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블폰 내장힌지·FPCB 가공 시장 혁신 기대 후처리 없는 초정밀 내장힌지 가공 실현 글로벌 레이저 가공 장비 전문 기업 애니모션텍(AnimotionTech)이 차세대 폴더블폰 핵심 공정에 특화된 힌지 전용 레이저 장비 ‘SP3965 EPN’을 공개했다. 이번 신제품은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 커팅은 물론, 옵션 기능으로 PTH와 BVH 드릴링까지 고속·고정밀 처리할 수 있어 폴더블폰과 첨단 전자부품 가공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SP3965 EPN은 폴더블폰의 ‘무주름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한 내장 힌지(Backplate) 슬롯 가공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췄다. 초정밀 레이저 가공 기술을 적용해 열영향(HAZ), 탄화, 그을음을 최소화했으며, 후처리 공정 없이도 고품질 가공을 실현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이 장비는 고속 가공 환경에서도 4μm 이하의 엔코더 추종 정밀도를 확보했다. 이는 기존 장비와 차별화되는 수준의 성능으로, 스텝앤스캔(step & scan) 방식에서 발생하던 스티칭 에러 문제를 크게 개선했다. 또한 IFOV(Intinity Field of View) 기반의 엔코더 추종 방식을 도입해 끊김 없는 온더플라이(On-
인아그룹의 4개 계열사(인아오리엔탈모터, 인아텍앤코포, 애니모션텍, 인아엠씨티)가 오는 2월 19일부터 21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세미콘 코리아 2025’에 참가한다. 이번 전시회는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가 주최하며, 반도체 산업의 최신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는 행사로 500여 개 기업이 참가하는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 인아그룹은 ‘FIND THE NEXT Solution’을 콘셉트로 다양한 제품과 기술을 선보이며 반도체 업계를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할 계획이다. 인아오리엔탈모터는 신제품 산업용 소형 로봇 ‘OVR’을 공개한다. 소형·경량 설계를 적용한 이 제품은 높은 사용 편의성을 갖추고 있으며, 6축·5축·4축 수직 다관절 로봇과 3축 수평 다관절 로봇 등의 라인업으로 구성된다. 또한, 로봇 컨트롤러 MRC01을 비롯해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미니 드라이버 및 데모기를 선보일 예정이다. 인아텍앤코포 CORP 사업부는 ‘FIND THE CONVENIENCE’를 주제로 고객의 편의성에 초점을 맞춘 전시를 진행한다. JEL GTFR 고속 반도체 웨이퍼 반송 로봇과 Doosan 협동로봇 협업 데모기 등을 전시하며, Sh
인아그룹의 4개 계열사(인아오리엔탈모터, 인아텍앤코포, 애니모션텍, 인아엠씨티)가 10월 23일부터 25일까지 열린 ‘SEDEX 2024(제26회 반도체대전)’에서 자사의 최첨단 반도체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이며 행사장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이번 ‘SEDEX 2024’는 ‘AI 반도체와 최첨단 패키지 기술의 융합’을 주제로 280개사가 참가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인아그룹은 반도체 산업의 다변화하는 니즈를 충족하는 다양한 신제품을 공개하며 관람객과 업계 관계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인아오리엔탈모터의 혁신적 로봇 솔루션 인아오리엔탈모터는 자체 개발한 로봇 컨트롤러 MRC01이 적용된 6축 로봇 데모기와 스카라 로봇을 전시했다. 특히 다양한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키보드 및 미니 드라이버 데모기와 AZ MOTOR 기반의 IMC 컨트롤러는 관람객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MRC01 로봇 컨트롤러는 손쉬운 제어를 지원해 다방면에서 활용 가능성이 주목받았다. 고객 맞춤형 솔루션 강조한 인아텍앤코포 인아텍앤코포의 CORP 사업부는 ‘Customizing’과 ‘Support’를 주제로 한 전시를 통해 고객 맞춤형 제작이 가능한 JEL GTFR 반도체 웨이퍼 반송 로봇과 협동로
