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자동화와 로봇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정밀 센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힘·토크 센서는 로봇이 외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이에 대한 기술 경쟁이 치열하다. 에이딘로보틱스는 정전 용량 기반의 힘·토크 센서를 개발하여 더욱 정밀한 로봇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력을 갖춘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에이딘로보틱스는 2019년 성균관대학교에서 스핀오프하여 설립된 이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이어왔다. 현재 경기도 안양시에 본사와 연구소, 생산시설을 두고 있으며, 총 36명의 직원 중 9명이 핵심 엔지니어로 활동하고 있다. 단순한 센서 제조를 넘어, 힘·토크 센서를 활용한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며 산업 전반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제품군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 회사의 대표 제품은 초소형 6축 힘·토크 센서와 협동로봇용 손목형 센서로, 전 세계에서 가장 작은 수준의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협동 로봇 및 산업용 로봇의 관절에 삽입할 수 있는 초박형 관절 토크 센서를 개발 중이며, 정밀 제어가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에이딘로보틱스는 센서 기술을 활용한 모듈 사업도 강화하고 있다. 스마트 그리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제조업에서도 자동화, 최적화, 지능화를 실현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생산 계획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고 운영하는 APS(Advanced Planning & Scheduling) 솔루션이 스마트 팩토리 구축의 핵심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KSTEC의 이윤준 기술이사는 최근 발표에서 APS가 제조 현장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기대 효과를 설명하며, 제조업체들이 생산 관리 최적화를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했다. 제조업체들은 판매 계획을 기반으로 연간 사업 계획과 수요 예측을 수립한 후, 이를 토대로 생산 회의를 진행하고 실제 생산 일정을 결정한다. 그러나 전통적인 방식으로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는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RP와 MES 사이의 공백을 엑셀 기반으로 보완하는 경우 실시간 정보 공유가 어렵고 체계적인 분석이 제한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PS가 도입되며, 실시간 데이터 공유와 최적화된 생산 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APS는 생산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 자동으로 최적의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인아그룹의 3개 계열사(인아오리엔탈모터, 인아텍앤코포, 인아엠씨티)가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AW 2025(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한다. ‘AW 2025’는 산업 변화와 트렌드에 발맞춰 최신 기술과 시스템, 혁신적인 솔루션을 선보이는 전시회로,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공장엑스포, 한국머신비전산업전이 통합 개최된다. 인아그룹은 이 가운데 산업 자동화를 위한 혁신적인 제품과 솔루션이 총집합하는 ‘제35회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에 참여한다. 이번 전시에서 인아그룹은 ‘FIND THE NEXT Solution = INA’를 콘셉트로, 고객의 자동화 니즈에 맞춘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인아오리엔탈모터는 신제품 소형 로봇 OVR을 위한 ‘OVR Zone’을 구성한다. OVR은 αSTEP AZ Series 모터를 적용한 소형 로봇으로, 로봇 컨트롤러 MRC01을 통해 간편한 설정 및 제어가 가능하다. 유지보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시에서는 MRC01을 적용한 SCARA, DELTA, 6축 다관절 로봇을 선보인다. 이 외에도 △공
파익스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전한다. 파익스 전시부스에는 각종 현장 설비의 가동을 제어하는 모션 컨트롤러 제품이 자리 잡을 예정이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파익스는 산업 자동화, 제어 시스템 등 솔루션 역량을 보유한 업체로, 정밀 제어 기술과 고효율 시스템을 강조한다. 이를 기반으로 모션 컨트롤, 서보 시스템, 인버터, 스마트 자동화 솔루션 등 각종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파익스는 이번 전시장에 ‘NMC2E’, ‘NMC-XR’ 등 모션 컨트롤러 솔루션을 소개한다. 이 중 NMC2E 시리즈는 이더넷(Ethernet) 기반 멀티 축 모션 컨트롤러로, 고성능 모션 컨트롤 기능이 내장됐다. 이를 통해 나노미터(nm) 단위로
