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대통령의 공장 방문, 미국 경제 활성화 노력 강조하려는 의도로 보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미시간주(州)에 있는 SK실트론CSS 공장을 방문한다고 백악관이 28일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5월 방한 당시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공장을 찾은 적은 있지만, 미국 내 한국 공장을 방문하는 것은 처음이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미시간주 베이시티를 방문해 SK실트론CSS에서 연설한다"며 "그는 보수가 좋은 제조업 일자리 창출과 아래에서 위로의 경제 건설을 포함해 지난 2년간 우리가 이룬 진전에 대해 언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SK실트론CSS 공장 방문은 외국 기업의 미국 내 반도체 투자 모범 사례를 부각해 자신의 미국 경제 활성화 노력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해 3억 달러 투자 확대를 발표한 SK실트론의 최신 제조시설을 방문한다면서 "바이든 대통령의 경제 계획이 제조업 붐으로 이어지고 미시간주에서 좋은 급여를 받는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점을 언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린 장-피에르 대변인은 "현 정부 들어 거의 2년간 미 전역에서 70만 개 이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삼성전자 등 반도체 업체에 대한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반도체 공급망 정보 제공 요구가 이례적이라고 볼 수 없고 이를 거부하면 미국의 공공 조달시장 참여가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의 싱크탱크인 한미경제연구소(KEI) 마크 토콜라 부소장 등 연구진은 1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KEI 사무실에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동행 한국 취재기자단과 만나 "미국 정부의 (반도체 시장) 개입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며 이같이 말했다. 1940년대에 AT&T에 트랜지스터 기술을 업계에 공유할 것을 요청하는 등 미국 정부가 과거에도 기술 보급과 국내 산업 성장을 돕기 위해 기업에 정보 공유를 요구했던 적이 있었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연구진은 "대부분의 경우 미국 정부는 기업으로부터 맹목적으로 (제공된 정보를) 취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기업들과) 협상을 한다"며, "미국 정부는 삼성을 미국 경제에서 협상할 만한 중요한 기업으로 보고 있다. 워싱턴의 바람은 삼성과의 협력이지, 대립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 정부는 다른 기업에도 같은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이번 요구는) 삼성을 겨냥한 것은
[헬로티] 미국 정계와 관련 업계가 조 바이든 행정부를 향해 반도체 산업 투자 확대를 강하게 촉구하고 나섰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업계와 화상회의에 참석해 중국의 '반도체 굴기'에 대한 공개 견제를 선언한 것과 조응해서다. ▲출처 : 백악관 여야를 아우르는 70명 이상의 미 상·하원 의원은 12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미국 내 반도체 공급난 해소를 위해 반도체 연구와 생산을 지원하는 펀드를 조성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서한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국가 경쟁력 강화와 국가 안보 차원에서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 최소한 의회에 제출한 수준의 반도체 산업 지원을 고려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특히 "중국 공산당은 공격적으로 반도체 공급 체인에 투자하고 있다. 반도체 생산 보조금으로 1천500억 달러(약 169조 원)를 쏟아붓고, 1조4천억 달러(약 1천575조 원)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투자한다"며 반도체 산업 지원이 국가 안보적 우선순위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앞서 지난달 500억 달러(약 56조 원) 규모의 반도체 지원을 포함해 2조2천500억달러(2천530조 원) 규모의 인프라 예산을 의회에 제출한 바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