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크로스가 만 15세~69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및 쇼핑 플랫폼 이용행태, 광고 선호도, 주요 마케팅 트렌드 관련 이용자 인식 및 경험을 조사한 ‘2024 아이엠 리포트(IAM Report: Incross Analyzes User Report)’를 30일 발표했다. 올해 인크로스 조사에 따르면 가장 이용률이 높은 미디어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와 포털 사이트가 동시에 91.9%를 기록했다. 내비게이션/지도 앱(81.6%),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80.9%)가 뒤를 이었다. 온라인 동영상 이용자는 평균 4.95개의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동영상 콘텐츠 중에서도 ‘숏폼 동영상을 시청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93.2%로 2023년 대비 3.7%p 증가했다. 숏폼 플랫폼별 이용률은 유튜브 쇼츠(78.8%), 인스타그램 릴스(46.2%), 틱톡(22.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숏폼 시청률이 높아지는 현상과 관련해 디지털 광고 선호도 조사에서도 숏폼 동영상 광고를 선호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31.0%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10대와 50대가 숏폼 광고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다음으로 선호하는 광고 유형은 검색광고(25.8%),
이용자들, 총 22억6941만6906에너지, 약 35억 마일리지 적립해 야나두의 M2E(Move to Earn) 서비스 앱 ‘야핏무브’가 이용자 100만 명을 돌파했다. 직장인들 사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걸으면서 소액의 돈을 모으는 ‘앱테크(애플리케이션+재테크)’가 인기를 끌면서 걷기뿐 아니라 자전거 주행거리까지 보상해주는 야핏무브가 주목받고 있다. 2023년 5월 출시 이후 현재까지 야핏무브 이용자들은 지구 약 5682바퀴에 달하는 거리를 걸었으며, 자전거로 지구에서 달까지 약 115번 왕복할 수 있는 거리를 달렸다. 이용자들은 총 22억6941만6906에너지를,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마일리지를 약 35억 적립했다. 획득한 마일리지로 마일리지샵에서 상품을 교환한 횟수는 총 14만7535회며 CU 편의점 상품교환권이 3만2878회로 1위, 메가커피 교환권이 2만3977회로 2위, 스타벅스 교환권이 2만484회로 3위를 차지했다. 야핏무브에 하루도 빠짐없이 접속한 출석왕은 총 13명으로 이들은 출시 이후 매일에 해당하는 522일 동안 야핏무브에 접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핏무브는 걷기와 라이딩 등 모든 움직임에 대해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마일리지를
에스앤피랩에서 운영하는 마이데이터 앱인 '마이디(my:D, 이하 마이디)'가 개인의 데이터 주권에 기반해 수익 창출이 가능한 데이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2일 밝혔다. 마이디에서는 개인의 쇼핑몰 구매이력, 은행 및 카드 사용기록, 건강검진 및 진료 기록과 같은 개인 데이터를 기업과 직접 거래해 수익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앱테크(애플리케이션과 재테크의 합성어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재테크 방식을 일컫는 신조어)인 데이터 거래 기능을 출시했다. 기업의 합법적 개인 데이터 활용과 개인 스스로 개인 데이터 제공·이용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개인 중심의 마이데이터 기반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것이 데이터 거래의 출시 목적이다. 데이터 거래는 개인에게 필요한 데이터에 대해 기업이 거래를 요청하고, 이를 수락한 개인에게 데이터 사용료를 지불하는 방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기업에서는 데이터 거래 1건당 최소 480포인트를 개인에게 지급하며 개인은 포인트를 모아 이를 기프티콘으로 교환해 사용할 수 있다. 즉, 개인은 데이터 판매로 실질적 이익을 얻게 되고 기업은 정당하게 구매한 데이터를 통해 신제품 및 서비스의 기획과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마이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