인아그룹의 4개 계열사(인아오리엔탈모터, 인아텍앤코포, 애니모션텍, 인아엠씨티)가 오는 23일부터 25일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SEDEX 2024’에 참가하여 첨단 반도체 솔루션을 공개한다. SEDEX(반도체대전)는 한국반도체산업협회(KSIA)가 주관하는 반도체 전문 전시회로, 반도체 산업 전 분야가 한자리에 모이는 중요한 행사다. 이번 전시회에서 인아그룹은 반도체 산업 전반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며, 각 계열사는 ‘Mini & Robot’, ‘Motion & Network’, ‘Automation’이라는 세 가지 주요 키워드를 바탕으로 부스를 구성해 제품을 직관적으로 소개할 계획이다. 인아오리엔탈모터는 자체 제작한 6축 로봇 데모기와 스카라 로봇 데모기를 비롯하여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키보드 데모기와 미니 드라이버 데모기를 선보인다. 특히 AZ MOTOR 기반의 액추에이터와 동기 데모기를 통해 반도체 업계의 다양한 모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제품 라인업을 소개할 예정이다. 인아텍앤코포 CORP 사업부는 고속 반도체 웨이퍼 반송 로봇 JEL GTFR과 협동로봇 데모기를 통해 고객 맞춤형 제작이 가능
인아그룹이 1월 31일부터 2월 2일까지 코엑스에서 진행되는 반도체 산업 전시회 ‘세미콘 코리아 2024’에 참가해 반도체 공정 활용도 높은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인아그룹은 인아오리엔탈모터, 인아텍앤코포, 애니모션텍, 인아엠씨티 4개 계역사가 ‘RUN TO LEAD’를 슬로건으로 앞세워 반도체 업계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먼저, 인아오리엔탈모터는 반도체 업계의 니즈를 반영한 다양한 제품을 전시한다. 부스는 △공간 절약에 최적화된 신규 미니 드라이버와 소형 모터 △RS-485(Modbus), EtherCAT, SSCNET, ProfiNET 등 여러 통신 방식에 대응이 가능한 네트워크 제품 △다양한 모션이 가능한 AZ MOTOR 기반 EAS(슬라이더), EAC(실린더), DG2(중공 로터리), DRS2(컴팩트 리니어), EH(그리퍼) 등의 전동 액추에이터 섹션으로 구성된다. 인아텍앤코포 CORP 사업부는 안정적인 웨이퍼 고속 이송이 가능한 JEL의 GTFR과 STCR, 자동화 공정에서 폭넓은 대응이 가능한 CKD의 공압/전동 데모기, KEB 저소음 데모기 등 반도체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로봇 기술
첨단 자동화 장비‧부품 글로벌 선도 기업 미국 에어로텍사가 투자한 제조·연구시설이 송도국제도시에 건립된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은 지난 10월 31일 송도 G타워에서 김진용 청장과 신동혁 애니모션텍 대표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송도 내 제조‧연구시설 건립을 위한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애니모션텍은 미국 에어로텍과의 합작 투자를 통해 송도 4공구 지식정보산업단지 Ic-18필지(송도동 11-7번지)의 면적 5,414㎡에 첨단 자동화 장비‧부품 제조·연구시설을 건립한다. 내년에 착공, 2026년 완공될 계획이다. 총 사업비는 306억 원이고 미국 에어로텍이 사업비의 25%인 570만 달러를 투자한다. 애니모션텍 측은 국가 간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는 가운데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우리나라 핵심전략산업의 필수 장비를 국산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미국 에어로텍은 레이저 스캐너 분야에서 글로벌 톱 3, 전자빔 웨이퍼 검사 시스템 분야와 초정밀 모션제어 솔루션 분야에서 글로벌 키플레이어로 선정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는 기업이다. 이들 분야는 기계의 미세한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술로서 자동화 장비의 뇌에 해당하는 핵심 부품 산업이다. 에어로텍과 애니모션
