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패가 디지털 신원인증 솔루션으로 60억 원 규모의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시드 투자에는 에스브이인베스트먼트가 리드 투자자로 나섰고, 일본 제트벤처캐피탈과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가 참여했다.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는 앞서 프리시드 투자에도 참여한 바 있다. 분산신원인증(이하 DID) 기술은 기존 중앙형 신원 모델의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해결하는 위변조가 불가능한 3세대 디지털 신원 기술이다. EU에서 올해 5월 발효된 eIDAS 2.0 법안에 따르면, 해당 법안은 2026년까지 모든 EU 회원국이 시민에게 디지털 신원 지갑을 제공하는 인프라를 갖추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지난 2년간 6개의 파일럿 프로젝트에 1,800억 원(1.2억 유로)을 배정했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가트너는 “2026년까지 최소 5억 명의 스마트폰 사용자가 일상에서 분산 원장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신원 지갑으로 검증할 것”이라 예측하며, 마이크로소프트, IBM, 탈레스 등과 함께 호패를 대표 공급기업으로 꼽은 바 있다. DID 기술이 상용화 될 시, 은행 계좌 개설이나 비행기 탑승 시 복잡한 신원 확인 절차 없이 스마트폰의 디지털 지갑만으로 간편하게 인증이 가능해진다. 뿐만
웰스파고·뱅크오브아메리카·JP모건체이스 등 하반기 내 출시 계획 미국 월가의 대형은행들이 애플과 빅테크에 맞서 금융 서비스 진출을 확대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간) 웰스파고, 뱅크오브아메리카, JP모건체이스 등 7개 은행이 온라인 쇼핑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지갑을 출시하기 위해 협력 중이라고 보도했다. 대형은행들이 공동 개발 중인 디지털지갑은 각사에서 발행한 체크카드, 신용카드와 연계된다. 출시 직후 1억5000만 장의 체크·신용카드를 이 디지털지갑 내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은행들은 전망했다. 온라인 송금서비스 '젤'의 운영사인 얼리워닝서비스가 이 디지털지갑을 운영하며, 올해 하반기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우선 비자와 마스터카드에서 발행한 체크·신용카드로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지만, 얼리워닝서비스 측은 다른 카드사와도 접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월가의 대형은행들이 공동으로 디지털지갑 출시에 나선 것은 애플페이, 페이팔과 같은 제3자 월렛 서비스와의 경쟁 때문이라고 한 소식통이 WSJ에 전했다. 특히 애플의 경우 자체 브랜드 신용카드를 출시하고 '선구매 후지불'(buy now, pay later) 서비스를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