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체온과 공기 간의 미세한 온도 차인 단 1.5℃만으로도 LED 전구를 켤 수 있는 필름 발전기가 개발됐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장성연 교수 연구팀은 세계 최고 성능의 유연 p형·n형 이온 열전 소재를 동시에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열전소재는 소재 내·외부의 온도 차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형 소재다. 그중 ‘이온 열전소재’는 전자가 아닌 이온의 이동으로 전기가 발생한다. p형 소재는 양이온이, n형 소재는 음이온이 움직여 전류를 생성한다. 온도차가 생기면 이온이 차가운 쪽으로 이동하며 전압이 발생하고, 이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번에 개발된 소재의 열전 성능지수(ZTi)는 p형 49.5, n형 32.2로, 이는 현재까지 보고된 이온 열전 소재 중 가장 높은 기록이다. 기존 최고 기록보다 약 70% 향상된 수치로, 열전 성능 지수가 높을수록 작은 온도차에서도 효율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p형 소재는 전도성 고분자인 PEDOT:PSS 복합체를 기반으로, n형 소재는 p형 소재에 염화구리(CuCl₂)를 첨가해 제작했다. p형에서는 양이온(수소 이온), n형에서는 음이온(염화 이온)이 이동해 전류를 생성한다. 두
DGIST 에너지공학과 이주혁 교수팀이 금오공과대학교 이원호 교수팀과 공동으로 마찰대전 발전 소재의 핵심 성질인 ‘극성(極性)’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설계 전략을 세계 최초로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고분자 전해질(polymer electrolytes)을 활용해 극성 방향을 구조적으로 조절하고, 장기 내구성까지 향상시킨 것이 핵심이다. 마찰대전 발전 기술은 마찰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배터리 없이도 전력을 만들어낼 수 있어 친환경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이온성 액체 기반 소재는 누액, 환경 불안정성, 내구성 저하 등으로 인해 상용화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온이 고분자 사슬에 고정된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을 새롭게 설계하고, 이를 이용해 마찰대전 극성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플랫폼 개념을 제안했다. 이 접근법은 출력 향상뿐만 아니라 소재 설계의 유연성까지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실험 결과, 양이온성을 가진 고분자 전해질 P(MA-A⁺20)TFSI⁻는 기존 소재(PMA) 대비 약 2배 높은 83V의 출력을 기록했고, 음이온성을 가진 P(S-S⁻10)Na⁺는 기
ST31N600 칩 이용해 설계돼 결제 경험 향상시키고 사용자 보호 기능 강화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카드 결제 보안을 강화하는 핀테크 기업인 일립스 월드(이하 일립스)에 에너지 하베스팅 보안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공급한다. EVC(Electronic Verification Code) 기술이 적용된 첫 번째 메탈 카드는 콤포시큐어에서 출시한다. 이 솔루션은 ST의 ST31N600 칩을 이용해 설계됐으며, 결제 경험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보호 기능을 강화한다. 일립스는 ST31N600 보안 마이크로컨트롤러를 배터리가 필요 없는 EVC 올인원 동적 CVV(Card Verification Value) 마이크로모듈의 핵심 소자로 선택했다. 표준 크기의 EMV 마이크로모듈인 EVC 올인원은 모듈 뒷면에 위치한 3자리수 CVV 디스플레이를 결제 카드에 장착했다. 이 코드는 실제 POS 단말기나 ATM에서 카드를 사용할 때마다 변경되며, 필요 시 휴대폰을 통해 새로고침도 가능하다. 이 새로운 코드는 이후 온라인이나 실물 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거래에 모두 활용할 수 있어, 위조카드 사용을 방지하고 무카드 거래사기 위험을 효과적으로 줄여준다. EVC 올인원을 S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