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산업용 센서 솔루션 업체 발루프가 한국 지사를 필두로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전시부스를 꾸린다. 올해 전시장에는 자사 원천기술인 센서뿐만 아니라 각종 환경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솔루션도 한데 선보인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발루프는 산업용 센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비전 솔루션, 현장 통합 소프트웨어 솔루션 등 약 3만 여개 포트폴리오를 갖췄다. 특히 네트워크 솔루션은 산업용 통신 네트워크 표준 ‘IO-Link’를 만족하는 제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올해 박람회에서는 ‘IO-Link BNI 마스터 라인’을 새롭게 소개한다. 해당 제품은 다양한 현장 환경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기술 융합이 필수 요소로 부각되는 시대다. 각종 영역에서 존재감을 발휘하는 각각의 기술이 한 데 뭉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최근 산업의 트렌드다. 그중 센서 기술은 정밀성과 집적성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4차 산업 체제에서 기반 및 핵심 기술로 군림하고 있다. 센서 기술은 제품 측정부터 품질 관리까지의 제조 영역은 물론, 보안·통신·자동차 등 분야를 넘어 로봇·신소재·바이오 등 고성장 가능성이 점쳐진 분야까지 산업 전방위적으로 침투해 있다. 전 세계 1조 개의 센서가 작동 중이라는 ‘트릴리온(Trillion) 센서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전통 산업의 조연에서 핵심 산업 내 주연으로의 진화에 성공한 센서. 이 중 자동화 영역에서의 센서 기술은 어떤 방향성과 비전을 내품고 있을까? 지난해 창립 60주년을 맞이한 독일 자동화 센서 기업 로이체일렉트로닉(Leuze 이하 로이체)은 컨베이어, 물류창고 등 물류 영역에 더해 디스플레이, 반도체, 전자 산업에 기술을 전파하고 있다. 특히 근간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 기가팩토리 등 완성차 업계 프로젝트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달성해서 주목받는 업체다. 산업 당면과제는 지능화 및 자동화로의 전환 로이체는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nRF7002 Wi-Fi 6 컴패니언 IC 제품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nRF7002 Wi-Fi 6 컴패니언 IC는 노르딕의 기존 nRF52 및 nRF53 시리즈 블루투스 저에너지 SoC(시스템 온 칩)와 nRF9160 셀룰러 IoT SiP(시스템 인 패키지)는 물론 노르딕 이외의 다른 광범위한 호스트 디바이스들과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마우저에서 구입 가능한 nRF7002 Wi-Fi 6 컴패니언 IC는 원활한 Wi-Fi 연결 및 Wi-Fi 기반 위치 확인(로컬 Wi-Fi 허브의 SSID 스니핑) 기능을 제공한다. 이 초저전력 디바이스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Wi-Fi 제품, 스마트 시티 및 스마트 농업 애플리케이션, 스마트 홈 디바이스, 산업용 센서, 의료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자산 추적 애플리케이션 등 안정적인 무선 연결이 필요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Wi-Fi 6을 활용한 nRF7002 디바이스는 매터( 무선 프로토콜, 커미셔닝을 위한 블루투스 LE를 비롯해 저전력 메시를 위한 스레드 및 고속 무선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Wi-Fi를 모두 지원한다. 매터는 가정 또는 산업 환경에서 스마트 디바이스
지브라 고정형 스캐너 ‘FS’ 및 ‘VS’ 소개 비전아이즈가 ‘제조자동화기술전 2023(KOFAS 2023)’에 참가해 고정형 산업용 스캐너 두 종을 전시회 부스에 전시했다. 해당 스캐너는 부품 및 패키지 등을 대상으로 자동화 추적 및 조회 작업을 수행한다. 제조자동화기술전은 2년 주기로 개최하는 제조 자동화 기술 전시회로, 올해는 17회를 맞이해 이달 28일부터 나흘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140개 기업, 380부스 규모로 제조 혁신 솔루션 및 기술 등을 선보인다. 비전아이즈는 최근 산업 내 디지털 전환 바람에 발맞춰 성장 중인 머신비전 시장에 비전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비전아이즈는 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스마트 팩토리 등 분야에 자가 기술을 전파 중이다. 