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일즈포스가 16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마케팅·커머스 분야 비즈니스 리더들을 대상으로 ‘에이전트포스 디지털 서밋(Agentforce Digital Summit 2025)’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서밋은 ‘AI로 앞서가는, 더 똑똑한 비즈니스의 시작’을 주제로, AI 기술이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비즈니스 모델 혁신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조명했다. 세일즈포스는 특히 마케팅과 커머스 영역에서 AI 에이전트 기반의 실시간 고객 여정 관리와 개인화 성공 사례를 집중 소개했다. 행사는 ▲B2B 마케터 밋업 ▲에이전트포스 커머스 서밋 ▲에이전트포스 마케팅 서밋 등 세 가지 형태로 진행됐다. 세션에서는 단순 자동화를 넘어 자율적으로 추론·실행할 수 있는 ‘에이전틱 AI(Agentic AI)’가 통합 마케팅을 뒷받침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현장에는 버즈빌, 대상웰라이프, 패스트파이브, 티오더, 페어라이어, HLI 등이 참여해 자사몰 운영, 실시간 캠페인 실행, 고객 여정 관리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의 AI 적용 성과를 공유했다. 오전 커머스 서밋에서는 옴니채널 기반의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과 ‘커머스를 위한 에이전트포스(Agentforce for Commerce
인스타그램이 5일 연말결산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올해의 Z세대, 크리에이터, 비즈니스 트렌드'를 발표했다. 인스타그램은 전 세계 10억 개 이상의 계정이 활동하는 대표적인 소셜미디어 플랫폼으로서, 인스타그램에 새롭게 나타난 다양한 트렌드와 이에 따라 변화하는 커뮤니티의 모습을 소개하는 자리를 매 연말 마련하고 있다. 올해 행사에는 정다정 인스타그램 홍보 총괄, 김나영 메타 글로벌파트너십 총괄, 최영 메타 글로벌비즈니스그룹 총괄이 발표자로 나선 가운데 ▲인스타그램 속 국내외 Z세대 트렌드 ▲릴스 트렌드 & 유망 크리에이터 ▲인스타그램이 주목하는 브랜드 등 총 세 개의 세션에 나누어 발표가 이루어졌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정다정 총괄은 트렌드의 주축인 Z세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국내외 Z세대 인스타그램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를 바탕으로 그는 "올해는 트렌드가 없었던 것이 트렌드"라며 올해의 가장 큰 특징으로 '마이크로 트렌드' 경향을 꼽았다. 이용자들은 획일화된 하나의 트렌드를 따르기보다는 각자 자신만의 개성과 관심사에 집중하며, 동일한 관심사를 가진 타인과 더욱 강하게 연결되는 양상을 보였다. 인스타그램이 소
스타트업얼라이언스·오픈서베이 설문…"경기침체·금리인상·자금시장 경색 탓" 스타트업 창업자 10명 가운데 8명은 올해 스타트업 투자 시장이 지난해보다 위축된 것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스타트업얼라이언스와 오픈서베이가 발표한 '스타트업 트렌드 리포트 2022'에 따르면 창업자 82%가 지난해 대비 올해 투자 시장 분위기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조사는 9월 19∼23일 창업자 200명을 포함해 900명을 상대로 진행됐다. 이들은 경기 침체와 금리 인상, 자금 시장 경색 등을 투자 유치가 어려워진 주된 이유로 꼽았다. 그러면서 올해 스타트업 생태계 분위기가 100점 만점에 54점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창업자의 절반 정도(49%)는 투자 유치 계획 일정을 앞당기거나 미룬 것으로 조사됐다. 또 창업자들은 투자 혹한기 대비 전략(복수 응답)으로 기업 비용 절감(52%), 흑자 사업에 집중(48%), 투자 유치 계획 조정(43%), 매출 다각화(41%) 등을 꼽았다. 창업자의 77%는 내년 스타트업 투자 시장 분위기가 올해와 별반 차이가 없거나(40%) 더 악화(37%)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은 스타트업 생태계 발전을 위해 투자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