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지역 일반산업단지가 남부지역에 비해 규모와 생산성,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불균형 해소 대책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13일 '경기도 산업단지 생산성 및 효율성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경기도 내 일반산업단지 수와 고용인원은 175곳에 26만4천142명이다. 이는 전국 시도 중 가장 큰 규모로 전국 전체 단지 수의 25.1%, 고용 인원의 25.8%를 차지한다. 이 중 96개 도내 일반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경기북부 산업단지 중 상위그룹에 포함된 단지는 23%에 불과하고, 나머지 77%는 중·하위 그룹으로 분류됐다. 5년간 생산성 변화에서도 경기북부 산업단지는 32%가 효율성이 증가했고 68%가 정체 또는 감소했다. 반면 남부 산업단지는 49%가 효율성이 증가했고 51%가 정체 또는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연구원은 경기북부 지역에 신산업 유치가 필요하며 현재 진행 중인 고양·양주 테크노밸리와 더불어 추가적인 첨단 산업단지 조성과 노후 산단의 고도화·스마트화를 제안했다. 조성택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산업단지는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첨단 헬로티] 노후 산업단지는 재생사업 활성화구역으로 지정해 각종 혜택 부여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노후 산업단지를 일자리창출과 혁신성장 거점기지로 조성하기 위한 ‘산업단지 상상허브’ 사업대상지 공모를 실시한다. 산업단지 상상허브란 산단 내 국‧공유지, 휴․폐업부지, 유휴 부지 등을 대상으로 토지용도를 유연하게 전환 후, 각종 문화․편의․지원 기능을 집적하고 고밀도로 복합개발하는 산단 혁신성장의 거점으로 이번 공모는 작년 11월 발표한 산단 대개조 계획 후속조치로 추진된다. 산업단지 상상허브 공모에 선정된 사업대상지는 국토부가 신속한 사업추진을 지원하고 재생사업 활성화구역으로 지정하여 각종 특례를 부여할 계획이다. 사업추진을 위한 혜택 강화를 위해 일반상업지역까지 용도변경을 허용하고 개발이익 재투자 의무도 전면 면제할 예정이다. 또한, 산업단지 상상허브는 도시재생 인정 사업의 대상으로, 도시재생 인정사업으로 지정될 경우 관련 국비지원도 받을 수 있으며, 복합개발에 따른 건물을 건립하는 경우, 주택도시기금의 저리융자로 사업비도 지원하고, 공공기관 소유공간과 사업시행자의 기부채납 공간 등을 활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가 부산 신평장림일반산단과 충남 천안제2일반산단을 혁신산업단지로 지정했다. 혁신산단으로 지정되면 산단환경개선펀드, 혁신지원센터 등의 혁신사업을 지원받을 수 있다. 대상은 착공 20년이 경과한 노후 산단이다. 신평장림일반산단은 281만㎡의 면적에 621개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2015년 기준 생산액은 4조6547억 원이고 수출액은 13억8900만 달러이다. 혁신산단 지정으로 이곳은 융·복합 산업단지로 공간이 재편되며 각종 지원센터 연계로 혁신역량이 강화된다. 문화가 접목된 근로환경과 정주환경도 조성된다. 천안제2일반산단은 82만㎡에 63개사가 입주한 곳으로, 2015년 기준 생산액은 2조1947억 원이고 수출 규모는 3억4천만 달러이다. 이곳 또한 주력 업종의 전략적 집적화가 이뤄지며 각종 기업 지원 시설도 도입된다. 우수 인력이 유입될 수 있도록 근로 여건도 개선된다. 산업부는 이와 별도로 △인하대 컨소시엄(송도지식정보일반산단) △제주대 컨소시엄(제주첨단과학기술국가산단) △목포대 컨소시엄(나주혁신일반산단)을 신규 산학융합지구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들에게는 향후 5년간 각각 국비 120억 원이 지원되며 단지별 특화업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