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 통합 시행계획 공고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의 2023년도 통합 시행계획을 공고한다고 16일 밝혔다.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은 국내 산학연과 해외 우수 연구기관과의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해외 기술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첨단기술 확보·해외시장 진출 등 국내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현재 74개 협력국과의 공동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지원규모는 총 1061억원으로 ▲양자 공동펀딩형 연구 개발(350억원) ▲다자 공동펀딩형 연구 개발(253억원) ▲전략기술형 연구 개발(407억원) 등으로 구분하여 지원할 계획이다. 양자 공동펀딩형 연구 개발은 정부 간 합의를 기반으로 양국 정부가 공동으로 지원하는 사업으로, 민간차원의 기술협력 수요와 시장환경 및 산업별 강점 등 국가별 특성을 고려하여 높은 효과가 기대되는 중점 협력분야를 중심으로 지원한다. 다자 공동펀딩형은 친환경, 탄소중립 등 글로벌 당면과제 해결과 디지털 전환 등 세계적 공통관심 기술 분야에 대해 다자간 공동연구 플랫폼인 유레카, 유로스타 등을 통해 지원한다. 전략기술형은 글로벌 기업의 수요에 기반하여 국내 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글로벌 수요연계형', IP인
신규과제 138억, 계속과제 829억 지원...'탄소중립, GVC 대응, 디지털 전환, 첨단기술'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14일 국내 산·학·연과 해외 우수 R&D 기관과의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지원하는 2022년도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 통합 시행계획을 공고했다. 올해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은 탄소중립, 글로벌 공급망(이하 GVC) 재편 등에 대응하기 위해 사업예산을 지난해 819억원에서 18% 확대한 967억원으로 증액했으며, 이 중 신규예산은 138억원이다. 이번 사업은 정부 간에 합의한 분야를 중심으로 양국 정부 공동으로 R&D 자금을 지원하는 양자 공동펀딩형 R&D(346억원), 유레카(EUREKA) 등 다자 간 R&D 협력플랫폼에 참여해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다자 공동펀딩형 R&D(249억원), 국내 기업의 핵심기술 확보 및 GVC 진출을 연계하는 글로벌 수요연계(112억원) 및 기술도입형 R&D(33억원) 등으로 구분해 지원한다. 특히, 올해 새로이 추진하는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을 살펴보면, 먼저, 세계 최대의 R&D 협력플랫폼인 '유레카' 내에 우리나라를 포함 영국, 덴마크, 캐나다 등 16개국이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