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관적 설계와 AI 통합 분석 기능으로 제조·에너지·물류 전 분야 디지털 전환 가속화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전환 전문기업 ㈜자이솜은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개최되는 ‘AW베트남 2025’에 참가해 자사의 주력 솔루션 ‘X-SCADA AI’를 선보였다. X-SCADA AI는 자이솜이 독자 개발한 산업용 데이터 통합 및 제어 플랫폼으로, 산업 현장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모니터링·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차세대 HMI·SCADA 솔루션이다. 특히 웹 기반 인터페이스와 클라우드 지원 환경, Python 기반 AI 분석 엔진 연동, 직관적인 UI 설계를 통해 기존의 복잡한 시스템 운영 환경을 혁신적으로 단순화하며,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데이터 시각화와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된 X-SCADA AI는 국내외 제조 현장은 물론, 에너지·유틸리티·물류 등 다양한 산업에서 이미 성공적으로 적용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실제 사용자는 파워포인트처럼 구성된 UI를 통해 HMI 화면과 대시보드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으며, PLC, MES, ERP, 센서 등 다양한 시스템과 장비를 연동하여 공정의 실시간 상태를
에너지 절감부터 제조 현장 최적화까지… 산업 디지털 전환의 핵심 솔루션 선보인다 산업용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감소프트는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열리는 ‘AW베트남 2025’에 참가해, 자사의 AI 기반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FEMS) 및 맞춤형 ERP/MES 솔루션을 공개했다. 감소프트는 제조 산업의 고도화된 에너지 절감과 공정 관리 자동화를 실현하기 위해, 각 산업군의 특성에 맞춰 설계된 맞춤형 시스템을 지속 개발해왔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이러한 기술력의 집약체인 FEMS(Facility Energy Management System)와 ERP/MES 통합 플랫폼을 중심으로, 동남아 제조 현장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수요에 대응할 예정이다. 주력 전시제품인 FEMS는 제조 시설의 전력, 증기, 이온정제 석유 등 다양한 에너지원의 소비 데이터를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으로 통합 관리하며, AI 기반의 분석 기능을 통해 에너지 사용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비효율 지점을 탐지·예측하여 최적의 에너지 전략을 제시한다. 고객은 사용자 정의 대시보드를 통해 KPI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한 제조 운영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받을
클라우드 MES부터 VDI까지, 제조 DX를 위한 통합 솔루션 공개 클라우드 솔루션 전문기업 ㈜유플렉스소프트가 8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열리는 AW베트남 2025에 참가해, 중소 제조기업 맞춤형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팩토리 통합 솔루션과 고성능 가상 데스크톱(VDI) 시스템을 소개했다. 유플렉스소프트는 순수 국산 기술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역량을 바탕으로, 가상데스크톱(VDI), 문서중앙화, 스마트공장 솔루션, IT 인프라 관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민간 및 공공기관 고객을 다수 확보해 온 기업이다. 특히 디지털 전환이 시급한 중소 제조 현장을 위한 구독형 클라우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하며, 도입 비용 부담을 줄이고 초기 정착을 용이하게 만든 실용 중심의 DX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전시의 주력 출품작인 ‘올인원 스마트팩토리’는 MES, ERP, PLM 등 제조기업에 필요한 핵심 솔루션들을 하나로 통합한 클라우드 기반 올인원 플랫폼이다. 중소기업이 초기 도입비 없이 필요한 기능만을 선택해 구독형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 효율성과 확장성이 탁월하다. 특히 유연한 커스터마이징과 실시간 공정 모니터링, 품질 관리 기능 등을
