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에너지 충전소, 탄소 감축 상징 조형물 등 400여 학생의 263개 작품 전시 SK이노베이션과 국민대학교가 ‘그린 디자인’을 주제로 진행한 산학협동 프로젝트 결과물을 소개한다. SK이노베이션과 국민대는 이달 8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전시2관에서 ‘행복그린디자인 전시회’를 개최한다. SK이노베이션은 올해 3월 국민대와 ‘그린 ESG 디자인 개발산학협동 업무협약(MOU)’을 체결, 친환경과 탄소 감축 노력에 대한 대국민 인식 변화를 목표로 산학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에는 국민대 조형대 학부,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TED) 등에서 학생 414명이 참여한 263개 작품이 전시된다. 대표 출품작으로는 SK이노베이션이 추진 중인 주유소 미래 모델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을 주제로 한 ‘ESG 에너지 충전소’, 행코(행복코끼리) 와 함께 탄소를 잡고 지구를 지키자는 의지를 담은 ‘행코 슈퍼사인’, 행코전용 서체 디자인 ‘Team행코체’ 등이 있다. 출품작은 SK이노베이션 계열 구성원, 외부 이해관계자, 지도교수진의 심사와 관람객의 평가를 거쳐 금, 은, 동상을 포함한 우수작 20개가 선정되며, 이달 29일 시상식이 열린다. 8
IoT 스마트 절전시스템 전문기업 커누스가 자체 개발한 ‘이노세이버’ 시스템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 도입했다. 이노세이버는 무선 방식 카운팅 센서가 적용된 IoT 스마트 절전 시스템으로, 축구장 3배 규모에 달하는 DDP의 전체 지하 주차장 및 실내·외 화장실에 설치됐다. 이를 통해 절전효과 및 고객 편의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선 주차장의 경우 설치 공간의 크기에 따라 다수의 구간으로 나누어 유연한 제어가 가능하며, 차량 및 인원이 감지되는 구간별로 점등함으로써 절전효과를 극대화시킨다. 평상시 최소 조도인 70lx 유지를 위해 10% 밝기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다가, 차량 또는 사람 진입 시 SHD(무선동체감지) 센서가 인원과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해 동선에 따라 해당 구간에 나머지 90%의 LED 전등을 자동 점등시키고 진출 후 1분 경과 시 90%가 다시 자동 소등되는 원리이다. 또한 화장실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은 출입구에 SDS(무선인체방향인식) 센서와 내부에 SHD(무선동체감지) 센서를 간편하게 부착하고, 무선 스위치는 2개의 회로로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했다. 평상시에는 전체 조명이 소등된 상
IoT 스마트 절전시스템 전문기업 커누스가 자체 개발한 ‘이노세이버’시스템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 Dongdaemun Design Plaza)에 공급했다. 이노세이버(INNOSAVER)는 세계 최초로 무선 방식 카운팅 센서가 적용된 IoT 스마트 절전 시스템으로, 축구장 3배 규모에 달하는 초대형 건축물 DDP의 전체 지하주차장 및 실내·외 화장실에 설치됐다. 이를 통해 절전효과 및 고객 편의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선 주차장의 경우 설치 공간의 크기에 따라 다수의 구간으로 나누어 유연한 제어가 가능하며, 차량 및 인원이 감지되는 구간별로 점등함으로써 절전효과를 극대화시킨다. 평상시 최소 조도인 70lx유지를 위해 10%의 밝기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다가, 차량 또는 사람 진입 시 SHD(무선동체감지)센서가 인원과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선에 따라 해당 구간에 나머지 90%의 LED전등을 자동 점등시키고 진출 후 1분 경과 시 90%가 다시 자동 소등되는 원리이다. 또한 화장실 조명 자동제어 시스템은 출입구에 SDS(무선인체방향인식)센서와 내부에 SHD(무선동체감지)센서를 간편하게 부착하고, 무선 스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