사용자는 비전아이즈 솔루션을 통해 생산·보관 등 풀필먼트 전주기에 대한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비전아이즈가 이번 전시회에서 참관객에게 제시하는 머신비전 솔루션은 지브라 고정형 산업용 스캐너 라인업인 ‘FS’와 ‘VS’다. FS 라인업은 10·20·40·70 등 네 가지 모델로, VS 라인업은 20·40·70 등 세 가지 모델로 구성돼 있어 해상도·센서크기·조명에 따라 선택의 폭이 넓은 것이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RedCap(Reduced Capability)을 포함한 모든 셀룰러 사물 인터넷(CIoT) 기술의 프로토콜, 무선 주파수(RF) 및 기능 테스트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간소화된 네트워크 에뮬레이터인 5G 네트워크 에뮬레이션 솔루션 플랫폼 기반의 새로운 E7515R 솔루션을 발표했다. E7515R은 초기 설계부터 승인 및 배포에 이르기까지 워크플로 전반에 걸쳐 모바일 디바이스 검증에 사용되는 키사이트의 5G 네트워크 에뮬레이션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 5G RedCap 사양은 5G 기능이 간소화된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지원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덜 복잡하고 전력을 덜 소비해 산업용 센서 및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등, 새로운 CIoT 사용 사례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셀룰러 디바이스와 마찬가지로 RedCap 디바이스도 시장에 출시되기 전에 공인된 연구소에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인증을 받아야 한다. 디바이스 및 모듈 제조업체는 사전에 실험실 검증을 수행해 설계 문제를 식별하고 수정함으로써 레드캡 및 기타 CIoT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를 단축할 수 있다. 키사이트 E7515R은 이러한 요구를 해결하기
“사용자 편의와 안정성 향상을 위해 환경에 맞는 솔루션을 제공해 나가겠다.” 센서리움 공진경 대표는 보행자용 센서, 산업용 센서 제공 외에도 고객중심의 유연한 태도와 여러 가지 솔루션을 커버할 수 있는 제품 개발 역량도 갖추고 있다고 말한다. 최근 안전에 대한 정부 지침이 강화되면서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에서는 각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제품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체험 서비스를 소개할 예정이라고 한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센서리움은 보행자용, 산업용 센서 외에도 4차 산업혁명에 부흥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편의와 안정성 향상을 위해 여러 분야에 걸쳐 연구개발을 하고 있다. 주력 사업 분야는 스마트 주차 시스템, 스마트 도로교통, 스마트 인더스트리, 대중교통 안전 솔루션, 피플카운팅, 보안 및 입출입감지, 인터랙티브 미디어 솔루션 등 센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Q. 인더스트리4.0 또는 스마트 팩토리 영역에서 센서리움은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나. A. 앞으로는 점차 자동화 솔루션이 사람을 대체한다고 한다. 대부분은 자동화로 대체되고, 점차 간소화되고 디지털화가 된다. 따라서 기계들 간의 사고 없는 원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센서리움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에 참가해 FLATSCAN, LASER SCANER, WIDESCAN 등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자동화 및 안전과 관련된 센서와 코로나19 상황에 꼭 필요한 위생 관련 센서들을 선보였다. 센서리움은 보행자용과 산업용 센서 외에도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스마트 센서 솔루션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편의와 안정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연구, 개발하고 있다. 주력 사업 분야는 스마트 주차 시스템, 스마트 도로교통, 스마트 인더스트리, 대중교통 안전 솔루션, 피플카운팅뿐만 아니라 보안 및 입출입감지, 인터랙티브 미디어 솔루션 등 다양한 센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레이저스캐너는 ToF(Time of Flight) 기술을 사용한다. 이 기술은 각각 4개의 레이저 신호를 평면으로 송신 및 스캔해, 각 신호의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한다. 감지뿐만 아니라, 물체의 속도, 길이, 위치 등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응용하여 ITS 뿐만 아니라 인터렉티브, 높이제한 등 다양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공장 시스템에 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씨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다양한 산업용 센서 라인업을 선보였다. 