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전문미디어 (주)첨단은 이달 AIoT·IIoT 등 IoT 융합 기술, 디지털 트윈, 제조 지능화를 위한 AI 기술 등 현 시각 산업에서 집중하는 기술·인프라를 주제로 웨비나를 연달아 진행한다. 다가온 10월 산업계가 주목해야 할 웨비나·온라인 컨퍼런스 등 첨단 이벤트는 다음과 같다. (오프라인) AIoT DevCon 2023 - AIoT 개발자 컨퍼런스 - 주제 : AI·엣지컴퓨팅·지능형IoT 융합을 통한 기업 비즈니스 혁신 방안 - 일시 : 2023년 10월 11일(수) 오전 10시 ~ 오후 5시 - 장소 : 서울 삼성동 코엑스 3층 컨퍼런스룸 E2, E3 - 참가등록 : https://dubiz.co.kr/Event/182 (온라인) AW 2024 베스트 솔루션 데이 2탄 - 제조혁신기술 - 주제 : 버넥트·유비씨·마키나락스가 선보이는 AW 2024 베스트 솔루션 데이 2탄 : 제조혁신기술 - 일시 : 2023년 10월 12일(목) 오후 1시 30분 ~ 오후 3시 30분 - 참가등록 : https://dubiz.co.kr/Event/174 헬로티 최재규 기자 |
KT가 지난 25일 모바일 시상식인 '리딩 라이트 어워즈(Leading Lights Awards) 2023'에서 '가장 혁신적인 5G 코어 구축' 부문을 수상했다고 26일 밝혔다. 리딩 라이트 어워즈는 글로벌 ICT 리서치 기관인 인포마(INFORMA)와 통신 분야 전문 매체인 라이트리딩(Light Reading)이 주관하는 시상식으로 매년 각 분야 최고의 통신사업자 및 서비스에 상을 수여한다. KT는 이번 시상식의 '가장 혁신적인 5G 코어 구축' 부문에서 글로벌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 부문은 5G의 핵심인 코어 네트워크 분야에서 앞선 기술과 혁신적인 서비스로 탁월한 성과를 달성한 기업에 수여하는 상이다. KT는 삼성전자와 함께 20년 11월, 5G NSA와 SA 서비스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동시 처리가 가능한 통합코어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고 21년 7월부터 5G SA 전국 서비스 상용화에 성공했다. KT는 5G 통합코어에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와 MEC(Mobile Edge Computing) 기술을 결합한 고품질·저지연의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해 스마트폰 중심의 기존 5G 서비스를 IoT 기반 공공·기업고
엘리먼트14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전자 폐기물을 IoT 연결 프로젝트로 업사이클링하는 새로운 디자인 챌린지 시작 엘리먼트14가 마이크로칩과 함께 엘리먼트14 커뮤니티 회원들을 대상으로 전자 폐기물을 혁신적인 IoT 연결 프로젝트로 리퍼포징하도록 장려하는 이니셔티브 '업사이클 IoT' 디자인 챌린지를 진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이 챌린지는 커뮤니티 회원들이 오래되거나 고장 난 전자 기기를 독창적인 IoT 창작품으로 만드는 것이다. 선정된 20명의 참가자에게 오래된 하드웨어를 IoT 제품으로 업그레이드하거나 고장 난 제어 보드를 다시 활성화하는 데 활용할 Microchip SAM E51 Curiosity Nano와 MikroE 클릭 보드 제품군을 제공한다. 엘리먼트14의 커뮤니티 및 소셜 미디어 글로벌 총괄인 Dianne Kibbey는 "전자 폐기물이 전 세계적으로 5000만 톤이 넘게 발생하는 상황에서 우리 커뮤니티 회원들에게 업사이클링을 하면서 동시에 전자 폐기물 줄이기 실천을 교육하는 챌린지를 시작하게 돼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업사이클 IoT 디자인 챌린지 신청 접수는 이달 29일에 마감된다. 선정된 참가자들은 SAM E51 Curiosity Nano 플