‘그린웨일즈’ 통해 제조업 인공지능 내재화와 품질 최적화 솔루션 선보여 인공지능 기반 제조 품질 혁신 기업 ㈜웨다가 8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열리는 AW베트남 2025에 참가해, 비개발자도 활용 가능한 제조 AI 솔루션 ‘그린웨일즈(GreenWales)’를 출품했다. 웨다는 ‘누구나 손쉽게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철학 아래, 복잡한 코딩 지식 없이도 제조 현장에서 AI 모델을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해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특히 AI 품질검사 및 공정 최적화에 최적화된 ‘그린웨일즈’ 기반 솔루션 2종을 중심으로, 제조산업의 스마트 전환과 AI 내재화를 가속화할 방침이다. 첫 번째 출품 솔루션인 ‘제조 외관 품질 검사 자동화 솔루션’은 Vision 카메라 및 CCTV 등을 통해 수집한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물질, 크랙, 기포, 문자(OCR) 등 다양한 외관 불량 유형을 실시간 검출한다. 검출된 이상 정보는 MES, 경광등, 알림시스템과 연계되며, 지속적인 학습이 가능한 AI 운영 자동화 시스템이 함께 제공돼 AI 인력 없이도 실질적인 운영이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두 번째 주력 솔루션인
RESHENIE CPS Platform·DataStone 통해 베트남 스마트 제조 혁신 이끈다 AI 기반 스마트 제조 엔지니어링 전문기업 ㈜리쉐니에가 8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열리는 AW베트남 2025에 참가하여, AI 설비 모니터링 및 디지털 트윈 기반 자율형 공장 솔루션을 소개했다. 리쉐니에는 제조 현장에 흩어져 있는 다양한 설비 데이터를 통합해, AI 기반으로 공정과 설비를 원격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며, 설비 수명을 예측 진단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전문기업이다. 자체 개발한 D.N.A. 기술 플랫폼(Data, Network, AI)과 디지털 트윈 기반 솔루션은 초정밀 설비부터 범용 제조설비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적용 가능해,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DX)을 실현하는 파트너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전시의 핵심 출품작인 ‘RESHENIE CPS Platform’은 설비 고장 징후를 1~2개월 전 미리 감지할 수 있는 고도화된 AI 기반 분석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센서 설치부터 실시간 데이터 수집·분석·알림까지 통합된 원스톱 시스템을 제공한다. 박사급 공정분석 전문가의 최적화된 센서 배치 기술과 웹 기반 실시
가시광 RFID 시스템으로 태그 인식 오류 해결… 스마트 제조·물류 혁신 가속화 UHF RFID 전문기업 ㈜아이디로는 8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개최되는 아시아 대표 산업기술 전시회 AW베트남 2025에 참가해, 자사의 대표 제품인 가시광 RFID 시스템과 RFID 모듈을 선보였다. 아이디로는 RFID 하드웨어 분야에서 쌓아온 탄탄한 기술력과 제조 역량을 바탕으로, 생산·물류·유통·재고관리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고성능 RFID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국내 대표 RFID 리더 및 모듈 제조업체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주목받은 ‘가시광 RFID 시스템’은 기존 RFID 시스템의 가장 큰 불편함 중 하나였던 태그의 오인식 문제를 해결한 솔루션이다. LED 가시광선으로 인식 대상 태그를 명확히 지정하여 읽을 수 있는 방식으로, 생산라인, 재고조사, 자산관리 등의 정밀한 업무 환경에서 최적화된 인식 정확도와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 실제로 여러 산업 현장에서 기존 RFID 시스템의 한계를 경험한 사용자들이 가시광 RFID로 시스템을 전환하며 호평을 받고 있다. 함께 전시된 ‘RFID 모듈’은 RFID 기능이 필요한 다양한 디바이스에
실시간 생산 관리와 에너지 최적화로 제조 현장 디지털 전환 가속화 글로벌 제조 AI 솔루션 전문기업 ㈜조앤소프트는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열리는 ‘AW베트남 2025’ 전시회에 참가해,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위한 핵심 솔루션인 AI 기반 생산관리시스템(roboMES)과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AI-FEMS)을 선보였다. 조앤소프트는 스마트 제조 및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축적한 글로벌 컨설팅 역량을 바탕으로 MES, FEMS, SCM, CRM, APS 등 제조 전 영역을 아우르는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외 다양한 산업군과 파트너십을 통해 현장 맞춤형 솔루션 개발과 구축 역량을 검증받은 바 있다. 이번 전시회의 핵심 출품 솔루션인 roboMES는 실시간 생산현황과 품질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분석하여 작업 지연과 품질 이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생산관리시스템이다. 수·발주, 자재관리, 생산계획 수립, 공정관리, 출하 및 매출관리까지 전 생산 공정의 통합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바코드·QR코드·태블릿 기반의 Paperless 환경을 구현해 현장의 스마트화를 실현한다. 특히, 24시간 언제 어디서든 이용 가능한 클라우드 기