독일에 본사를 두고 있는 씨크는 산업용 센서시스템 전문회사로서, 광전센서, 레이저센서, 근접센서, 엔코더, 안전센서, 바코드스캐너, 머신비전 등의 종합적인 산업용 센서 라인업을 국내 유수의 자동화 관련 업체에 공급함으로써 국내 자동화 분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콘트라스트 센서 ‘KTS/KTX’ 제품은 고정밀 RGB-LED와 내구성이 강한 VISTAL 하우징을 갖추고 있으며, Twin-Eye Technology와 컬러 모드, 높은 스위칭 프리퀀시, 높은 수준의 무채색 스케일 분해능, 7세그먼트 표시기와 IO-Link 통신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반응 시간이 짧아 속도가 빠른 공정에서도 콘트라스트의 위치와 차이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센서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어 커미셔닝 시 유연성과 공정 안정성이 높아진다. IO-Link를 통한 진단 및 분석 등의 데이터도 제공한다. 씨크의 새로운 광전센서 ‘W4F’는 콤팩트한 디자인과 전문적인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산업용 센서, 제어기기 전문기업 오토닉스(대표이사 박용진)가 9월 8일부터 10일까지 3일 동안,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회인 오토메이션 월드(Automation World 2021)에 참가한다. 오토닉스는 첫 회부터 31년 연속으로 오토메이션 월드에 참가하여 다양한 신제품 및 종합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역시 신제품 및 출시 예정 제품을 위주로 6개 존을 구성, 오토닉스의 기술력과 신제품에 대한 홍보를 대대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6개 존은 △세이프티 존 △변위센서 존 △머신비전 존 △IO-Link 존 △LiDAR 존 △SCADA 으로 각 존마다 제품 실물이 적용된 데모키트와 전용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도울 예정이다. 또한, 오토닉스는 IO-Link 적용 제품 및 LiDAR, SCADA 등의 최신 기술 트렌드에 맞춘 제품도 최초로 선보일 계획이다. 특히 △국제 안전 규격에 적합하게 개발된 세이프티 제품군(세이프티 라이트 커튼/컨트롤러/스위치) △IO-Link 통신을 통해 센서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위기기에 전달하는 중계박스형 리모트 I/O(ADIO)와 근접센서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산업 전반에 걸쳐 소형 장비에 대한 요구가 지속됨에 따라 포토 마이크로센서에 대한 수요 역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발맞춰 산업용 센서, 제어기기 전문기업 오토닉스가 기존에 출시되었던 초소형 포토 마이크로센서 BS5 시리즈에 이어 더욱 소형화된 BS3 시리즈를 새롭게 선보였다. BS3 시리즈는 BS5 시리즈에 비해 약 34%(K형, 가로폭 기준) 소형화된 사이즈로 소형 장비 및 협소한 공간 및 틈새 공간에 설치가 용이하다. 이 제품은 K, F, R, U, L형의 5가지 외형의 모델을 제공하여 설치 환경 따라 외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각지대 없이 어느 방향에서나 확인이 용이한 ‘ㄷ’모양의 동작 표시등을 채용하여 모서리, 코너 등 상태 식별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내구성 면에서도 높은 내진동성(2,000Hz) 및 내충격성(1,500G)으로 파손될 우려나 진동이 있는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이외에도 BS3 시리즈는 입광 또는 차광 시 표시등이 ON 되는 모델 라인업으로 사용 환경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저 선택의 폭을 확대했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산업용 센서·제어기기 전문기업 오토닉스가 7월 중에 ‘Autonics Virtual Exhibition’을 개최하고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지속 운영할 예정이다. ‘Autonics Virtual Exhibition’이란 온라인 공간에 전시관을 조성함으로써 오토닉스의 다양한 신제품과 기술 등을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는 디지털 전시 관람 서비스이다. 해당 디지털 전시관은 Industry Application Zone과 New Product Zone으로 구성되어 운영된다. Industry Application Zone은 반도체, 자동차, 사출 성형, 엘리베이터, 포장 산업으로 총 5가지 산업 공정을 만나볼 수 있는 체험관으로, 다양한 산업 공정 속에서 오토닉스 제품과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체험형 콘텐츠를 통해 경험할 수 있다. New Product Zone은 실제 오프라인 전시 부스와 가장 유사한 방식으로 제품을 전시한다. 특히 수십여 가지의 오토닉스 제품을 3D로 제공함은 물론, 영상 및 홍보물 등 다양한 콘텐츠도 함께 제공하여 풍성하면서도 퀄리티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오토닉스 관계자는 “실제 전시장에 온 것 같은 자유로움과 직관적인