육지계통 플러스 수요관리(DR) 시범사업 참여…전기차 충전기 2만여 개 등록 가상발전소(VPP) 기업 해줌(Haezoom)이 육지계통 플러스DR 시범사업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해줌 관계자에 따르면 육지계통 플러스DR 시범사업 참여를 위해 최근 진행된 수요자원 등록 기간에 회사는 국내 최대 개수인 2만여 개 이상의 전기차 충전기 등록을 완료했다. 해줌은 전기차 충전기 및 IoT 등을 활용한 스마트 수요자원을 운영 중인 수요관리사업자로서, 고도화된 DR 관리 시스템인 ‘해줌온’과 다년간의 운영 능력을 바탕으로 육지 플러스DR 확대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또한 해줌은 태양광, 풍력, ESS(에너지저장장치) 등 1GW 이상의 다양한 자원을 보유한 전력중개사업자로서 높은 수준의 발전량 예측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플러스DR은 국가 전력계통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도입된 제도로서 현재는 재생에너지 발전소가 밀집된 제주도에서 시행되고 있다. 하루 전 입찰시장을 통해 가격을 낙찰받는데 입찰시장 참여를 위해선 전력 분석 및 발전량 예측 능력이 굉장히 중요하다. 분석 및 예측 능력이 곧 수익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전력중개사업을 통해 재생에너지 공급형 VPP에서 앞서가고 있는
보안이 갖는 가치와 중요성 IoT가 널리 확산되면서 향후 10년간 수십 억 개의 클라우드 커넥티드 제품이 설계, 생산, 판매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쉽게 해킹을 당할 수 있는 제품을 원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보안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우수한 코드 품질을 갖추는 것은 보안성을 확보한 제품을 만드는 데에 있어 필수 불가결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개발 과정의 일환으로 코드 분석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소스 코드는 제품의 품질을 좌우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제품의 개발, 제조, 업데이트 전반에 걸쳐 보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상 단계에서부터 보안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모든 기업은 투자한 자산을 보호받고 싶어하며, 이것은 소프트웨어 설계 및 엔지니어링 과정에 투입되는 모든 노력을 포함한다. 결국, 수 개월, 수 년에 걸쳐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기울인 노력이 물거품이 되게 하고 싶지는 않을 것이다. 여기서는 기업과 그 가치의 핵심에 대해 이야기해보겠다. 관계 법령 및 실무 규정 여러 정부 공공기관에서도 오늘날 IoT 기기의 보안이 취약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위협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과거 Io
’FY23 비즈니스 하이라이트 & FY24 전략 발표 기자간담회' 열려 Domain Knowledge·Open Blue·ESG...’D.O.E.s‘ 비전 밝혀 전문성 및 노하우 기반 디지털 플랫폼 ‘Open Blue’ 강조...“지속가능성·넷제로·에너지 효율 챙길 것” 기후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전 세계에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산업도 마찬가지인데, 기업은 환경을 고려한 요소를 필수로 보유해야 하는 시대에 직면했다. 이에 기업은 친환경·탄소저감·넷제로(Net-zero) 등 지속가능성 요소를 핵심 생존 전략으로 내세우고, 탈탄소에 대한 로드맵이 담긴 넷제로 시나리오를 속속 내놓는 중이다. 현재 30여개 주요국이 회원으로 있는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이하 IEA)는 지난 2021년 ‘2050년 넷제로 에너지 로드맵 보고서(Net zero by 2050 – A Roadmap for the Global Energy Sector)를 발표하고, 전 세계 각국 및 산업의 탈탄소를 촉구했다. 넷제로 실현 전략 및 방안 등이 보고서 주요 골자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추세로 2050년에 다다르면, 전 세
