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생태계 복원을 통한 탄소중립 실현 가능성을 입증하는 성과가 국내에서 나타났다. 기후테크 스타트업 땡스카본(대표 김해원)과 LG화학(대표 신학철)이 공동으로 추진 중인 ‘블루카본(Blue Carbon) 잘피 서식지 복원 및 연구 사업’이 3차년도 모니터링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양사는 26일 전남 여수 앞바다 대경도 인근에서 진행된 프로젝트의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3차년도 조사 결과, 잘피 이식지가 단순한 해양 식물 심기를 넘어 해양 생태계 복원지로 자리 잡고 있음이 확인됐다. 모니터링에 따르면 잘피 서식밀도가 뚜렷하게 증가했으며, ‘민꽃게’, ‘붕장어’를 포함한 총 16종의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관찰됐다. 이로써 잘피 숲이 어류와 저서생물의 산란장·서식처로 기능하며 생태 다양성을 확대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잘피는 바다 속에서 꽃을 피우는 해초류로,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가 공식 인증한 3대 해양 탄소흡수원 중 하나다. 육지의 탄소흡수원인 그린카본에 비해 탄소 흡수 속도가 50배 빠르고, 저장 능력도 5배 이상 높아 블루카본의 가치는 국제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잘피 군락지는 연간
AI 기후테크 스타트업 땡스카본(대표 김해원)이 국내 최대 사회문제 해결 축제인 ‘2025 대한민국 사회적가치 페스타’ 현장에서 ESG 유튜브 프로그램 ‘대담해’에 참여해 기업 간 협력과 사회문제 해결을 주제로 대담을 나눴다. 지난 2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LG화학 Global CSR팀 이영준 팀장의 사회로 진행됐다. 김해원 대표와 LG소셜캠퍼스 운영위원장 박재환 교수가 연사로 참석해 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과 지속가능 경영의 해법을 논의했다. 김해원 대표는 이날 땡스카본의 대표 ESG 프로젝트들을 소개하며 “AI 기후테크 기업으로서 우리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자연기반솔루션(NBS)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며 “온실가스를 감축해 탄소배출권을 창출하고 이를 정부와 기업에 제공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가치 사슬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땡스카본은 LG화학과 협력한 블루카본 잘피 서식지 복원 사업, 벼농사에서 발생하는 메탄 감축 프로젝트 등을 추진하며 ESG 생태계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벼농사 메탄 문제는 아시아와 동남아 지역 농업의 주요 난제다. 땡스카본은 현지 농부들의 친환경 전환을 지원하며 감축된 메탄을 정량화해 탄소배출
텔레픽스가 자체 개발한 세계 최초 블루카본 모니터링 위성인 ‘블루본(BlueBON)’이 성공적으로 발사됐다고 5일 밝혔다. 블루본은 1월 14일(미국 동부 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기지 발사장에서 우주로 발사됐다. 글로벌 우주업체 스페이스엑스(SpaceX)의 ‘트랜스포터-12’ 라이드셰어(승차공유) 미션을 통해 팔콘나인(Falcon9) 로켓에 실렸다. 이후 지난 22일 최종적으로 정상 사출 진행되어 전원, 통신 등 위성의 기본적인 기능이 정상 작동되고 지상국 교신에도 성공했다. 27일 기준 현재까지 수신한 데이터 상 임무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것으로도 확인됐다. 블루본은 괭생이모자반을 비롯한 블루카본(blue carbon, 해양·해안 생태계 탄소 흡수원)을 관측하기 위해 개발된 위성이다. 텔레픽스가 자체 개발한 다분광 카메라(multispectral camera)가 탑재됐으며 기존 위성에 비해 최적화된 공간 해상도와 분광 채널을 갖춰 부유 해조류의 양과 분포를 효율적으로 확인 가능하다. 이렇게 수집된 블루카본 모니터링 정보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화두로 떠오른 탄소배출권 시장에도 활용될 수 있어 자사 주요 다운스트림(위성 데이터 가공 등을 포
조성익 대표,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관련 우주 기술의 가능성 널리 알려 텔레픽스가 4~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혁신자 커뮤니티 회의에 참석했다고 6일 밝혔다. WEF 혁신자 커뮤니티 회의는 전 세계의 영향력을 지닌 조직의 임원들과 공공 부문 의사결정자들이 연결되어 인간과 지구가 직면한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 진전을 이끌어내기 위한 자리다. 이번 회의에는 세계 최대의 증권거래소인 뉴욕 증권거래소(NYSE)의 린 마틴(Lynn Martin) 사장을 포함한 20여 개국 130여 명의 전 세계 혁신 기업인이 참석했다. 조성익 텔레픽스 대표는 이번 회의에서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관련하여 우주 기술의 가능성을 알렸다. 특히 기후 변화 대응에 큰 잠재력을 가진 블루카본(해양 생태계 탄소 흡수원)을 인공위성 및 AI 기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텔레픽스는 올해 6월에 한국 우주기업으로서는 최초로 WEF 100대 기술선도기업(Technology Pioneers)으로 선정되어 WEF 혁신자 커뮤니티의 멤버로 활동 중이다. WEF 혁신자 커뮤니티 중 4차산업혁명 센터에 속해 있으며, 공공 및 민간 부문 리더들과