[헬로티] SICK(씨크)는 다양한 산업용 센서 라인업을 자동화 관련 업체에 공급함으로써 국내 자동화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여 생산성 향상과 품질 향상은 물론, 특별히 근로자 안전에 도움이 되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공장 자동화 분야에서는 자동차 및 전자 산업, 공작 기계 등에 초점을 맞추어 생산, 포장, 조립 등의 과정을 제어하고 품질 보증을 책임지며 기계 안전을 보장한다.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다양한 SICK 센서 솔루션 중, 올해 주목할 만한 제품을 소개한다. 유도감응형 근접센서, IMC IO-Link통신이 가능한 유도감응형 근접센서 IMC를 이용하면 그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도 다양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주어진 도전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개별 스위칭 지점이나 스위칭 윈도(감지영역)를 최대 4개까지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IMC 근접 센서 하나로 기존 장치 여러 개를 대체할 수 있다. ▲ IMC Switch-on/off 지연을 조절하는 것으로 스위칭 펄스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으며, 논리 모듈이나 온도 측정, 카운트 및 시간 측정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으로 복잡한 도전 과제도 비교적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광전센서, W4F SICK의 새로운
[헬로티] 국내 산업용 센서·제어기기 전문기업 오토닉스(대표이사 박용진)는 한국 인터넷전문가 협회(KIPFA)가 주관하는 ‘웹 어워드 코리아 2020’에서 일반 기업 부문-제조 분야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11일 밝혔다. 올해로 17회를 맞은 웹 어워드 코리아는 3,800여명으로 구성된 평가 위원단이 올 한해 새롭게 구축하거나 리뉴얼한 웹사이트 447개를 대상으로 가장 혁신적이고 우수한 사이트를 선정하는 시상식이다. 오토닉스는 2018년 홈페이지 개편을 단행하며 해당 어워드에서 일반 기업 부문-중견 기업 분야 최우수상을 수상했으며 올해 리뉴얼을 통해 두 번째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됐다. 올해 오토닉스의 수상 요인으로는 △UI/UX 개선 관리 △검색 기능 대폭 강화 △서비스 기능 대폭 강화 △비대면 고객 서비스 강화 등이다. 이는 다양한 고객 서비스를 웹 플랫폼 기반의 모듈화 방식으로 풀어나갔다는 점에서 심사위원들의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코로나19의 위기 상황 속에서 라이브 챗, 카카오톡 실시간 상담, 원격 지원 서비스, 3D 도면 뷰어, E-edu, 온라인 전시회 등 비대면 고객 서비스를 한층 강화하며 한
[헬로티] 센서리움은 보행자용과 산업용 센서 외에도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스마트 센서 솔루션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편의와 안정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연구, 개발하고 있다. 주력 사업 분야는 스마트 주차 시스템, 스마트 도로교통, 스마트 인더스트리, 대중교통 안전 솔루션, 피플카운팅뿐만 아니라 보안 및 입출입감지, 인터랙티브 미디어 솔루션 등 다양한 센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 센서리움 공진경 대표 Q. 올해 사업성과는. A. 센서리움의 첨단 센서 기술은 스마트하고 혁신적인 시대 변화에 발맞추어 다양한 환경에 적용되고 있다. 올해 코로나 광풍의 안 좋은 상황에서도 기존 시장은 첨단 센서 기술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우리 또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적극적인 신규 시장을 개척해나가고 있다. Q. 코로나 역풍에 어떤 전략으로 대응했나. A. 코로나19는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 특히, 디지털 사회로의 변화를 상당히 앞당겼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첨단 기술의 발전에 촉진제가 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시대 흐름에 발맞추어, 센서리움은 혁신적인 센서 솔루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디지털 사회로의
[헬로티] 산업용 센서 제어기기 전문기업 오토닉스(대표이사 박용진)의 세이프티 브랜드가 ‘2020 굿디자인 어워드(GD, Good Design)’에서 브랜드 디자인 부문 Winner를 수상했다. 굿디자인 어워드는 1985년부터 약 35년간 이어진 국내 최고 권위의 디자인 어워드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한다. ▲ ‘2020 굿디자인’에서 브랜드 디자인 부분 Winner를 수상한 오토닉스 세이프티 브랜드 디자인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이 출품된 상품의 외관, 기능, 경제성 등의 종합적인 부분을 심사하고 우수성이 인정된 디자인을 선정해 ‘GD’ 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이번에 수상한 오토닉스 세이프티 브랜드는 ‘안전 영역(Safety Area)’에 대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 위해 노란색과 검은색의 대비를 이용하여 안전을 시각화했으며 네모 도형으로 안전 방호를 의미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굿디자인 어워드 심사위원들은 오토닉스 세이프티 브랜드가 안전에 대한 추상적인 이미지를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시각화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