AIoT(AI+IoT) 생태계 구현을 위한 기술 개발 이슈를 공유하는 장이 열린다. AIoT Developer Conference 2023(AIoT DevCon 2023, 이하 AIoT 개발자 컨퍼런스)가 10월 11일 오전 10시 코엑스 3층 컨퍼런스룸에서 열린다.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가 후원하는 이번 AIoT 개발자 컨퍼런스는 지능형 IoT/IIoT 비즈니스 생태계 구현을 위한 개발자 중심의 컨퍼러스이자 AIoT 개발자들을 위한 정보 공유의 장으로, 대기업, 중소기업, 스타트업을 아울러 모든 IoT 제품 설계 및 개발자, 서비스 개발자, 관리자를 위해 마련됐다. 컨퍼런스에서는 관련 업계의 영향력 있는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 지능형 IoT가 비즈니스 및 제품 개발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등에 대해 인사이트를 나눌 예정이다. 오전에는 AIoT와 IIoT 구현의 핵심 ‘엣지컴퓨팅’, AIoT와 IIoT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위한 로우코드,효율적인 IIoT 개발을 이끄는 플랫폼을 주제로 키노트가 진행되고, 오후에는 각각 설계/저전력, 엣지컴퓨팅/개발키트, 커넥티비티/네트워크, 스마트홈, 스마트시티/자율주행, 스마트에너지, 테스트/측정/계측, IoT 보안, 스마트
AIoT(AI+IoT) 생태계 구현을 위한 기술 개발 이슈를 공유하는 장이 열린다. AIoT Developer Conference 2023(AIoT DevCon 2023, 이하 AIoT 개발자 컨퍼런스)가 10월 11일 오전 10시 코엑스 3층 컨퍼런스룸에서 열린다.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가 후원하는 이번 AIoT 개발자 컨퍼런스는 지능형 IoT/IIoT 비즈니스 생태계 구현을 위한 개발자 중심의 컨퍼러스이자 AIoT 개발자들을 위한 정보 공유의 장으로, 대기업, 중소기업, 스타트업을 아울러 모든 IoT 제품 설계 및 개발자, 서비스 개발자, 관리자를 위해 마련됐다. 컨퍼런스에서는 관련 업계의 영향력 있는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 지능형 IoT가 비즈니스 및 제품 개발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등에 대해 인사이트를 나눌 예정이다. 오전에는 AIoT와 IIoT 구현의 핵심 ‘엣지컴퓨팅’, AIoT와 IIoT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위한 로우코드,효율적인 IIoT 개발을 이끄는 플랫폼을 주제로 키노트가 진행되고, 오후에는 각각 설계/저전력, 엣지컴퓨팅/개발키트, 커넥티비티/네트워크, 스마트홈, 스마트시티/자율주행, 스마트에너지, 테스트/측정/계측, IoT 보안, 스마트
GS건설이 업계 최초로 자체 앱으로 홈네트워크 건물 AAA등급을 인증받았다. GS건설은 지난 7월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위례자이 더 시티 단지에 대해 초고속정보통신건물 특등급 및 홈네트워크 AAA등급을 동시에 인증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인증 항목 중 시공 외에도 IoT 확장성과 보안 항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건설사와 IT기업 간 협업이 필요했지만, 건설사에서 자체 개발한 앱으로 동시 인증을 받은 것은 GS건설이 유일하다. 초고속정보통신 및 홈네트워크 인증은 다양한 정보통신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건축물별로 받는 제도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전파관리소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에서 인증한다. 이 중 가장 높은 등급인 특등급, AAA등급을 동시에 만족하려면 ▲배선 설비 ▲기기 설치 ▲배관 및 기타 설비 ▲IoT 확장성 등의 100여개가 넘는 기준들을 만족해야 하며, 국내에서 최고 등급을 동시에 인증 받은 단지는 현재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인증 홈페이지 기준으로 9곳에 불과하다. 특히 GS건설은 자체 개발한 스마트홈 어플리케이션인 'GS SPACE'를 활용해 인증을 확보했는데, 이로써 입주민에게 스마트홈