효성그룹은 10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바다식목일 기념행사에서 해양수산부·한국수산자원공단과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블루카본 사업 추진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MOU 체결식에는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이춘우 한국수산자원공단 이사장, 오영훈 제주도지사, 김치형 효성티앤씨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으로 효성을 비롯한 해양수산부, 한국수산자원공단은 ▲해양 생태 환경 개선 및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 ▲잘피숲 블루카본 사업 추진 노력 ▲해양생태계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등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앞서 효성 5개 계열사 임직원은 지난 4일 경남 통영 용남면 화삼리 연안에서 대표적 블루카본인 해양보호 생물 잘피를 이식해 바다숲을 조성했다. 블루카본은 해양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뜻한다. 탄소 흡수 속도가 육상 생태계보다 최대 50배 빠르고 산불 등 위험 요소가 없어 탄소 저장소로 주목받는다. 효성은 지난 12월부터 지주사인 효성과 효성티앤씨, 효성중공업 3개사가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을 출연해 한국수산자원공단, 거제시와 함께 잘피숲 보전 활동 사업도 진행하는 등 해양 생태계 보전에 나서고 있다. 조현준 효성 회장은 "효성은
기아는 28일 기아 송호성 사장, 해양수산부 조승환 장관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해양수산부와 블루카본(Blue Carbon) 협력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측은 해양 생태계 보호와 기후변화 대응을 목표로 삼고, 향후 약 3년간 국내 갯벌의 식생복원 추진 및 생물 다양성, 탄소흡수 관련 연구 후원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기아는 지속가능한 지구를 만드는데 즉각적이고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자 해양 생태계 조성/복원 사업 추진을 검토해왔으며, 그 일환으로 국내 갯벌의 복원 및 조성을 위해 해양수산부와 협력 방안을 논의해왔다. 국내 갯벌은 세계 5대 갯벌에 꼽힐 만큼 방대한 규모를 자랑하며, 총 면적은 약 2480㎢에 달한다. 또한 국내 갯벌은 약 천여 종의 해양 생물의 서식지로서 생태계적 가치가 우수할 뿐 아니라, 내연기관차 약 20만 대가 내뿜는 양과 동일한 수준인 약 49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매년 흡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양수산부는 갯벌의 생태학적 가치를 제고하고, 탄소흡수 기능을 강화하여 국가 탄소중립에 기여하고자 오는 2024년까지 국내 갯벌 4개소를 대상으로 갯벌의 식생을 복원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민간 기
임직원 참여해 사라져가는 육상 식물 및 해조류 복원해 생태계 보존 한려해상국립공원사무소 · 한국수산자원공단과 협력해 ESG 경영 실천 포스코ICT가 사라져가는 육상 및 해상 식물 증식을 지원해 생태계를 보존하고, 이들 식물이 공기중 탄소를 흡수하는 블루카본(Blue Carbon)을 조성하는 ESG 활동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포스코ICT는 전남지역에서 자생하는 희귀식물인 ‘히어리’ 품종 증식을 지원하는 활동을 펼친다. 지난해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채집된 야생 종자를 국립공원 측에서 싹을 틔워 포스코ICT 직원들에게 분양해 10월까지 증식하면 다시 국립공원으로 환원하는 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포스코엠텍, 포스코플로우 등 그룹사와 함께 보호대상 해양식물인 ‘거머리말’ 증식장을 구축할 계획이다.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제공하는 부지에 구축되는 증식장 내부에 포스코ICT는 IT 기업의 특성을 살려 해초류 성장에 필요한 온도관리 자동화시스템을 제공하고, 준공 후에는 미래세대 대상으로 생태환경 체험 교실도 운영할 계획이다. 회사측은 이번 활동을 통해 사라져가는 희귀 생태계를 보존하고, 해양 생태계가 공기중 탄소를 흡수하는 블루카본(Blue Carbon)을 조성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