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서트가 2025년 이후 사이버 보안 분야 주요 변화를 전망했다. 기술 고도화에 따른 신원 확인 및 디지털 신뢰 구축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측하며 이에 기업이 대응해야 할 사이버 보안 이슈를 제시했다. 우선, 양자내성암호(Post Quantum Cryptography)가 적용 단계로 전환될 전망이다.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발표를 앞두고 다양한 산업에서 규제 준수 부담에 따른 양자내성암호 기술 채택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신뢰가 기업의 주요 과제로 부상하면서 윤리적 인공지능(AI) 관리와 안전한 디지털 경험을 총괄할 최고신뢰책임자(CTrO) 직책이 주목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SSL·TLS 인증서 수명이 단축됨에 따라 안전한 운영 유지를 위한 자동화와 암호화 민첩성은 기업 운영의 핵심 역량이 될 전망이다. 딥페이크와 허위 정보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이미지와 동영상에 디지털 콘텐츠 출처를 검증하는 C2PA(콘텐츠 출처 및 진위 연합) 인증 아이콘 표기가 보편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번 해에 발생한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서비스 중단 사태 같은 일에 대비하고자 자동 업데이트의 테스트 개선과 디지털 신뢰 구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영업 활동 비롯해 디지털 신뢰 제공을 단순화 및 간소화하는 교육 등 제공 디지서트가 파트너사에 디지털 신뢰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신규 통합 파트너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디지서트의 신규 통합 파트너 프로그램은 모든 유형의 파트너사를 위한 다양한 영업 활동을 비롯해 디지털 신뢰 제공을 단순화 및 간소화하는 교육, 지원 및 도구, 확대된 프로페셔널 서비스 지원, 그리고 더욱 많은 통합 매출을 파트너에게 제공한다. 특히, 인증서 수명주기 관리, 엔터프라이즈 신뢰, 디바이스 신뢰, 소프트웨어 신뢰 및 콘텐츠 신뢰를 아우르는 디지털 신뢰 솔루션이 포괄적으로 제공된다. 신규 파트너 프로그램은 파트너사가 솔루션 오퍼링을 확대하고 시장에서 차별화할 수 있는 여러 혜택과 함께 디지서트 유니버시티를 통한 집중 교육 및 지원을 제공한다. 디지서트는 파트너사가 신규 통합 파트너 프로그램을 통해 다수의 고객을 유치하고 매출을 증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뿐 아니라 새로운 방식으로 확대된 포트폴리오의 솔루션을 수익화하거나 핵심 정보 중심의 빠른 실행 도구를 이용해 신속한 고객 식별과 자격 검증을 수행하고 수익 실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파트너사가 디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