 로봇 공급망이 확충되고, 관련 기술 지원 시스템이 구축될 전망이다. 이는 비용 절감, 비즈니스 모델 확장, 자원·에너지 소모 절감 등으로 이어져 로봇 업계에 경쟁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받는다. 전진 브릴스 대표이사는 “양 기관의 협력은 중고 로봇 업계의 성장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동시에 노릴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십”이
‘다양성’이 요구되는 시대가 도래하고 적지 않은 시간이 흘렀다. 다양성 확보라는 양상은 글로벌 산업에도 수많은 변화를 초래했다. 대표적으로, 과거부터 효율성 달성만을 지향하며 흐른 산업 형국은 ESG를 필두로 한 ‘지속가능성’, 글로벌 친환경 트렌드에 의해 탄생한 ‘탈탄소 및 자원 소비 절감’, 이에 따른 ‘에너지 효율성 확보’ 등으로 인해 변곡점을 맞았다. 요약하면 국가는 이 경향을 따르기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하고, 기업은 기존 본질적 목표인 ‘효율성 달성’과 더불어 앞서 언급한 경향을 소화하면서도, 자신들의 이미지와 가치를 제고하는 등의 고차원적인 비전을 구축·실현해야 한다. 특히 식품(F&B) 산업은 주체 간 경쟁이 치열한 ‘레드 오션(Red Ocean)’의 환경에서 앞선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해야만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다. 업계는 식품 제조공정 측면에서 지속가능성, 즉 지속적 자원 관리, 에너지 절감 및 효율 향상 등 환경성을 확보하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 해당 배경에서 이달 25일 온라인 세미나(웨비나) 플랫폼 ‘MTV(Manufacturing TV)’에서 ‘지속 가능한 식품생산공정을 위한 알파라발 솔루션’이 송출된다. 식품 및 제약 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