Multi Level Shuttle·MachineWise 통해 스마트 물류 환경의 정밀성과 효율성 제시 인트라로지스틱스 자동화 전문기업 랩투마켓(Lab To Market)이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개최되는 ‘AW베트남 2025’ 전시회에 참가해, 첨단 물류 로봇 솔루션인 ‘Multi Level Shuttle(MLS)’과 ‘MachineWise(FWCS)’를 선보였다. 랩투마켓은 피킹, 적재, 저장 로봇 기술과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종합 물류 자동화 솔루션 기업으로, 공장 및 창고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모듈형 로보틱스 기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고객 컨설팅을 통해 현장에 최적화된 맞춤형 물류 솔루션을 설계 및 구현하며, 스마트 물류 시대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전시의 핵심 출품작인 ‘Multi Level Shuttle(MLS)’는 기존 셔틀 시스템과 스태커 크레인의 장점을 결합한 고속 수평 이동성과 정밀한 수직 적재 기능을 동시에 갖춘 다층 구조 자동화 시스템이다. 고속 셔틀의 민첩성과 크레인의 정확한 피킹 기능이 융합되어, 안전하고 빠르며 정밀한 제품 이동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 향상은 물론,
기술 실증 지원과 강소기업 육성으로 스마트 건설 중소기업 성장 견인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가 스마트 건설 생태계 조성을 위해 스마트 건설 기술 실증 지원사업 15개와 2025 스마트 건설 강소기업 20개사를 최종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중소기업의 신기술 실증과 경쟁력 강화를 지원해 건설 산업의 혁신과 성장을 이끌어간다는 목표다. 스마트 건설 기술 실증 지원사업은 스마트 건설 얼라이언스 회원사와 연계해 중소기업이 보유한 기술과 제품을 대·중견기업의 실제 건설 현장에서 시험·검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업당 최대 1,500만 원의 실증 비용이 제공되며, 올해는 대형 건설사의 수요를 반영한 수요 기반형 유형을 새로 도입해 7개, 자율 제안형 8개를 포함해 총 15개 과제가 선정됐다. 선정된 기술들은 오는 11월 5일부터 7일까지 열리는 스마트 건설 엑스포에서 전시 및 홍보가 지원되며, 투자유치 기회도 확대된다. 주요 사례로는 위성 통신이 어려운 환경에서 드론과 로봇 간 전파통신을 활용하는 Non-GPS 위치 제어 시스템, 교각 유지관리를 위한 비파괴시험 모듈 탑재 로봇, 무인 드론 스테이션 기반의 디지털 트윈 구축 기술 등이 있다. 또한 타워크
산업용 안드로이드 패널 및 환경 측정 트랜스미터로 동남아 시장 본격 공략 스마트 환경 제어 및 IoT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전문 기업 시스트로닉스(주)가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개최되는 ‘AW베트남 2025’ 전시회에 참가해, 산업용 안드로이드 패널 ‘AM-12000K’와 스마트 환경 측정 트랜스미터 ‘ST-IAQ-07’을 선보였다. 시스트로닉스는 냉동공조 및 산업용 자동화 분야에서 자체 기술력으로 제어기기부터 센서, 소프트웨어까지 종합 솔루션을 개발·공급하는 기업으로, 스마트 공장을 위한 품질 검사 시스템, 데이터 분석 기반의 생산 효율화, IoT 실시간 제어 기술을 아우르는 제품 라인업을 이번 전시에서 소개할 계획이다. 주력 전시 제품인 ‘AM-12000K’는 Android 12 OS 기반의 산업용 터치 패널로, RS-485 Modbus 통신, USB, RS-232, HDMI, TCP/IP, 카메라 포트까지 폭넓은 산업용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현장 어플리케이션과의 완벽한 호환성을 자랑한다. ARM 64bit 기반 고성능 프로세서와 함께 5G, LTE, Wi-Fi, Bluetooth 등 최신 무선 기술을 탑재해 어디서나 고속 데이터 연결
AI·비전·모션 제어 융합으로 스마트 제조혁신 앞당긴다 로봇 플랫폼 및 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 ㈜뉴로메카가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 WTC에서 열리는 ‘AW베트남 2025’ 전시회에 참가해 AI 기반 지능형 협동로봇 ‘Indy’와 용접 공정 특화 협동로봇 ‘OPTi’를 선보였다. 뉴로메카는 로봇 제어·소프트웨어·AI 기술을 자체 개발하며, 협동로봇 ‘Indy’, ‘OPTi’와 제어기, 모션제어 소프트웨어, 구독형 로봇 서비스(RaaS), IoT 원격 유지보수 솔루션을 통해 중소 제조기업의 유연한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AI·비전 기술을 결합해 안전하고 지능적인 협업 환경을 제공하며 지속 가능한 로봇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주력 전시 제품인 ‘Indy’는 AI 기반 최적경로 생성 기술로 작업 공간 내 장애물과 작업자를 실시간 인식하고, 비전 센서와 모션 제어 알고리즘을 결합해 부드러운 충돌 회피 동작을 구현한다. 안전펜스 없이도 협업이 가능하며, 좁은 공간에서도 생산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지능형 협동로봇 솔루션이다. 함께 선보인 ‘OPTi’는 용접 공정에 특화된 협동로봇으로, 고품질·고일관성의 용접을
