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여파가 크다. 미국, 일본, 대만 모두 3월 수주량(대만은 수출량)이 증가했지만 앞날에 대해서는 ‘미·중 무역 전쟁으로 인한 불확실성’이라는 공통된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간 강세를 보였던 미국도 이제 속도가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의 3월 수주량은 전월대비 25.9% 증가한 4억1,366만 달러이다. 일본은 1,306억 엔으로 전월대비 19.1% 증가했다. 대만의 3월 수출량은 2억6,939만 달러로 전월대비 49.2% 증가했다. 1. 미국 2019년 3월 미국의 공작기계 수주량은 4억1,366만 달러로 전월(3억2,860만 달러)대비 25.9% 증가했다. 반면 전년동월(5억1,511만 달러)대비로는 19.7% 감소한 수치다. 1~3월 총 수주량은 11억3,696만 달러로 전년(12억5,585만 달러)대비 9.5% 감소했다. 아직 시장이 강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점차 그 힘이 줄어들고 있다. 미국제조기술협회(AMT) 팻 맥기본(Pat McGibbon) CKO(최고지식경영책임자)는 “2019년 제조 시장이 2018년에 비해 다소 줄고는 있지만 과거 큰 불황 이후 최고의
[첨단 헬로티] 2019년 2월 글로벌(미국·일본·대만) 공작기계 시장 동향 2월은 미국, 일본, 대만 모두 전월대비 및 전년동월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해석은 다르다. 미국은 여전히 공작기계 시장이 강세를 보인다고 해석했고, 일본은 글로벌 시장, 특히 중국에서 퍼지는 불확실성이 시장 침체의 원인으로 판단했다. 미국의 2월 수주량은 전월대비 15.3% 감소한 3억3,722만 달러이다. 일본은 1,097억 엔으로 전월대비 12.5% 감소했다. 대만의 2월 수출량은 1억8,061만 달러로 전월대비 36.7% 감소했다. 1. 미국 2019년 2월 미국의 공작기계 수주량은 3억3,722만 달러로 전월(3억9,795만 달러)대비 15.3% 감소했다. 전년동월(3억6,270만 달러)대비로도 7.0% 감소한 수치다. 1~2월 총 수주량은 7억3,518만 달러로 전년(7억4,075만 달러)대비 0.8% 감소했다. 미국제조기술협회(AMT) 더그 우즈(Doug Woods) 회장은 “비록 전월대비 감소세를 보이기는 했지만 현재 미국 공작기계 수주 흐름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중국의 관세협상도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고 있는 시점이다&rd
[첨단 헬로티] 전통적으로 1월 수주는 전년 12월 대비 감소세를 보인다. 미국, 일본, 대만 모두 이를 증명하듯 모두 공작기계 수주 및 수출 감소세를 보였다. 문제는 감소폭이다. 미국은 평년에 비해 절반의 감소세를 보이며 순조로운 출발을 보인 반면, 일본은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미국의 1월 수주량은 10.5% 감소한 3억9,631만 달러이다. 일본은 1,254억 엔으로 전월대비 7.5% 감소했다. 대만의 1월 수출량은 2억8,500만 달러로 전월대비 12.1% 감소했다. 1. 미국 - 평년 비해 선방 2019년 1월 미국의 공작기계 수주량은 3억9,631만 달러로 전월(4억4,258만 달러)대비 10.5% 감소했다. 전년동월(3억7,805만 달러)대비로는 4.8% 증가한 수치다. 매년 1월은 전년 12월 대비 큰 감소세를 보였지만 올해 1월은 평년에 비해 절반의 감소세를 보이는 것에 그쳤다. 미국제조기술협회(AMT) 더그 우즈(Doug Woods) 회장은 “올해 1월은 USMTO 리포트가 발간된 지 22년 만에 최고 수준의 시작이었다. 이는 미국 공작기계 성장이 그치지 않았음을 암시한다”고 설명했다. 더그 우즈 회장은 &ldquo
[첨단 헬로티] 미국·대만 수주량 소폭 감소, 일본은 감소폭 커 11월도 10월의 감소세 분위기가 이어졌다. 11월 공작기계 수주량 기준, 미국은 3분기 열기가 거의 빠져나간 듯 감소폭이 줄었다. 일본은 9월 반짝 증가세 이후 감소 분위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수출 실적에 적신호가 켜진 것이다. 대만은 소폭 감소로 11월을 마무리했다. 미국의 11월 수주량은 전월대비 1.7% 감소한 4억5,848만 달러이다. 일본은 1,316억 엔으로 전월대비 5.7% 감소했다. 대만의 11월 수출량은 2억9,600만 달러로 전월대비 2.2% 감소했다. 1. 미국 11월 미국의 공작기계 수주량은 4억5,848만 달러로 전월(4억6,632만 달러)대비 1.7% 감소했다. 전년동월(4억2,793만 달러)대비로는 7.1% 증가했다. 2017년과 비교하면 최근 4분기 실적이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3분기 실적에는 못 미치는 실적이다. 한편 이번 11월을 포함해 미국 공작기계 수주량은 50억 달러(50억1,438만 달러)를 넘어섰다. 2017년과 비교하면 22.4% 증가한 수치다. 미국제조기술협회(AMT) 관계자는 “지난 3분기 실적은
[첨단 헬로티] 글로벌 공작기계 시장 동향 (2018년 9월) 주요 국가의 공작기계 시장이 ‘여름의 정체’ 시기를 벗어났다. 9월 공작기계 수주량 기준, 일본은 2개월 연속 감소세 늪에서 벗어났으며, 0.05%의 감소세를 보인 대만은 증가세 전환 준비를 마쳤다. 미국은 여전히 ‘큰 성장세’의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 9월 수주량은 전월대비 16.6% 증가한 6억892만 달러이다. 일본의 9월 수주량은 1,534억 엔으로 전월대비 9.3% 증가했다. 대만은 3억100만 달러로 전월대비 0.05% 감소했다. 1. 미국 미국의 공작기계 수주량이 2개월 연속 큰 성장세를 보였다. 9월 수주량은 전월대비 16.6% 증가한 6억892만 달러로, 8월(수주량 5억2,200만 달러)에 이어 5억 달러를 넘었다. 전년동월과 대비해서는 50.3%나 증가했다. 특히 1~9월 총 수주량은 40억8,95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7.3%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미국은 숙련공이 줄어들면서 자동화 기계설비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올해 전체의 성장세도 이 같은 이유다. 다만 9월은 8월의 급성장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감소세로
