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전년 대비 48.9% ↑ 한국 3사 점유율 23.4%...CATL, BYD 등 중국 기업 글로벌 시장으로 시장 확대 전기차와 함께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에서 한국과 중국, 일본 등 글로벌 기업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차전지 전문 시장조사 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1~8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에 탑재된 총 배터리 사용량은 약 429.0GWh로 전년 동기 대비 48.9%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23.4%로 전년 동기 대비 1.0%p 하락했지만 배터리 사용량은 내 3사 모두 성장세를 나타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58.5%(60.9GWh) 성장하며 3위를 기록, SK온은 16.5%(21.7GWh), 삼성SDI는 32.4%(17.6GWh) 성장률로 각각 5위와 7위를 기록했다. 국내 3사의 성장세는 각 사의 배터리를 탑재한 모델들의 판매 호조가 주 요인으로 작용했다. 삼성SDI는 주력 모델인 BMW i4/i7/iX와 아우디 Q8 E-Tron, 리비안 R1T/R1S/EDV, FIAT 500이 꾸준한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다
엔드레스하우저의 라만 분광법 기반 분석계 시스템이 상거래 시 액화 천연 가스(LNG)의 조성 및 에너지 함량 측정을 위한 기존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기화기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인정받았다. 유럽 내 가스 연구개발과 기술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어 유럽 15개국 33개 회원사를 보유하고 있는 유럽가스연구재단(GERG)은 LNG 상거래 애플리케이션의 에너지 계산 과정에서 라만 기술의 우수한 측정 정확도와 정밀한 조성 측정을 입증하기 위해 다년간 연구를 진행해 왔다. GERG에서 발표한 ‘LNG 조성 확인 및 측정을 위한 라만 기술’ 보고서에 따르면 엔드레스하우저의 라만 분석 시스템은 기존 GC/기화기 시스템 보다 운영비용이 훨씬 적게 들면서도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기술적 전문성이 덜 요구되며, LNG 측정 불확실성에서는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또한 라만 시스템은 LNG 모니터링 시스템의 복잡성을 줄이고 측정 안정화 시간을 단축했을 뿐만 아니라 반복성이 더 우수하고 공정 변경에 더 빠르게 대응하며 전체 평가 기간 동안 유지 보수가 필요하지 않은 것(가동 시간 99% 초과)으로 입증됐다. 라만 분석기의 연구개발 및 제조를 담당하는 엔드레스하
텔레다인 플리어는 한국지사 설립 15주년을 기념해 플리어 카메라 제품 가격 할인 행사를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할인 행사는 이날부터 12월 29일까지 진행되며 행사 기간 중에는 플리어 핸디타입 산업용 열화상카메라와 가스감지 카메라, 음향 카메라 등 플리어 카메라 신제품을 15%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텔레다인 플리어 코리아 관계자는 "지난 15년간 텔레다인 플리어에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보내주신 한국의 모든 고객과 협력사, 임직원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이번 할인 행사가 플리어의 혁신 제품을 경제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 "텔레다인 플리어 코리아는 지난 15년 동안 전기, 기계, 건물진단, 유틸리티, 상시모니터링, 가스 누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최상의 열화상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왔으며, 앞으로도 관련 산업 분야의 발전과 고객의 성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텔레다인 플리어는 1978년 미국 오리건주 윌슨빌에 설립된 열화상/적외선 카메라 설계, 제작, 판매기업으로 2008년 한국에 텔레다인 플리어 코리아를 설립하고 열화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능형 사물인터넷(AIoT) 활성화와 경쟁력 제고를 위해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2023 AIoT Week Korea'(AIoT 진흥 주간)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10회를 맞은 이 행사는 'AIoT, 일상과 디지털을 연결하다!'라는 주제로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외 160개 기업이 참가해 주거 공간, 모빌리티, 에너지, 제조,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oT가 적용된 서비스와 제품을 선보인다. AIoT 컨퍼런스에서는 '디지털 전환의 핵심, AIoT 기술 동향 및 성장 전략'을 주제로 5개 트랙, 8개 세션에서 총 28개 발표가 진행된다. 초거대 AI 시대에서의 IoT 사업 기회, 정부의 AIoT 진흥 정책, 지능형홈 글로벌 연동 표준 매터에 대한 설명 등이 제시되며 이외에도 기술 동향, AIoT 기술 적용 사례, AIoT 보안에 대한 내용 등이 소개된다. AIoT 재난안전 쇼케이스에서는 다중밀집 현장 안전관리, 노후.재난 취약 시설물 안전관리 등 AIoT 기반 재난·안전분야 제품과 솔루션이 전시된다. 사업 협력 등을 위한 상담도 현장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이 밖에도 AIoT 신제품·솔루션 발표회,