Edge AI PC ‘JECS-1204GB’와 세미 아웃도어용 팬리스 PC ‘JECS-J6412B’로 스마트팩토리·로지스틱스 시장 공략 젝스컴퍼니 주식회사는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 WTC에서 열리는 아시아 대표 스마트팩토리·산업자동화 전시회 ‘AW베트남 2025’에 참가해 산업용 Edge AI PC ‘JECS-1204GB’와 세미 아웃도어용 산업용 팬리스 PC ‘JECS-J6412B(miniBOO-J6412B)’를 공개했다. 젝스컴퍼니는 20년 이상의 IT 기획·개발 경험과 안정적인 지원 시스템을 기반으로 상담·기획부터 설계, 생산, 품질관리, 사후관리까지 원스톱 산업용 임베디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다수의 산업용 CPU 보드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수출형 제품 라인업을 강화해 왔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JECS-1204GB’는 고성능과 확장성을 동시에 갖춘 산업용 팬리스 Edge AI PC로, 교통정보 수집·분석, AGV/AMR, 로봇 컨트롤러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된 사례를 보유하고 있다. 4개의 HDMI 포트를 통해 각 포트별 4K 해상도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전면부 I/O 확장 옵션(2x CA
AI·메타버스 기술 접목한 제조 DX 선도기업… 데이터 허브 HDH·FEMS 솔루션 집중 조명 제조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스마트팩토리 전문기업 ㈜에이비에이치(ABH)가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열린 ‘AW베트남 2025’에 참가해, 자사의 핵심 솔루션인 HDH(데이터 수집 허브)와 FEMS(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를 출품했다. ABH는 인공지능과 메타버스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제조 인프라 고도화를 통해 자율제조의 실현을 앞당기고 있는 국내 대표 제조DX 기업으로, 이번 전시회를 통해 동남아시아 시장에 자사의 기술력과 미래 전략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의 주력 제품인 HDH(Honeycomb Data Hub)는 ABH가 독자 개발한 데이터 수집 장치로, 다양한 산업용 센서와 통신 프로토콜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공장 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Wi-Fi 기반 무선 통신을 통해 배선 없이 간편한 설치가 가능하며, LED 인디케이터를 통해 공정 이상 징후를 현장에서 즉시 인지할 수 있어 공정 안정성과 대응 속도를 모두 높였다. 또한, OPC UA 및 AAS 기반의 데이터 표준화 체계를 지원하여 다양한 시스템 간
납기 지연과 협업 단절 문제 해결하는 프로젝트 기반 자동화 솔루션… 베트남 제조 현장 공략 본격화 중소·중견 제조기업의 스마트화를 선도하는 ㈜마이링크가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열린 AW베트남 2025에 참가해, 자사의 대표 솔루션인 ‘LinkBiz’와 ‘LinkPMS’를 선보였다. 이번 전시를 통해 마이링크는 동남아 제조 현장의 고질적 문제인 납기 지연과 공정 간 단절 문제 해결을 위한 차세대 생산관리 자동화 플랫폼을 집중 소개했다. 마이링크는 소부장 중심의 주문생산형 제조기업이 겪는 실질적인 운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관적인 UI/UX, 클라우드 SaaS 구조, 프로젝트 기반 일정관리 기능을 갖춘 ‘Link PMS’를 자체 개발했으며, 현재 일본·베트남·싱가포르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실증 및 확산을 본격화하고 있다. 주력 출품 솔루션인 ‘LinkBiz’는 PMS, MES, QMS, WMS, PDM 등 제조 현장의 핵심 시스템 기능을 모듈형으로 통합한 All-in-One 플랫폼이다. 수주부터 출하까지의 전 공정을 디지털화하여 실시간 협업과 공정 간 연계를 지원하며, 기업 규모와 산업군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유연하게 선택·적용할 수 있는
23년 업력의 디지털 전환 전문기업, 현장 맞춤형 자동화 시스템과 AI 기반 고도화 솔루션 선보여 디지털 전환(DX) 전문기업 ㈜태진시스템이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에서 개최된 AW베트남 2025에 참가해, 로봇 자동화시스템과 스마트팩토리 통합 솔루션을 출품하며 동남아 시장 공략에 나섰다. ‘고객에게 도움이 되는 회사가 되자’는 기업 철학 아래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이어온 태진시스템은, 로봇과 AI, 자동화 기술이 융합된 통합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국내 대표 스마트팩토리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공정별 최적화 설계 역량과 전담 기술 조직을 기반으로 기획부터 개발, 구축, 유지보수까지 원스톱 서비스 체계를 갖추고 있는 점이 차별점으로 꼽힌다. 이번 전시의 주력 제품인 ‘로봇 자동화시스템’은 협동로봇과 AMR(자율이동로봇)을 기반으로 가공, 검사 등 제조 필수 공정을 유기적으로 연계한 고효율 자동화 솔루션이다. 생산현장의 환경과 고객의 니즈에 맞춘 맞춤형 설계를 통해 생산성과 작업 효율을 극대화하며, 불량률 감소 및 인력난 해소에도 큰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MES 및 AI 시스템과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스마트팩토리와 디지털 전환에도 최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