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AICT(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 환경에 빠르게 대응하고 전국 네트워크 인프라 시설의 품질을 강화하기 위해 경기도 분당사옥에 ‘KT 기술평가 랩’을 열었다고 27일 밝혔다. KT는 삼성전자, 에릭슨 엘지, 노키아 등 이동통신 장비제조사와 가온그룹, 기산텔레콤, 엔더블유시, 우리넷, 유비쿼스, 이루온, 주니퍼 등 주요 협력사가 참석한 가운데 기술평가 랩 개소를 알리고 주요 시설을 안내하는 행사를 27일 진행했다. 랩은 10개의 기본 평가실과 실제 네트워크 환경과 연동해 안정성을 테스트하는 ‘시스템/단말 종합연동평가실 ’, 해외 원천사와 실시간 연결해 시험할 수 있는 ‘원격평가실’, 전자파 차단상태에서 해당 제품의 고유한 무선 주파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한 ‘차폐실’ 등으로 구성됐다. 제품·서비스의 통신 품질 확보를 위해 열악한 온·습도 환경에서 신뢰성을 테스트할 수 있는 챔버 시설, 낙뢰 등 과전압 유입으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서지 보호 기능 시험 장비, 제품 낙하 시 내구성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 장비 등도 갖췄다. KT는 랩을 통해 AICT 분야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파트너사 통신 장비 평가와 물품 검사를 통한 품질 확보 등 효과를 거
국내 중소기업이 고가의 외국산·대기업 제품이 독점하던 5세대 이동통신(5G) 특화망 핵심장비의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1일 이를 기념해 경기 판교 이루온 사옥에서 5G 특화망의 핵심기술을 담은 코어장비 공동개발 완료 기념식을 개최했다. 중소기업 이루온이 이번에 개발한 5G 특화망 핵심 코어장비는 중기부의 '구매조건부신제품기술개발사업(공동투자형)'을 통해 중기부와 KT가 공동 조성한 투자기금을 활용해 지원한 과제다. 5G 특화망은 최첨단 건물, 스마트 공장 등 제한된 지역에서 특정 목적을 위해 자체 무선망을 구축해 운영하는 기업용 5G 네트워크망이다. 통신 3사의 공용 5G망보다 빠르고 안정적이며 초고속, 초연결 특성을 바탕으로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원격제어, 자율주행 등 대용량 데이터 기반의 실시간 융합 서비스 구현이 가능해 전 산업 분야에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이루온의 5G 특화망 핵심 코어장비는 5G 특화망 네트워크 내 단말에 대한 연결 인증 트래픽 제어와 가입자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인프라다. 이루온은 지난해 KT가 제안한 수요기반 공동기술 개발과제에 개발사로 참여해 7월부터 공동개발을 시작했다. KT는
[첨단 헬로티] 독거노인 가정 350가정에 난방용품, 식료품 등이 담긴 ‘사랑의 꾸러미’ 전달 LG유플러스(부회장 권영수)는 연말을 맞아 협력사 협의체 U+동반성장보드,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과 함께 혹한기에 취약한 홀로 사는 어르신들을 위한 ‘사랑의 꾸러미’ 나눔 활동을 전개한다고 지난 14일 밝혔다. LG유플러스, U+동반성장보드 및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의 임직원 자원봉사자 70명은 은평어르신돌봄통합지원센터 외 수행기관 8개소를 통해 홀로 사는 어르신 350가정에게 난방용품, 식료품 등 후원물품이 담긴 ‘사랑의 꾸러미’를 전달한다. U+동반성장보드는 모임스톤, 유비쿼스, 다산네트웍솔루션즈, 이루온, 파워텔레콤 등 LG유플러스의 21개 협력사로 구성된 동반성장 협의체로, 동반성장 관련 제도 및 시행 내역을 공유하며 협력사간 소통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모임스톤 안창일 이사는 “LG유플러스와의 단순 거래관계가 아닌 사회를 이루는 구성원으로서 유대관계를 높이고 같은 지향점을 향하는 동반자로서 이번 행사에 참여했다”
[첨단 헬로티] 가상화 통합 관리 플랫폼 API 공개, 중소 제조사 가상화 장비 개발 지원키로 LG유플러스(부회장 권영수)는 국내 이동통신 솔루션 개발사인 (주)이루온(대표 이승구)과 가상화 통합 관리 플랫폼(NFV MANO)을 개발해 이를 상용망에 본격 구축한다고 7일 밝혔다. 가상화 네트워크는 각각의 통신서비스를 위해 개별적으로 하드웨어 통신장비를 설치하는 대신 범용 서버에 여러 통신장비 기능을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 형태로 탑재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 하드웨어 형태의 장비를 소프트웨어로 변경함에 따라 신규 장비 구축에 소요되는 물리적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새로운 서비스 적용을 위한 시스템 업그레이드도 한번에 적용 가능해 5G네트워크 구축의 핵심요소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가상화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플랫폼은 과부하 여부 등 각각의 가상화 장비 상태에 따라 범용 서버의 CPU, 메모리 등 리소스를 적절히 배분해 가상화 장비를 원활하게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존에는 가상화 장비의 규격이 제조사에 따라 각각 달랐기 때문에 제조사 별로 별도의 가상화 네트워크 관리 플랫폼을 운용해야 했는데, 가상화 통합관리 플랫폼을 적용함에 따라 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