LS전선은 해저케이블 품질을 강화하기 위해 경북 구미 사업장에 최신 '구리 도체 생산설비'를 도입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설비는 직경이 기존보다 2배 이상 큰 6.5mm의 도체를 생산할 수 있다. 해저케이블 제조 시 도체 수를 줄이는 동시에 송전 용량은 늘릴 수 있게 된다. 또 도체를 일반적인 둥근 형태가 아닌 부채꼴 형태로 생산, 집적 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완제품 케이블의 굵기를 줄일 수 있다. 송전량 증대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커짐에 따라 케이블의 효율성 확보를 위한 전선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최신 설비를 도입하고 순도 99.99% 이상의 고순도 구리를 사용하는 등 원자재 품질에 대한 개선 노력도 커지고 있다. 이번 도입은 해상풍력단지가 대형화되며 송전 용량이 늘어나고 있는 데 대한 선제적인 투자다. 전 세계적으로는 유럽 전선업체에 이은 두 번째 도입이다. 회사 측은 "10MW급 이상의 대형 해상풍력 발전기의 상용화로 대용량 케이블의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며 "이번 투자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품질 확보를 통한 해저사업 고도화 전략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인티그리트는 이음 5G 특화망 전용 로봇 개발키트 '에어패스 N79X'와 스마트 AMR '큐브고N320'를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음5G특화망은 최첨단 건물과 시설, 스마트팩토리 등 특정 지역을 위해 구축되는 5G 네트워크로 일반적인 공용 5G 망보다 더 빠르고 안정적이다. 인티그리트의 에어패스 N79X는 퀄컴 로보틱스 플랫폼인 QRB5165 프로세서와 스냅드래곤 X62 5G 모뎀-RF 시스템을 탑재했다. 지능형 로봇 개발을 위한 리눅스와 ROS를 지원하고 이전 세대 대비 최대 2배까지 늘어난 배터리 수명, 와이파이와 5G 간 원활한 전환 등을 통해 고속 저지연 데이터와 AI 서비스를 제공한다. 애어패스 N79X는 보다 정교한 관리가 요구되는 물류, 제조, 보안, 실시간 안전관리를 위하여 구축되는 5G 특화망을 위해 설계된 빠르고 효과적인 로보틱스 플랫폼이 탑재된 개발키트다. 5G 특화망에서 강력한 연결성을 제공해 고속 저지연 클라우드 환경이 요구되는 요구되는 AMR과 무인화 설비, 지능화 로봇을 빠르게 구현해 현장에 투입 할 수 있다. 또한 애어패스 N79X는 저전력 소모가 요구되는 모빌리티 환경에서 이동로봇의 사용시간을 늘리고, 다양한 미션을 대용량
SAP는 클라우드 인적자원 솔루션 SAP 석세스팩터스(SAP SuccessFactors)가 오는 11월 16일 국내 기업의 HR 및 IT 분야 임직원 대상 행사인 'SAP HR 커넥트 서울 2023'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최근 AI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HR 혁신이 이어지고 있다. AI 기술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을 자동화하고, 더 나은 예측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사용자 경험을 개인화하고 있다. 이에 맞춰 이번 행사는 AI와 직원 포텐셜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에 초점을 맞춰 진행된다. 안젤라 콜라투오노 SAP 석세스팩터스 아태지역 총괄과 스테이시 채프먼 SAP 석세스팩터스 데이터 및 분석 제품 관리 그룹 부사장이 기조연설자로 나서 최신 AI 기술이 이끄는 HR 트렌드 및 기술 동향을 비롯해 SAP 석세스팩터스 솔루션의 최근 변화와 향후 미래를 제시한다. 행사에서는 AI 기술이 적용된 'SAP 석세스팩터스 휴먼 경험 관리 스위트(SAP SuccessFactors Human Experience Management Suite)'도 소개된다. SAP는 인재 채용, 내부 부서간 이동성, 트레이닝 및 성과 관리에 이르기까지 직원 경험을 개선하고 모든 인사 관련 의사
JMP Korea는 11월14일 서울롯데호텔에서 ‘JMP Discovery Summit Korea 2023’을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업체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JMP 사용자와 데이터 분석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탐색하고 분석 경험과 인사이트를 논의하고 공유하기 위해 기획됐다고 말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부터 온라인으로만 개최되다가 올해 처음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오전 기조 강연, 오후 세션별 강의 및 마무리 발표 순서로 진행된다. 기조 강연은 △SK하이닉스의 데이터 드리븐 의사결정 체계 및 사례(SK하이닉스 안대웅 부사장) 발표를 비롯해 JMP 본사의 △조직의 업무를 보다 스마트하게 만들기 위한 엔지니어링 효율성 개선 △실험 설계의 강화 : 단순함에서 정교함으로 등으로 진행된다. 