와고코리아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자동화 및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한자리에 내놓는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와고코리아는 운영기술(OT)과 정보기술(IT)의 통합을 통해 효율성 극대화를 목표하는 엔지니어링·자동화 솔루션 업체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스마트 산업 솔루션이 열리다(OPEN. For Smart Industry Solutions)’를 슬로건으로, 스마트 제조 구현을 위한 첨단 자동화 솔루션과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공개한다. 구체적으로, 웹 기반 설계·제어·모니터링을 담당하는 솔루션 ‘와고 스카다(WAGO SCADA)’, 빌딩 라이팅 매니지먼트 솔루션 ‘달리(DALI)’를 전시 하이라이트로 전시한다. 이 중 달리는
LS ELECTRIC과 LS MnM을 비롯한 LS그룹 주요 계열사 6개 기업이 국내 최대 배터리 산업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미래 전략 사업 역량을 선보인다. LS일렉트릭은 LS MnM, LS머트리얼즈, LS알스코, LS이모빌리티솔루션, LS티라유텍과 함께 3월 5일부터 7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전시회에 공동으로 참가한다. 이번 전시에서 친환경 발전부터 배터리까지 신재생에너지 산업 전반에 걸친 토털 솔루션을 공개할 예정이다. LS일렉트릭과 5개 계열사는 45부스(406sqm) 규모의 전시장을 마련하고 ‘에너지저장장치(ESS)’, ‘직류 솔루션’, ‘미래 소재’, ‘전기차(EV)’, ‘스마트공장’ 등 5개 테마를 중심으로 차세대 제품과 기술 역량을 강조한다. LS일렉트릭은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직류 패키지 솔루션 등 전략 신제품을 전면 배치한다. 올인원 ESS 플랫폼은 배터리와 PCS 등에 설치된 센서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를 분석해 전력사용량 예측, 고장 예방, 안전성 확보 등을 가능하게 한다. 산업용 모듈형 ESS솔루션 ‘LS일렉트릭 MSSP(Modular Scalable String Platform)’도 소개한다.
한국엡손이 스카라·컨트롤러 등 로보틱스 관련 기술을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강조한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한국엡손의 일본 본사 세이코 엡손은 전 세계 82개의 현지 오피스를 구축한 글로벌 업체다. 기업·가정용 프린터·복합기를 시작으로, 3LCD 프로젝터·산업용 로봇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했다. 특히 스카라 로봇은 1983년 출시 이후 13년 연속 글로벌 점유율 1위를 차지한 세이코 엡손의 대표 제품이다. 이번 AW 2025 전시부스에는 이같은 스카라 로봇을 만나볼 수 있다. 현장에서는 스카라 로봇 라인업 중 GX 시리즈가 참관객의 관심을 모을 예정이다. GX 시리즈는 진동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와 컨트롤러를 통해 진동
에스피씨테크놀로지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리니어·핸들링·지그 교체 등 기술을 한자리에서 선보인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에스피씨테크놀로지는 지난 45년 동안 반도체·디스플레이·자동차·이차전지 등 산업에서 다양한 레퍼런스를 축적한 엔지니어링 업체다. 사측은 미국·유럽·일본 등 해외 기술력이 접목된 우수한 품질의 기계 부품과 최신 자동화 솔루션을 보유했다고 소개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하는 리니어 기술은 리니어 가이드, 리니어 샤프트를 직접 클램핑·브레이킹하는 솔루션이다. 위치 고정, 밀림 방지, 진동 억체, 비상정지 등 기능이 내재화돼 높은 품질·생산성과 안전성을 보장한다. 이어 다양한 그리퍼 라인업을 갖춘 핸들링 기술
오토닉스가 올해도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한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오토닉스는 AW 초대 전시회부터 지금까지 35회째 연속으로 참가하고 있다. 올해 전시회에는 세이프티 제품군과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을 소개한다. 오토닉스 세이프티 시리즈는 라이트 커튼, 컨트롤러, 박형 도어락 스위치, 도어락 스위치, 도어 스위치, 비접촉 도어 스위치, 키 셀렉터, 인에이블링 스위치, 비상 정지 버튼 등으로 구성돼 있다. 전시장에는 이같은 안전 솔루션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존이 마련될 예정이다. 이어 SCADA 시스템은 현장 내 각종 장치의 데이터를 한데 수집·제어
