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I, ‘농업용 드론 산업 인사이트 보고서’ 발표...드론 기반 농업 혁신 현황 및 미래상 전해 DJI가 ‘농업용 드론 산업 인사이트 보고서(Agricultural Drone Industry Insight Report)’ 네 번째 연례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달 28일부터 닷새간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개막한 농업 기술 박람회 ‘아그리쇼 2025(Agrishow 2025)’에서 발표됐다. 해당 보고서는 드론 기반 농업 혁신 현황과 미래 모습을 종합적으로 제시했다. 보고서에서는 글로벌 농업용 드론 산업이 성숙 단계에 진입해 새로운 성장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강조했다. 각국 정부의 정밀 농업 및 스마트 방제 기술 확산을 위한 정책 도입, 표준화된 드론 조종사 교육 과정, 젊은 세대와 여성의 농업 분야 참여 확대 등을 배경으로 꼽았다. 연이어 보고서는 지난해 전 세계적으로 농업용 드론 활용 범위가 넓어졌다고 분석했다. 이는 각국 항공 당국이 보다 유연하고 실용적인 기준을 마련함에 따라, 일부 국가에서는 제한적인 드론 시험 운용 단계에 이어 본격적인 상용화 단계에 진입한 것이 이를 가속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특정 작물에 한정됐던 드론 운용 범위를 다양
보다폰(Vodafone)이 M2M(Machine-to-Machine) 시장에 대한 세계적 조사 보고서인 ‘2015년 보다폰 M2M 현황지표’를 발표했다. 올해 세 번째로 발표한 이 보고서에서,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에 비해 아프리카, 중동, 아시아-태평양(AMEAP)지역 기업들의 M2M 솔루션 도입률이 35%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폰 코리아의 M2M 사업부문 이상헌 대표는 “아시아 기업들은 신속한 M2M 기술 도입으로, 글로벌 경쟁사들에 비해 훨씬 앞서 있다. 해당 지역 모든 업계의 기업들은 업무 실적과 수출용 제품 및 서비스의 향상을 위해 M2M 도입에 보다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혁신적인 M2M 기술 도입이 세계 시장에서 한국 기업들의 차별화와 성공적인 사업 성과를 견인하는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보다폰 M2M 한국 이상헌 대표 ‘2015년 보다폰 M2M 현황지표’는 M2M 기술에 대한 인식과 도입이 증가했으며, 조기 도입자들의 대다수가 M2M을 배치함으로써 확실한 사업적 이점을 얻었다고 보고했다. 특히, 응답자 중 81%의 기업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