오후에는 Bio/Pharm and Clinical, JMP Application, JMP Extension, SK하이닉스 특별 세션 등 네 개의 세션을 통해 12개의 사례 발표와 마무리 강연(△통계 분석 능력의 강화 : JMP와 Python의 시너지, IES 공학통계연구소 이종선 박사)이 이어진다. JMP 개발자와 전문가들과 교류할 수 있는 네트워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가 기업이 생성형 AI를 활용한 산업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WS코리아 생성형 AI 지원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의 지원 규모는 총 약 68억9000만 원(미화 500만 달러)으로 선정된 기업에는 각 기업당 최대 약 13억8000만 원(미화 100만 달러) 상당의 AWS 크레딧과 AWS 클라우드에서 기초 모델(Foundation Model, FM)을 구축하고 확장하는 데 필요한 주요 툴, 자원, 포괄적 지원 혜택 등이 제공된다. 생성형 AI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 대해 사전 학습된 초대형 머신러닝(ML) 모델인 기초 모델에 의해 구동된다. IDC에 따르면 생성형 AI는 연평균 14.9%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7년까지 국내에서 약 4조46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성장세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광범위한 AI 도입, 디지털 기술과 산업 기술의 융합, AI 관련 전문 지식 분야에 대한 상당한 규모의 투자가 지속되고 있음에 기인한다. 국내 기업들이 자체적인 기초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성장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기술력 부족과 지식 격차,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 구축과 확장을 위한 간
그립팜과 PA코리아가 2023 로보월드 전시회에서 'Bespoke 서비스'를 공개한다. 로봇용 그리퍼 전문 브랜드 그립팜은 적층 제조 전문 설계 기업인 하비스탕스가 출시한 브랜드다. 그립팜은 설계 자유도가 높은 3D프린팅, 최적 설계 기술 및 고강도 탄소 복합소재를 활용해 가볍지만 강하고 맞춤화된 그리퍼를 제공하며, 그리퍼 자동 설계 시스템, 로봇 컨피규레이터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Bespoke 서비스로 그립팜의 경량 맞춤형 그리퍼 설계 및 제조 기술과 PA코리아의 진공 전문 기술을 결합했다. 해당 서비스로 로봇 자동화를 위해 더욱 안정적이고 최적화된 진공 그리퍼 솔루션을 제공할 전망이다. Bespoke 서비스의 핵심은 '맞춤화'다. 로봇은 서비스, 제조 등 모든 분야에서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지만 로봇의 제한된 페이로드와 기성 그리퍼의 형상적 한계나, 높은 비용과 무게로 인해 로봇 사용 현장에서 엔지니어들의 고민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양사는 그리퍼 제조 및 진공 기술에 대한 전문 지식과 노하우를 결합해, 로봇 작업 환경에 가장 적합한 가볍고 안정적인 진공 그리퍼 해결책을 제공하여 로봇 자동화 시스템의 생산성과
KT가 기업 구내망의 품질 문제를 쉽고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DX 케어'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DX 케어는 현재 DX(디지털 전환)가 늘고 있는 기업 구내망 환경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자동으로 진단해 결과 보고서까지 생성해 주는 트래픽 진단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은 패킷 분석과 RPA(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기술을 기반으로 회선, 서버, AP 등 망을 구성하는 요소에서 발생하는 트래픽과 부하를 초 단위로 분석해 트래픽 손실과 지연 발생량, 발생 시점 등을 분석한다. 또 분석한 트래픽 문제와 서비스 품질 저하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도 제시한다. 기존에는 화상회의 시 화질 저하 또는 끊김, 튕김 현상과 같이 기업 내 DX 서비스에 품질 문제가 발생하면 전문 인력이 원인을 파악하기까지 긴 시간이 걸렸다. 그러나 DX 케어 솔루션을 활용하면 문제 원인부터 망 증설이나 장비 재배치 등의 해결방안까지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고 KT 측은 전했다. KT는 융합기술원 등 일부 KT 사옥에 DX 케어 솔루션을 시범 적용했다. 사옥 내에서 DX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일으키는 원인을 확인해 트래픽을 최적화하는 과정에서 걸리는 시간이 기존에 전문 인력이 수작업으로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이하 헥사곤)는 국내 사출 금형 제조사 한국몰드에 자사 워크엔씨(WORKNC)와 m&h 프로브, 레이저 트래커 및 다관절 측정기 등 토탈 제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자동차 부품 가공 및 정밀 측정 작업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고 10일 밝혔다. 