인아그룹은 2월 1일부터 3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리는 반도체 산업 전시회 ‘세미콘 코리아 2023’에 참가해 제품의 기능과 활용도를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는 다양한 데모기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먼저, 인아오리엔탈모터는 다양한 형태로 이더켓 통신 지원이 가능한 신규 드라이버 제품 AZD-KRED, AZD2B-KED, AZD-CED, AZ 8축, IMC 동기화, 델타, RK2 등 제품을 공정 시스템으로 연계시킨 데모 장비를 통해 제품 활용도 및 우수한 정밀 제어 기술을 시연할 예정이다. 인아엠씨티 스마트 팩토리 사업부는 두산협동로봇의 고도의 알고리즘과 6축 토크센서를 기반으로 한 순응 제어와 힘 제어로 정밀한 작업이 가능한 ‘M시리즈’, 합리적인 가성비와 2배 더 빨라진 축 속도 ‘A시리즈’, 3D 비전 카메라 ‘SOLOMON’을 알린다. 또 두산협동로봇의 최대 가반중량 25㎏, 최장 작업반경 1,700㎜ ‘H시리즈’는 JEL와 협력하여 ‘웨이퍼 클리닝 데모기’를 운용한다. 인아텍앤코포 CORP 사업부는 트윈척 탑재로 트윈암 기능을 확보한 JEL의 300mm 5축 수평 다관절형 클린 로봇 ‘GTFR’, 로봇이나 FA기기를 비롯해 고정도로 구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용
산업자동화·스마트 팩토리 토털 솔루션 기업 인아그룹이 오는 24일부터 30일까지 2022년 신입·경력사원 공개 채용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인아그룹은 이번 공채를 통해 △영업관리 △기술영업 △기술지원 △로지스 △기구설계 △소프트웨어 개발 등 6개 분야의 인재를 모집한다. 서류 접수는 오는 1월 30까지 사람인 또는 이메일 지원을 통해 가능하다. 지원 조건은 2년제 전문대학~4년제 정규대학 이상 졸업(예정)자로 부문별 관련 전공자, 관련 프로그램 가능자 등 세부 자격을 갖춰야 한다. 채용 절차는 서류전형 이후 임원면접을 거쳐 최종 합격자를 발표한다. 인아그룹은 산업자동화·스마트 팩토리 토털 솔루션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소형 정밀 모터 전문 기업인 인아오리엔탈모터, 자동화 분야의 전문 부품 기업인 인아코포, 스마트 팩토리·모션 컨트롤 테크놀로지 전문 기업 인아엠씨티,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장비 제조 전문 기업 인아텍, 모션 제어 및 시스템 솔루션 설계·제작 전문기업 애니모션텍를 그룹사로 두고 있다. 채용 관계자는 “변화의 흐름 속에서 인아그룹이 보다 선도적인 서비스와 기술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에 맞춘 우수 인재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며 “자동화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애니모션텍이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인사이드 3D 프린팅 전시회에 참가, 한다. 3D 프린팅 기술을 선보인다. 인사이드 3D 프린팅은 세계 최대의 3D 프린팅 및 적층 제조 전문 전시회로, 국내외 3D 프린팅 기술을 선도하는 대표 기업들의 최신 장비 및 부품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애니모션텍은 우주항공 및 생명과학 분야 3D 프린팅 기술에 세계 최고의 우수성을 자랑하는 엔스크립트(nScrypt)의 제품을 선보인다. 탁월한 제어를 위해 nScrypt의 머신 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겐트리 기반의 고정밀 모션 플랫폼인 ‘3Dn Series’와 바이오프린팅용으로 특별히 구성된 3Dn 시스템인 ‘BAT Series’을 구현한 데모 장비를 대표적으로 소개한다. 