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의 급속한 진화가 실직 우려로 이어지며, 그간 신중한 입장을 견지해 온 미국 주요 기업 경영진들 사이에서도 공개적인 경고 발언이 나오고 있다. 혁신의 상징이었던 실리콘밸리를 넘어, 전통적인 대기업들까지 AI발 실업 가능성에 대한 현실적인 우려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포드의 짐 팔리 CEO는 “AI가 미국 사무직 노동자의 절반을 대체할 것”이라며 “많은 사무직이 뒤처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실리콘밸리 외 기업 경영진 중 AI로 인한 구조적 실직 문제를 가장 강도 높게 언급한 사례로 평가된다. 이와 비슷한 우려는 금융업계에서도 표출되고 있다. JP모건체이스의 메리앤 레이크 커뮤니티비즈니스 부문 CEO는 “AI로 인해 운영 부문 인력이 향후 몇 년 내 10% 이상 줄어들 수 있다”고 밝혔다. 실리콘밸리에서는 이미 AI 기반 업무 전환이 활발하다. 아마존의 앤디 재시 CEO는 “AI 소프트웨어 에이전트는 사무직의 수를 줄일 것”이라 언급했고, 생성형 AI 분야의 선두 주자인 앤스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 CEO는 “향후 5년 내 신입 사무직 절반이 사라지고 실업률이 20%까지 오를 수 있다”며 강도 높은 전망을 내
[헬로티] AI(인공지능)와 ICBM(IoT, Cloud, Big Data, Mobile), 5G 등 첨단정보통신 기술 등의 접목으로 로봇기술·제품의 발전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고령화·저출산 등에 따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최근의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등 라이프스타일 변화 등 여러 사회·경제적 요인은 로봇 활용을 촉진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로봇 도입 증가는, 특히 산업에서 노동 보완 효과를 일으켜 노동 수요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며, 질적으로는 고용의 질적 향상, 근로조건의 개선, 경영성과 등에서 다소의 개선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최근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내놓은 ‘로봇산업 동향과 고용 전망’에 대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정리했다. 로봇기술과 AI(인공지능)와 ICBM(IoT, Cloud, BigData, Mobile), 5G 등 첨단정보통신 기술의 융복합화와 고기능 센서 등의 개발·발전에 따라 로봇의 스마트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제 로봇은 제조 산업뿐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 산업에의 활용도 가속화되고 있다. 로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