산업용 통신 및 자동화 분야의 선도적인 솔루션 기업 힐셔는 최근 초소형 칩 캐리어 제품인 netRAPID 90에 Open Modbus/TCP 프로토콜 스택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산업용 통신 기술 업체들은 기존의 유연한 멀티-프로토콜 지원형 임베디드 모듈인 netRAPID 90 제품의 지원 가능 프로토콜을 더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netRAPID 90은 모든 테스트를 거친 후 사전 로드된 스택과 함께 제공된다. 힐셔의 임베디드 모듈 제품 매니저인 사이먼 피셔는 “netRAPID 90용 Open Modbus/TCP의 출시를 통해 고객의 현장 장치 사용 방식에 더 넓은 유연성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힐셔의 솔루션은 고객 제품에 바로 통합 가능하고 신속한 시장 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번 프로토콜 추가 지원을 통해 과도한 개발 비용 없이 신규 글로벌 시장 진출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netRAPID 90은 슬레이브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필드버스, 실시간 이더넷 및 IoT 프로토콜을 하나의 설계로 지원하고 표준 QFP 부품처럼 마더보드에 납땜을 통해 부착된다. 15×32 mm의 초소형 크기와 확장된 온도 범위를 지원하는 이 모듈은
4차 산업 맞춤 직무교육·구직자 채용연계 과정 위한 ‘DX캠퍼스’ 개소 첨단산업·신기술 분야 교육 강화와 디지털 전환 인력 양성 토대 마련 한국전파진흥협회는 11일 ‘한국전파진흥협회 DX캠퍼스’(이하 ‘DX캠퍼스’)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DX캠퍼스는 첨단산업·4차 산업 분야의 핵심인 ‘사람’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우수한 디지털 전환(DX) 인재를 집중 양성하여 미래 노동시장을 이끌어 나가기 위한 전문 교육시설로 구축됐다. 개소식에는 협회 회원사 및 임직원 등 주요 관계자 20명이 참석하여 DX캠퍼스의 업무 개시를 공식화하고 사업 시작을 알렸다. DX캠퍼스에서는 첨단·신산업 신기술 분야 중 DX 기술의 근간인 클라우드 컴퓨팅, 임베디드 SW, IoT, SDV 등의 첨단 교육과정을 확대하여 4차 산업 맞춤 직무교육·구직자 채용 연계 전문기관으로 입지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DX캠퍼스는 카카오·AWS코리아·현대오토에버·LG헬로비전 등과 클라우드스쿨, 모빌리티스쿨, DX데이터스쿨 등의 교육과정을 공동 개설 운영한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에도 국내·외 디지털 선도기업과 함께 첨단·신기술 분야를 주도하고 지속 가능한 교육과정을 개발 및 보급하여 ‘SW혁신인
특허청 통계 발표...인공지능 기술이 출원량 1위 4차 산업혁명 관련 주요 8개 기술의 특허출원이 10년간 연평균 14.7%씩 성장한 가운데, 인공지능(AI) 기술이 4차 산업혁명 기술 성장을 주도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10일 특허청이 발표한 '최근 10년 4차 산업혁명 기술 분야 특허출원 통계'에 따르면 2013년 7057건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2만4341건이 출원돼 10년간 약 3.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증가율은 10년간 14.7%로, 같은 기간 전체 특허출원이 연평균 1.2%씩 증가한 것에 비교하면 12배나 빠르게 증가한 셈이다. 4차 산업혁명 주요 8개 기술은 AI·빅데이터·사물인터넷(IoT)·디지털헬스케어·바이오마커·지능형로봇·자율주행·3D 프린팅이다. 세부 기술 분야로는 AI 분야가 가장 높은 비율(27.2%)을 차지했고, 디지털헬스케어(23.0%), 자율주행(21.7%) 분야가 뒤를 이었다. AI 분야의 경우 2013년도 444건으로 8대 주요 기술 가운데 6번째에 불과했으나 2016년 이후 급격히 증가해 지난해에는 8960건으로 1위를 차지했다. 2016년은 알파고의 등장으로 AI 시대의 도래를 대중에게 알린 해이기도 하다. 4차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팩토리 최근 몇 년간 4차 산업혁명이 화두가 되고 있다. 18세기에 일어난 1차 산업혁명은 기계에 의한 동력의 혁명, 19세기 말 ~ 20세기 초에 일어난 2차 산업혁명은 전기에 의한 자동화의 혁명, 20세기 후반에 일어난 3차 산업혁명은 컴퓨터에 의한 디지털 혁명이었다. 