또한, 반도체 및 기타 정밀 검사 측정, 레이저 애플리케이션 등의 분야에 활용도가 높은 에어로텍(AEROTECH)의 △스테이지 제품(에어베어링 스테이지, 3차원표면측정기) △드라이버(AGV Galvanometerm, Nmark GCL) △리니어 및 로터리 서보 모터(BMS모터, BM모터, 리니어 모터, S시리즈 브러시리스 모터, SM시리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모션 제어·시스템 솔루션 전문기업 애니모션텍이 10월 5일부터 8일까지 나흘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리는 ‘국제전자회로 및 실장산업전(KPCA show 2021)’에 참가, 자외선 레이저 초정밀 미세가공기 ‘INA SP3265’ 피코초 레이저를 선보일 예정이다. 자외선 레이저 초정밀 미세 가공기는 초정밀 가공 작업과 FPCB(연성 인쇄회로기판) 가공용 첨단 장비로 5G 장비 생산용 도구로 관련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정밀화된 5G 모바일 칩과 단말기 안테나, 카메라 모듈 등 핵심 부품의 정밀 가공 필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폐쇄 루프의 완벽한 ‘2D on the fly’ 기능을 적용해 탄화와 그을음을 최소화한 ‘INA SP3265’ 피코초 레이저는 15㎛의 미려한 선폭으로 가공 품질과 정밀도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여 설치 공간을 최소화했다. 제품은 나노 초 레이저 장비보다 상대적으로 열적 영향이 적어 정밀 가공에 유리하다. 게다가 ‘등 위치 기반 펄스출력(PBO) 모드’, ‘등 시간 기반 펄스출력(TBO) 모드’를 사용자 공정에 맞춰 선택할 수 있다. 애니모션텍 관계자는 “자외선 레이저 초정밀 미세가공기는 모바일, 전기차,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모션 제어 및 시스템 솔루션 전문기업 ‘애니모션텍(대표 신동혁)’이 7월 7일부터 9일까지 3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Laser Korea 2021’에 참가한다. ‘Laser Korea 2021’은 레이저 기술 전문 전시회로, 레이저 전문 대표 기업들의 첨단 레이저 기술과 최신 장비 및 부품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애니모션텍은 반도체 및 기타 정밀 검사 측정, 레이저 애플리케이션 등의 분야에 활용도가 높은 에어로텍(AEROTECH)만의 독특한 기능인 IFOV 기능(스테이지, 스캐너 연동 기능) 및 PSO 기능(스테이지 위치 기반 트리거 기능)을 구현한 데모 장비와, 3차원 레이저 가공 분야에 적용 가능한 3D 스캐너 제품군의 데모 장비 ‘AGV 3D’를 전시한다. 또한, 기존 2D 스캐너 보다 넓은 시야 각도를 확보할 수 있는 스캐너 ‘AGV-SPO’도 소개한다. 애니모션텍 관계자는 “제품의 기능과 활용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각종 데모기도 마련했다”며 “전시회를 통해 선보일 IFOV 및 PSO 기능과 고성능 스캐너 AGV 시리즈를 연동하게 되면, 레이저 가공 장비의 더욱 높은 생산성과 품질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을
[헬로티] 애니모션텍(대표 신동혁)은 에어로텍(AEROTECH)과 인아그룹의 합작회사로서 국내 시장에 에어로텍 제품의 공급은 물론 고객지원까지 담당하고 있다. 이에 머무르지 않고 인아그룹(인아오리엔탈모터, 인아코포, 인아텍)의 계보를 잇는 새로운 독립법인 회사로 성장하며 기술력을 꾸준히 축적해왔다. 지속적인 기술개발의 결과 애니모션텍은 FPCB 정밀가공 및 그 외 다양한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초정밀 가공에 사용되는 ‘자외선 레이저 초정밀 미세가공기(UV Laser Micromachining)’의 개발에 성공했다. 5세대(5G)로 접어들며 ‘자외선 레이저 초정밀 미세가공기(UV Laser Micromachining)’는 5G 기지국 구축 및 장비 제조에 중요한 기술적 수단으로 주목받는다. 5G 모바일 칩, 단말기 안테나, 카메라 모듈 등의 핵심 부품이 더욱 정밀화되며 정밀 가공 분야에 레이저 가공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5G 특수 소재는 고정밀도 및 저 탄화에 대한 요구가 더 높아지고 있는데, 최근 애니모션텍은 고품질, 고정밀도, 무 탄화 가공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제2세대 나노초 레이저 ‘ANI
