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창고는 매우 중요하지만 종종 비효율적인 프로세스다. 따라서 이 분야의 많은 시설에서 가시성, 효율성, 복원력을 높이기 위해 인더스트리 4.0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스마트 물류창고에는 고유한 사이버 위험도 존재한다. 스마트 물류창고에는 광범위한 사물인터넷(IoT) 연결이 포함된다. 이러한 장치는 재고 추적 솔루션부터 자동화된 가이드 차량, 창고관리시스템(WMS)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한때 오프라인이었던 많은 기계가 사이버 공격에 취약할 수 있다. 다행히도 이 기술을 안전하게 구현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러한 스마트 물류창고의 IoT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지켜야할 7가지 단계가 있다. 1. 신중한 IoT 디바이스 선택 물류창고에서의 IoT 보안은 올바른 장비 선택에서 시작된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최소한의 기본 보호 기능만 제공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기 때문에 물류창고에서는 기본값이 더 강력한 옵션을 찾아야 한다. 여기에는 다단계 인증(MFA), 데이터 암호화 및 보안 업데이트 프로토콜이 포함된다. 미국의 경우, FCC는 향후 안전한 IoT 디바이스를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사이버 보안 라벨링
[첨단 헬로티] 기업의 재고 적체와 물류비 부담은 경영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하지만 빅데이터와 공유 공간 서비스 원리의 스마트 물류창고를 활용한다면, 기업은 비용을 절감하고 O2O(Online to offline)서비스를 통해 재고문제 해결도 가능하다. 스마트 물류창고는 산업단지 빅데이터를 활용한 아이디어 공모전 대상으로 선정된 성균관대학교 중국전문대학원 소속 ‘스토리지 쉐어링팀’이 제안한 아이디어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이하 산단공)은 지난 9월 17일부터 입주기업의 경영 지원, 산단 환경 개선 및 활성화 아이디어를 공모하는 ‘산업단지 빅데이터 아이디어 공모전’을 진행했다. 이번 공모전은 국민이 직접 참여하여 보다 창의적인 기업지원 서비스를 발굴하고 산업단지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올해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산업단지와 관련된 국민들의 다양한 아이디어가 접수된 가운데, 산단공은 아이디어에 대한 실현 가능성, 이해도, 창의성 등을 고려하여 11월 9일 수상작을 선정하였다. 대상은 산업단지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물류센터 도입(스토리지 쉐어링팀)이 금상은 공공데이터와 IoT(사물인터넷) 기술을 연계한 스마트 식권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