[첨단 헬로티] 글로벌 공작기계 시장 동향 (2018년 7월) 7월은 제조산업에서 고비 시즌이다. 올해 7월 공작기계 글로벌 시장 역시 소폭 감소세를 보였다. 하지만 전년과 비교하면 미국, 일본, 대만 모두 증가했다. 고비를 잘 넘겼다. 미국 7월 수주량은 3억9,900만 달러로 전월대비 3.0% 감소했다. 일본 7월 수주량은 전월대비 5.1% 감소했다. 7월 수주량 3억2,700만 달러를 기록한 대만은 전월대비 3.7% 감소세를 보였다. 1. 일본 2018년 7월 공작기계 수주량은 1,511억 엔으로 전월대비 5.1% 감소했다. 하지만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13.1% 증가한 수치다. 일본 공작기계 시장은 2개월 연속 1,500억 엔 달성을 이어갔다. 일본 공작기계 시장은 앞으로도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일본공작기계협회는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경기에 다양한 리스크가 존재하고 있어 계속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무역 이슈와 조달 문제가 시장 변화를 이끌 요인이다. 내수수주는 674.3억 엔으로 전월대비 7.1% 증가하였다.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22.1%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 업종이 전월
[첨단 헬로티] 2018년 6월 공작기계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의 수주 감소세가 눈에 띈다. 무역 전쟁, 공급망 지연 등으로 주춤했다. 미국 6월 수주량은 전월대비 13.8% 감소했다. 반면 일본은 3개월 만에 수주 증가세를 보였다. 일본 6월 수주량은 전월대비 6.7% 증가했다. 6월 수주량 3억4,000만 달러를 기록한 대만은 전월대비 2.6% 감소세를 보였다. 1. 일본 2018년 6월 공작기계 수주량은 1,593억 엔으로 전월대비 6.7% 증가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도 11.4% 증가한 수치다. 6월에는 1,500억 엔 달성에 성공했다. 이번 수주량에 영향을 미친 요소는 글로벌 경기다. 지난 해 말부터 글로벌 경기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는데 앞으로도 몇 개월 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다양한 리스크가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조달 부분에서 리스크 요소가 남아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내수수주는 629.8억 엔으로 전월대비 0.1% 증가하였다. 소폭이지만 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15.1%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 업종이 전월대비 3.6% 감소했다. 반면 자동차 업종은 2.7%, 전기·정밀기
[첨단 헬로티] 글로벌 공작기계 시장 동향 (2018년 5월) 2018년 5월은 미국과 대만의 수주 증가세가 눈에 띈다. 미국은 전월대비 22.4%, 대만은 20.8%로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일본만 전월대비 8.5%의 감소세를 보였다. 글로벌 경기는 여전히 호조세다. 물론 신흥국 경기 둔화, 관세를 둘러싼 불확실성 등의 불안정 요소도 공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1. 일본 2018년 5월 공작기계 수주량은 1,492억엔으로 전월대비 8.5% 감소했다. 4월에 이은 연속 감소세다. 하지만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14.9% 증가한 수치다. 7개월 연속 1,500억엔 달성은 지켜내지 못했다. 이번 수주량에 영향을 미친 요소는 글로벌 경기다. 지난 해 말부터 글로벌 경기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는데, 앞으로도 몇 개월 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다양한 리스크가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조달 부분에서 리스크 요소가 남아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내수수주는 629억엔으로 전월대비 8.2% 감소하였다. 2개월 연속 감소세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23.2%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 업종이 전월대비 2.2% 증가했다. 반면 자동차 업종은 10.8%,
[첨단 헬로티] 2018년 4월 주요 국가(일본, 대만, 미국)의 공작기계 수주는 전월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 3월 수주량이 많아 상대적으로 감소세를 보인 것. 실제 글로벌 경기는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다. 물론 신흥국 경기 둔화, 관세를 둘러싼 불확실성 등의 불안정 요소도 공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1. 일본 2018년 4월 공작기계 수주량은 1,630억엔으로 전월대비 10.8% 감소했다. 1월 이후 3개월 만에 나타난 감소세다. 하지만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22.0% 증가한 수치다. 6개월 연속 1,500억엔 달성은 지켜냈다. 2017년 말부터 시작된 글로벌 경기 호조세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는 하지만 신흥국 경기 둔화와 같은 글로벌 이슈가 4월 수주량 감소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내수수주는 685억엔으로 전월대비 9.3% 감소하였다. 3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는 35.8%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 업종이 전월대비 10.0%, 자동차 업종이 11.6%, 전기·정밀기계 업종이 5.8%, 항공기·선박 업종이 9.2% 감소했다. 수출수주는 945억엔으로 전월대비 11.9% 감소했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