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러리 무협, “對中 무역적자, 수입선 다변화와 기술 초격차로 개선해야”
중국에 83% 의존하는 2차전지용 수산화리튬 수입, 올 상반기 404% 증가 중국의 첨단장비 국산화·한국차 수요 감소·궈차오 등 현지 변화에 주목해야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핵심 소재의 수입선 다변화와 기술 초격차 여부가 對중국 무역적자 개선의 열쇠일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지난 19일 발표한 ‘최근 對중국 무역수지 적자 진단’보고서에서 중국 수입의존도가 높은 2차전지용 수산화리튬 수입이 단기간에 폭등하고, 중국의 수입 수요 약화로 對중국 수출 부진이 이어지면서 중국에 대한 무역수지가 구조적으로 악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전기차 보급 확산으로 국내에서도 2차전지의 핵심 소재인 수산화리튬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중국 수입의존도가 83.2%에 달해 수입선 다변화 및 대체 생산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중국·호주·칠레 등 3개국이 전 세계 리튬 생산의 86%를 차지하고 있는데다, 포스코가 2024년 완공을 목표로 연간 2만 5천톤 규모(전기차 60만대분)의 아르헨티나 리튬공장 투자를 진행 중이긴 하나 실제 물량 확보까지는 다소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단기간에 수입선 다변화를 이루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