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집중 육성…지역주도 이행체계 구축 정부가 탄소중립과 녹색성장의 구체적 추진을 위해 지역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고 지원센터를 설립하는 등 지역주도 탄소중립 이행체계를 구축한다. 또 우리나라의 자연과 산업 특성을 고려한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을 집중 육성한다. 기존의 탄소중립위원회와 녹색성장위원회가 합쳐 26일 공식 출범한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는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한 탄소중립·녹색성장 추진전략과 기술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탄소중립 녹색성장 추진전략 구체적 내용은? 우선 위원회는 효율적 방식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도록 책임감 있는 탄소중립을 실현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원전 확대와 신재생에너지의 조화로운 활용, 석탄발전 감축과 무탄소 신전원 도입, 미래형 전력망 구축 등을 통해 실현 가능하고 균형잡힌 ‘전원믹스’를 구성할 계획이다. 이미 발표한 대로 원전의 경우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재개하고, 2030년까지 운영 허가가 만료되는 10기의 원전을 계속 운전한다. 반면 현재 57기를 운영 중인 석탄발전 부문에서는 2030년까지 노후 석탄발전기 20기를 폐지하기로 했다. 또 세액공제와 금융지원 등을 통해 산
정부, 주요 30여개국에 목표 제시…"원전은 에너지안보 강화에도 도움" 산업통상자원부는 30여개 주요국 장·차관과 청정에너지 보급 확대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원전 확대를 통한 정부의 탄소중립 달성 계획을 소개했다고 23일 밝혔다. 천영길 산업부 에너지산업실장은 21∼23일 미국 피츠버그에서 개최된 제13차 청정에너지 장관회의(CEM13)와 제7차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MI-7)에 한국 대표로 참석해 청정에너지 혁신 기술 개발과 보급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청정에너지 장관회의는 청정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지난 2010년 출범한 협의체로 현재 미국, 영국, 중국, 일본, 호주 등 30개국이 회원국으로 가입해 있다. 미션이노베이션 장관회의는 청정에너지 연구개발(R&D) 확대를 목표로 2015년 출범해 현재 23개국이 참여 중이다. 우리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지난 7월 발표한 새 정부 에너지정책 방향을 미국, 영국 등 주요 국가와 공유하며 원전을 활용한 청정에너지 확대 방안을 소개했다. 천 실장은 "한국의 새 정부는 에너지 안보 강화와 탄소중립 달성의 수단으로 재생에너지와 원전을 조화롭게 활용할 계획"이라며 "원전은 안정적으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면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