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적 침해 등 디지털 재난 발생 예방 및 대응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국립전파연구원이 서울특별시와 고출력 전자기파(이하 EMP) 발생 피해에 대응하기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EMP는 인공 파장의 펄스 형태로 방출되는 전자기파다. 전기를 활용하는 기기의 내부 회로를 손상시켜 오작동을 유발한다. 의료·교통·통신·설비 등 많은 분야에서 EMP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양 기관은 디지털 전환시대에 EMP 같은 전자적 침해를 예방하고 대응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이번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김진만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대부분의 공공인프라 시설이 첨단 정보 통신체계로 운용되고 있다. 이는 EMP 공격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 구조”라며 “이번 MOU를 통해 산업 전문성을 갖춘 국립전파원구원과 함께 시민안전에 위협이 되는 재난에 대응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협약은 지난해 카카오 플랫폼 서비스의 장시간 중단 사태 이후, EMP 공격에 대한 방호체계 필요성을 인식한 측면에서 양 기관이 의견을 같이 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EMP 분야 기술지원 ▲EMP 관련 자문 및 전문인력 교류 ▲양 기관이 보유한 시설과 장비 이용 상
[헬로티] 세계최초 이중 주파수 제어 구조로 응용성 향상, 의료·산업·국방·환경 등 산업구조 개선 ▲KERI '의료·산업용 MW급 마그네트론' 국산화 개발팀. (왼쪽부터) 김근주·김정일·이정훈·김상훈 연구원(출처 : KERI)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 전기의료기기연구센터 김근주·김정일 박사팀이 의료 및 각종 산업분야에서 활용되는 전자기파를 고출력 메가와트(MW)급으로 송출할 수 있는 고난도 ‘마그네트론’ 기술을 개발했다. 이는 세계에서 다섯 번째다. 전자레인지의 작동 원리로 잘 알려진 마그네트론은 높은 진공 공간에서 발생하는 전자빔의 전기 에너지를 고출력 전자기파 에너지로 변환해 방사하는 일종의 전자기파 발생 장치다. 마그네트론은 출력에 따라 활용 범위가 다른데, 메가와트(MW)급의 마그네트론은 높은 출력의 전자기파가 필요한 의료, 산업, 국방, 환경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된다. 하지만 넓은 활용 범위만큼 높은 기술 수준이 요구되다 보니 미국과 일본 등 소수의 선진국만이 기술을 독점해 오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전량 해외 수입에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