[헬로티] 모션 제어·시스템 솔루션 전문기업 애니모션텍(대표 신동혁)이 24일부터 26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 1~2홀에서 열리는 ‘국제전자회로 및 실장산업전(KPCA show 2020)’에 참가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애니모션텍은 자사의 핵심 기술이 집약된 ‘자외선 레이저 초정밀 미세가공기 (UV PICO Laser drilling and cutting machine)’를 소개한다. 이 장비는 핸드폰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 시 필요한 FPCB 정밀 가공 및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초정밀 가공에 사용된다. ▲ ‘ANISYS SP3265’ 피코초 레이저 폐쇄 루프의 완벽한 2D on the fly 기능을 적용해 탄화와 그을음을 최소화한 ‘ANISYS SP3265’ 피코초 레이저는 15um의 미려한 선 폭으로 가공 품질과 정밀도를 최고 수준으로 높여 설치 공간 최소화를 실현했다. 이 제품은 나노 초 레이저 장비보다 상대적으로 열적 영향이 적어 정밀 가공에 유리하며 가공 표면이 더 미세하고 깨끗하다. 뿐만 아니라 △등 위치 기반 펄스 출력(PBO) 모드 △등 시간 기반 펄
[헬로티] 애니모션텍이 글로벌 기업 ‘엔스크립트’와 사업 제휴를 통해 아시아 시장에서 제품 제작과 영업에 나선다. 애니모션텍(대표 신동혁)은 미세 디스펜싱과 3D·바이오 장비 전문기업인 엔스크립트와 대리점 및 OEM/ODM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엔스크립트의 주요 제품들 이번 계약으로 애니모션텍은 엔스크립트의 초정밀 3D·바이오 제조 시스템을 국내 독점 판매하는 동시에, 엔스크립트의 다양하고 정밀한 툴 헤드를 애니모션텍의 초정밀 모션 플랫폼에 통합한 완성 시스템을 OEM/ODM제조하여 아시아 지역에 공급한다. 미국 플로리다주에 본사를 둔 엔스크립트는 산업용 차세대 고정밀 미세 디스펜싱, 3D 제조, 바이오 제조 장비와 솔루션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기업이다. 통신, 생명과학, 제약, 우주, 방위 등 여러 분야 기업과 연구기관, 정부기관에 장비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엔스크립트 BAT 바이오 프린터 장비를 국제 우주정거장에 출시한 바 있다. Kenneth Church 엔스크립트 CEO는 “양사는 3D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초정밀 디지털 제조를 통해 완전한 기능을 갖춘 전자장비를 제조할
[첨단 헬로티] 주어진 용도에 가장 적합한 석정반 기반의 리니어 모션 플랫폼을 선택할 때는 여러 요소와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모션 플랫폼 관점에서 효과적인 솔루션을 추구하기 위해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이해하고, 우선시되어야 하는 고유의 요구사항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석정반 구조 위에 별도의 위치 설정 스테이지를 설치하는 방법(Stage-on-Granite)과 모션 축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석정반 자체에 직접 통합시키는 방법(IGM-Integrated-Granite Motion)이 있다. 더 나은 통찰을 바탕으로 초기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기술 및 재정적 관점에서 두 가지 기본적인 리니어 모션 플랫폼 디자인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 에어로텍 스테이지 적용 예: SMP Surface Measurement Motion Platform 배경 지식 IGM 시스템과 기존 Stage-on-Granite 시스템 간 유사성과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테스트 사례를 만들었다. Test Case 1. 메카니컬 베어링, Stage-on-Granite Test Case 2. 메카니컬 베어링, IGM 두 경우 모두 각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