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법인, 1조285억 원으로 가장 많은 당기순이익 기록해 현대차의 주요 해외법인들이 지난해 모두 흑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몇 년간 적자였던 미국공장법인과 브라질법인이 3년 만에 흑자로 전환되면서다. 21일 현대차가 최근 공시한 감사보고서와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미국공장 법인의 작년 당기순이익은 2370억 원을 기록해 2020년 1조191억 원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됐다. 미국공장이 앞서 2019년에도 2282억 원의 적자를 낸 것을 고려하면 3년 만에 흑자로 돌아선 것이다. 현대차는 자동차 시장 규모가 큰 미국에서 판매 법인과 공장 법인을 따로 두고 있다. 브라질법인도 지난해 410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실현하면서 3년 만에 흑자로 돌아섰다. 브라질법인은 2019년(-661억 원)과 2020년(-473억 원) 연이어 적자를 냈었다. 이로써 현대차의 주요 법인들은 지난해 모두 흑자를 냈다. 판매를 담당하는 미국법인이 1조285억 원으로 가장 많은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으며 이어 인도법인(4374억 원), 체코공장(4175억 원), 터키법인(1985억 원), 러시아공장(1721억 원), 캐나다법인(1179억 원), 호주법인(281억 원), 유럽법인(114억
[첨단 헬로티 = 서재창 기자] 전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및 장기화로 전대미문의 복합위기가 불어 닥치면서 국내 금형업계의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현재 우리 금형업계는 금년 1/4분기 지난해 확보 물량을 생산했으나, 4월 이후 급격한 수주 감소를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요 완성차 및 가전 업체들의 공장 대부분이 가동을 멈추고, 판매도 사실상 ‘불능’ 상태에 빠지면서 2·3차 중소 벤더사들은 이미 공장가동률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또한, 올해 개최 예정이었던 ‘2020 도쿄올림픽’ 마저 내년으로 연기되며 올림픽 특수마저 사라져 금형업계의 직접적 타격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실제로 플라스틱금형 전문기업인 A사 대표는 "일본 주요 고객사로부터 올림픽 개최 여부가 불투명해 짐에 따라 신규개발 물량 중단을 통보받았다"며, "올림픽 특수를 노렸던 주요 제조사들의 신제품 출시에 제동이 걸려 신규 발주 취소가 본격화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코로나19로 금형업계가 처한 어려움은 이뿐만이 아니다. 세계 각국의 국경 폐쇄 조치에 따라 물류이동과 해외 출장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