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 육성 비체계적…중소 ICT기업은 인력 구하기도 힘들어" 우리나라 전체 산업인력에서 정보통신기술(ICT)산업인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21 ICT 인력동향 실태조사' 결과 2020년 국내 전체 산업인력 대비 ICT산업 인력의 비율은 4.2%로 집계됐다. 이 비율은 2015년에 4.9%였으나, 2016년 4.8%, 2017~2018년 4.7%, 2019년 4.5%에 이어 계속 감소하고 있다. 이 집계의 'ICT산업인력'에 디지털콘텐츠 개발·제작업 종사자는 포함되지 않았다. 국내 ICT산업인력 인원은 2020년 103만4천명으로 2019년보다 3천명(0.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체 산업인력 인원은 2020년 2천483만4천명으로, 1년만에 9.3% 증가했다.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인력 증가율로 따져도 ICT산업은 0.4%에 불과해, 전체 산업(3.5%)보다 현격히 낮았다. 전문가들은 ICT 인력 육성이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데다가, 디지털 전환(DX) 추세로 ICT 대기업들 뿐만 아니라 은행 등 전통 대기업들에서도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 수요가 늘어나면서 중
[첨단 헬로티] 전기차, 수소차 등 전략적 신산업 육성이 고용 확대로 이어져 산업부는 ‘18년말 기준, 미래형자동차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산업기술인력이 총 5만533명으로 ’15년말(9,467명) 대비 5.3배 증가(연평균 74.7%)했다고 밝혔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분야로는 친환경차(그린카) 42,443명, 자율주행차(스마트카) 5,021명, 인프라 3,068명으로 `15년말 대비 친환경차 분야 인력이 7.3배 수준으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직무의 경우 생산기술 2만3438명, 연구개발 1만7186명 등의 순이며, `15년말 대비 특히 연구개발 인력(2114명)이 8.1배로 급증했다. 증가요인으로는 ‘15년말 이후 미래형 자동차 산업에 참여하는 신규 기업 증가, 기존 기업의 미래형 자동차 사업 영역 성장, 산업간 융복합에 따른 산업 범위 확장 3가지 요인으로 구분했다. 아울러, ‘28년까지 필요한 미래형자동차 산업기술인력 수요는 8만9069명으로 예상(연평균증가율 5.8%)했다. 수요 분야는 친환경차 7만1935명, 자율주행차 1만1603명, 인프라 5531명으로, 비중은 친환경차(80.8%)가 높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