앞서 1, 2, 3차 산업혁명은 시간이 지난 이후에 산업혁명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이와는 다르게 4차 산업혁명은 현재 진행 중인 상태에 있으면서도 산업혁명이라는 이름을 얻은 초유의 산업혁명이라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에 의한 초연결(Hyper Connectivity) 혁명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이 주목을 받기 시작한 계기는 2011년에 독일이 주도한 Industrie 4.0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독일의 앞선 제조업 기술과 새로운 IT 기술을 결합하여 제조업의 발전을 도모하자는 것이었다. 4차 산업혁명은 ①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②빅데이터(Big Data), ③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
메타버스는 현실세계와 같은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 가상세계를 일컫는 말로, 최근 5G 상용화에 따른 정보통신기술 발달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산업 분야 속 복잡한 제조 및 설계 등의 공정에 메타버스는 개발 시간 단축, 효율성 증가의 효과를 제공한다. 산업형 메타버스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여기서는 산업형 메타버스 환경 구축을 위한 인포인의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사례를 소개한다. 인포인은 2015년에 IoT 소프트웨어로 시작해 실사 기반 공간을 구축해 왔다. 인포인이 IoT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며 느낀 현장의 고충은 ‘데이터 관리’였다. 인포인은 효율적인 데이터 관제를 위해 ‘가상세계에서 데이터를 미리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실제와 동일한 가상공간에서 미리 데이터 모니터링을 진행하는 것이다. 가상세계에서 미리 데이터 모니터링을 진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술은 ‘디지털 트윈’이다. 이처럼 메타버스 속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은 산업 분야 다양한 공정에도 적용할 수 있다. 완전한 메타버스 구축을 위한 '디지털 트윈’ 디지털 트윈 기술은 실사 기반 3D 모델링을 통해 현장감을 그대로 전달한다. 공장의 복잡한 배관이나 설비의 배치 구조도 그대로
LG유플러스는 한국지역난방공사(이하 한난)와 공동 개발한 '열수송관 설비 예지보전 및 이상진단 솔루션' 사업을 본격화하고, 산업안전 솔루션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한난이 공동 개발 및 테스트베드에 직접 참여했다는 강점을 살려 지역난방사업자와 산업단지 스팀 배관 사업자 등 집단에너지사업 분야를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실제로 LG유플러스는 한난을 제외하고 현재까지 7개의 에너지 관련 대기업 계열사 및 공공기관에 솔루션 구축을 완료했으며, 연내 5개 기업에 추가 공급이 예정돼 있다. 열수송관 설비 예지보전 및 이상진단 솔루션은 AI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열수송관 주변 지중의 온도와 진동패턴을 분석하는 기술이다. 이 솔루션은 현장 관리자가 육안이나 단순 센싱으로 확인하지 못하는 열수송관 이상여부를 신속히 파악해 알람을 송출, 운영사가 현장 점검을 통한 유지보수 작업을 가능케 한다. 한난은 주요 사업 설비인 열수송관의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이상징후를 조기 탐지할 수 있는 IoT 기반 신기술 도입을 추진했으며, 앞서 ▲온수배관 이상진단 ▲가스배관 이상진단 ▲추세이상예측 등 관련 솔루션 개발 역량을 보유한 LG유플러스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