워크엔씨는 금형산업에 특화된 최고급 자동화 CAM 소프트웨어로, 3축부터 5축가공에 이르기까지 서페이스 또는 솔리드 모델의 CNC프로그래밍을 지원한다. 한국몰드는 헥사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가공조건 DB를 구축해 현재 워크엔씨 이용률을 평균적으로 80%이상을 상회하고 있다. 워크엔씨의 뛰어난 조도와 편집 기능은 제품 품질관리를 위한 형상 데이터 확보 및 가공시간 단축으로 제조의 효율성과 품질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한국몰드 NC 가공팀은 "헥사곤과의 협력으로 약 50%가량의 획기적인 가공시간 절감이 가능했다"며 "시간과 정밀도가 중요한 제조업의 특성상 워크엔씨는 일반 CAM 소프트웨어보다 조도, 편집, 황삭 및 잔삭 가공에 뛰어난 성능으로 초정밀 금형과 제품 생산에 압도적인 이점을 보유한다"고 전했다. 고품질 정밀 측정에 사용된 레이저 트래커와 다관절 측정기는 1초당 120만
자이스(ZEISS)는 10월 출시되는 새로운 버전부터 GOM 소프트웨어를 'ZEISS INSPECT'로 통합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통합은 2019년 자이스가 GOM을 인수한 이후 추진해온 계측 및 품질 보증 분야의 통합을 가속화하기 위한 것의 일환이다. 새로운 ZEISS INSPECT는 기존 GOM 소프트웨어의 모든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자이스의 모든 측정 기술을 지원하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ZEISS INSPECT는 품질을 간단한 방법으로 시각화하며 앞으로 더 많은 비즈니스 유연성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기술적 독립성을 바탕으로 자이스와 다른 제조업체의 장치 모두와 호환되며, 이를 통해 고객 교육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업계별 변형을 보완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 맞는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 자이스 측은 "계측 소프트웨어의 이름이 변경되지만 GOM 소프트웨어의 모든 기능을 포함하고 더욱 강력해질 것이다. 올해의 개발주기는 분석 기능을 최적화하고 개선하는 데 전념했다. 2023년 릴리스와 함께 ZEISS INSPECT에 새로운 기능도 추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기계 가공 생산에서는 진행 중인 밀링 공정 중 공구 마모를 체계적으로 기록할 수 없었다. 그러나 결함이 있는 공구는 품질 저하, 불량품 증가 및 재작업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프라운호퍼 생산기술연구원 IPT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트너와 함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카메라 및 이미지 처리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이미 공작기계에 사용되어 공구 마모를 기록하고 평가할 수 있다. 오늘날까지 절삭 공구의 마모 상태는 측정 현미경, 소형 확대경 및 공구 세팅 장치를 사용하여 기계 외부에서 수작업으로 검사되는데, 모든 절차는 수작업으로 진행된다. 현미경은 또한 값비싸고 휴대용 돋보기는 마모 지표를 측정할 수 없으며 공구 설정 장치는 최첨단 윤곽을 캡처할 수 있지만 마모 유형을 식별할 수 없다. 각각의 경우에서 측정은 제조가 완료된 후에만 수행할 수 있으며, 공정에 개입하기에는 너무 늦다. ‘CAMWear 2.0’ 프로젝트에서는 프라운호퍼 IPT의 연구팀이 프로젝트 파트너와 함께 밀링 공정 중 거의 실시간으로 절삭 공구의 마모 상태를 정확하게 기록하고 평가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측정 시스템, 공구 마모 감지의 약점 극복 연구원들은 이를 위해 밀링 머신에 현
3D 스캐닝 및 검사 솔루션의 선도적인 개발 업체인 LMI 테크놀로지스(한국지사장 소한별)는 4K+ 해상도의 스마트 3D 레이저 라인 프로파일 센서인 Gocator 2600 시리즈의 공식 출시를 발표했다. 리마스터링된 Gocator 2600 시리즈는 더 빠른 기본 스캔 속도, 향상된 데이터 품질, 증가된 스캔 다양성 및 더 높은 4K+ 해상도를 위해 최적화되었다. Gocator 2600 시리즈는 다양한 해상도 및 시야 옵션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EV 배터리, 가전 제품 및 반도체 제조의 소형 부품에서 자동차, 고무 및 타이어, 식품 가공, 건축 자재 및 일반 공장 자동화의 대규모 커버리지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상을 검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LMI 테크놀로지스의 CEO인 마크 래드포드(Mark Radford)는 "리마스터링된 Gocator 2600 시리즈는 EV 배터리, 가전 제품, 반도체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고객 피드백에서 직접 영감을 얻은 전략적이고 새로운 기능과 개선 사항을 통해 미세 조정된 4K+ 레이저 프로파일링 성능을 제공한다"라고 말했다. 새로운 Gocator 2618 모델은 반도체 볼 그리드 배열(BGA)과 같은 소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