에이딘로보틱스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출격해 로봇용 센서, 생산 자동화 솔루션, 로봇 핸드 등을 공개한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에이딘로보틱스는 필드 센싱(Field Sensing) 기술 기반 힘·토크 센서 기술을 보유한 업체다. 6자유도(6DoF) 힘·토크 센서를 적용한 로봇 핸드를 전 세계 14개국에 공급하고 있다. 올해 에이딘로보틱스 부스에 배치되는 기술 중 로봇용 센서는 3축 힘 센서, 초소형 센서, 텍타일 센서 등 3종이다. 해당 제품은 모두 신제품으로, 초소형 센서와 텍타일 센서는 그리퍼, 로봇 핸드 손가락 등 센서를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에 맞춰 설계됐다. 에이딘로보틱스 관계자에 따르면, 해당 두 제품은 최근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이하 슈나이더)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로봇 기술을 들고 나선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프랑스 소재 에너지 효율 및 산업 자동화 솔루션 업체 슈나이더는 사물인터넷(IoT) 기반 솔루션, 스마트 제조, 지속가능성 등 가치를 산업에 전파하고 있다. 올해 한국 지사 창립 50주년을 기념해 AW 2025 전시장에 다양한 콘셉트의 제품·솔루션을 한데 전시한다. 이번 슈나이더 AW 2025 부스는 지난 50년간의 여정을 한데 담은 스토리라인을 공개한다. 슈나이더는 ‘혁신의 50년: 지속 가능한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IMPACT(50 Years of Innovation: A Sustainable IMPACT
한국요꼬가와전기가 오는 3월 5일부터 7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산업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배터리 공급망 전반에 걸친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인다. 올해로 13회를 맞이한 ‘인터배터리 2025’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코엑스, 코트라가 공동 주관하는 행사로, 국내 주요 이차전지 업체를 비롯해 소재·부품·장비 관련 기업 640여 개사가 참가하며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된다. 요꼬가와는 이번 전시회에서 배터리 제조의 전 밸류체인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인다. 주요 제품으로는 △배터리 전극 전용 코팅 중량 측정 시스템 △배터리 소재 온도 모니터링 솔루션 △AI 기반 무선 기기 △코리올리 효과를 이용한 질량유량 및 밀도 측정 유량계 △가스 분석 솔루션 △플랜트 운영 통합 관리 솔루션 △배터리 소재 입자 분석 시스템 △BMS 및 배터리 환경 시험 솔루션 △시리얼 통신 분석 솔루션 △무선 데이터 수집 솔루션 등이 포함된다. 이와 함께 요꼬가와는 부스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스탬프 투어 경품 이벤트’를 진행하며, 고객들과의 소통을 통해 배터리 제조 산업에서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
모션 컨트롤 기술 업체 맥슨모터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드라이브·액추에이터 등 로봇에 탑재되는 기술을 한데 선보인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맥슨모터는 고정밀 스마트 드라이브 시스템, 모션 컨트롤 솔루션 등 모션 컨트롤 솔루션을 전파하고 있다. 로보틱스·모빌리티·의료·항공우주 등 다양한 분야에 모터·기어헤드·엔코더·제어기를 공급하며, 이 밖에 통합 드라이브 시스템도 개발·생산한다. 이번 전시장에는 통합 드라이브 시스템 ‘HEJ(High Efficiency Joint)’ 및 ‘HTJ(High Torque Joint)’, 중공형 모터 ‘EC-i 프레임리스’ 등을 출품한다. HEJ와 HTJ는 모터·기어·센서·제어기 등으로 구성된
비투에스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 품질검사에 특화된 각종 머신비전 솔루션을 부스에 전시한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비투에스는 머신비전 하드웨어 솔루션 공급부터 컨설팅, 기술 서비스까지 지원하는 머신비전 토털 솔루션 업체다. 올해 전시장에는 반도체·이차전지·PCB 등 산업 공정 내 품질검사 기술을 한데 펼친다. 먼저, 비넥스(VIENEX) CIS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 로드 렌즈, 광원 등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바(Bar) 타입 라인 스캔 이미지 모듈이다. 렌즈 앞에서 물체까지의 거리를 뜻하는 Working Distance(WD)가 50mm로 설계돼 다양한 조명 활용을 지원하고, 기구 간섭을 최소화했다. 또 소형·경량화 디자인으
어드밴텍이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각종 파트너십으로 탄생한 산업용 컴퓨팅 솔루션을 선보인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어드밴텍은 1983년 대만에서 설립된 산업용 컴퓨터(IPC) 기술 업체다. 고객·파트너·이해관계와의 공동 성장 철학을 기반으로, 인공지능(AI) 자동화 솔루션을 지속 고도화하고 있다. IPC 및 솔루션뿐만 아니라 에지 AI(Edge AI) 플랫폼, 에지 디바이스, IoT 게이트웨이 등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올해 AW 2025 전시장에는 컴퓨팅 시스템 ‘MIC-732-AO’와 GPU 서버 ‘SKY-602E3’가 참관객을 맞이한다. MIC-732-AO는 엔비디아(NVIDIA