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풍력발전 업계가 대형화 흐름에 맞춰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풍력발전 전문기업 유니슨은 29일, 국내 육상 최대 용량인 6MW급 풍력터빈 개발 국가과제의 주관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주관하는 2차 신재생에너지 R&D 사업의 일환으로 총 230억 원 규모로 추진되며 2025년 7월부터 2029년 6월까지 48개월 동안 진행된다. 유니슨은 이번 과제를 통해 6MW급 풍력터빈의 기본 설계부터 상세 설계, 인증, 실증까지 전반적인 개발을 총괄한다. 공동 연구기관으로는 하이닥코리아,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주과학기술원(GIST)이 참여해 기술 협력을 이어간다. 이는 국내 풍력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외산 풍력발전기 대체를 동시에 겨냥한 전략적 행보로 평가된다. 국내 풍력 시장은 최근 발전 효율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위해 터빈 대형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노후 풍력단지를 최신 설비로 교체하는 리파워링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산악지형이 많은 국내 환경 특성상 고출력 육상 풍력터빈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어 이번 6MW급 국산 터빈 개발은 적시성 있는 대응이라는 분석이다. 새롭게 개발될 6MW급 풍력터빈은
LS일렉트릭-유니슨, 국산 풍력발전 기술 경쟁력 강화 맞손 배전반·개폐기·전력변환장치·SCADA 등 풍력발전 솔루션 개발 LS일렉트릭이 풍력발전 전문기업 유니슨과 함께 국내 풍력발전 시장의 성장을 앞당기기 위해 관련 전력 기자재의 국산화에 나선다. LS일렉트릭과 유니슨은 지난 28일 서울 양재동 유니슨 서울사무소에서 ‘풍력발전사업 관련 전력 기자재 개발 및 공급’을 공동 추진하기 위한 업무협약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 자리에는 오재석 LS일렉트릭 전력CIC COO(사장)와 유니슨 박원서 대표를 비롯한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국내 풍력사업 개발과 전력 기자재 국산화 확대를 위해 포괄적인 협력을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LS일렉트릭과 유니슨은 △풍력발전 전력 기자재 국산화 △신규 풍력발전단지 개발 △풍력발전단지 연계형 에너지저장장치 사업 추진 △전력계통변화 관련 신규사업 확대 △AI 기반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VPP(가상발전소) 사업 협력 등을 통해 공동의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LS일렉트릭은 배전반, 차단기, 개폐기, 초고압 설비, 전력변환장치, SCADA, FACTS 등 자사의 주요 전력 솔루션을 풍력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